정보글 등 내용이 많다보니 드르륵 읽다가 자꾸 배운거 까먹어서
배운것들이 뭐뭐 있었나 확인하고 안까먹게 정리 할 겸 + 정보글들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특히 많이 된 글들 다시 찾기 힘들어서 내가 나중에 편하라고 만든느 겸 + 글 읽으면서 들은 의문들 까먹지 말고 나중에 확인하라고 좀 적어놓을 겸 쓴 뻘글임

0) 네비게이션 링크  https://ainav.netlify.app/


1) 코랩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움
2) 기초중의 기초인 VAE와 Checkpoint 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3) 로컬을 설치 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움
4) launcher.ps1파일에서 cmd 창이 뜨고 바로 꺼질 시 픽스하는 방법
5) 프롬프트의 기초적인 문법들 ( 강조/약화/네거티브 등 ) 에 입문
6) 프롬프트의 기초적인 문법들 배움-  
6a) [시작:끝:언제] 문법 ex) [mountains:lake:0.25] 사용시 첫번째 태그를 전체 스텝의 25% 동안 그리고 두번째 태그를 75% 동안 그림 배경 / 등 배율 조합에 유리
6b) 위 등의 문법을 이용해 오드아이, 좌 우 사람 배치, 눈 등에 색감을 섞는 방법을 배우고 연습해봄  
6c) 
 |  문법의 사용 스크립트에서 prompt matrix 활성화 할 것 ! ex)  a girl standing|on the boat|on the lake 는

a girl standing

a girl standing on the boat

a girl standing on the lake

a girl standing on the boat on the lake
의 4가지 프롬프트가 적용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SD-WebUI 프롬프트 사용법/문법 총정리 https://arca.live/b/aiart/60466181


7) i2i 기능과 Inpaint 기능의 존재와 개요를 배움, inpaint 기능을 사용하여 손가락 등 작은 부위들을 수정하는 방법을 배움
7a) 디노이즈의 개념 0(원본) , 1(원본을 참고하지 않을 것) 을 배우고 이를 Inpaint 등에서 어떻게 조절해가며 사용해야 하는지 배움


-14번 보고나니까 디노이즈 잘못 이해한듯?


인페인트로 마음에 든 그림의 삐꾸를 고쳐보자 (스압) https://arca.live/b/aiart/66068091


8) Lora의 존재와 개념 그리고 사용법
9) Violent Monkey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한 아카라이브 등 사이트에서 EXIF 보기 및 , i2i 에서 딥 단보루 WD1.4Tagger 를 이용해 태그 찾기.
10) 임베딩, 하이퍼 네트워크, 드림부스, 기르고 로라의 개념.
임베딩 = 전자책,  AI는 임베딩 파일을 보고, 모르는 단어, 태그에 대해서 이해함. 일종의 강좌.
하이퍼 네트워크 = 타율 향상
드림부스 = 세뇌개조, 강력하지만 용량과 성능 역시 고사양
로라 =  USB 임플란트

의문) 서로 상관관계가 크지 않은 두 개의 단어가 존재 할 때, 데이터 상 그림을 학습하여 그릴 때 두개의 프롬프트가 같이 존재하는 경
우의 예시가 많지 않기 때문에 두개를 동시에 표현하는 그림을 그리기 힘들어 하는 것 같은데 해당 상황에 하이퍼 네트워크를 사용시 확률이 증가하나?
ex) 예를들어 풍만한 바디와 동시에 갈비뼈가 보일 정도로 마른 갈비, 그리고 홀쭉한 배와 같이 셋을 동시에 만들기 위해 태그를 동시에 넣어도 셋이 같이 그려지는 경우는 상식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그냥 프롬프트를 무시하고 하나만 적용하던데, 이걸 하이퍼 네트워크를 통해 고칠 수 있나?

11)  Extensions tab 사용 방법과  ddetailer 등 기타 몇가지 extensions 다운

12) 모델 병합이란?  A,B,C 모델을 병합 할 시 (A + (1-M)*(B-C)) 해당 식을 이용해 M 계수만큼 조절하여 병합. 조금 더 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A + (1-M)*(B-C)) = B 모델과 C 모델의 차이를 구한다음에 그 차이를 A 모델에 더하는것.
방법은? : Checkpoint merger tab 에서 실행

13) CGF 스케일과 Sampling Steps.

CFG 스케일: 인공지능이 제공한 프롬프트 태그를 얼마나 충실하게 따를지에 대한 값으로 스테이블 디퓨전 기반 유출본의 Guidance Scale과 같은 설정값.
Sampling Steps: 인공지능이 노이징된 이미지를 복구할 때 몇 단계의 스텝을 걸쳐 이미지를 복구 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값.

CFG 스케일이 높다면 노이징된 이미지를 
프롬프트 태그와 가깝게 변화

else 노이징된 이미지를 프롬프트 태그와 상대적으로 가깝지 않게 변화


CFG scale 이 높아질수록 각 Sampling steps 별 유사하지 않은 그림 이미지의 종류 및 개수가 줄어든다.  
CFG 값이 높을 때 Sampling Steps 값은 일정 수치 이상이 되면 디테일한 형태 말고는 변화가 없다

Conclusion:

2. CFG Scale 값이 낮을수록 Sampling Steps 값에 의한 그림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높을수록 균일해진다. 따라서 20 내외 미만 정도의 CFG 값이라면 다양한 범위의 Sampling Steps 값을 활용해보자.

3. Sampling Steps, CFG Scale 값이 높아질 수록 AI가 프롬프트의 비중이 높은 그림을 그리게 되므로 프롬프트의 비중을 높이고 싶다면 Sampling Steps와 CFG Scale 값을 높이면 된다.

 qoo qoo. 2022 Oct 14. (*데이터주의*, WebUI) CFG 스케일과 Sampling Steps에 대한 연구. qoo qoo, editor. arcalive AI 그림 채널. [accessed 2023 Mar 29]. https://arca.live/b/aiart/60685706
(*데이터주의*, WebUI) CFG 스케일과 Sampling Steps에 대한 연구 https://arca.live/b/aiart/60685706?target=all&keyword=cgf&p=1 이 글 작성자분께는 진짜 무한감사



14) SD의 원리와 노이즈의 개념: 이미지 노이즈 제거 기술에서 출발, 이제 노이즈가 낀 사진을 복구하는게 아니라 ai 에게 노이즈를 던져주고 이게 사실 어떠어떠한 사진인데 그렇게 복구해봐라 라는 방식으로 발전.  Denoising Strength 는 우리가 던져준 이미지에서 일부러 설정값만큼 노이즈로 파괴. Thus, high strength 는 원본 손상으로 인해 ai가 generate 할 범위와 자유도가 늘어난다.
 
AI 그림의 원리 기본 이해와 활용 https://arca.live/b/aiart/60297154?sort=ratingAll&p=1

의문 그렇다면 t2i 의 경우 denoising 이 어떤 역할을 하지? 파괴할 이미지가 없는데 혹시 매 sampling step 마다 생성된 이미지에 설정된 denoising factor 만큼 노이즈를 적용하나?


기타 다음에 할 것들 및 읽어볼 글들


U-NET을 이용한 Add Difference https://arca.live/b/aiart/69577435
ControlNet WEBUI 확장기능을 이용해서 쉽게 포즈 변경하기  https://arca.live/b/aiart/69816884


참고할 사이트
AI그림채널 전용 모음집 사이트 https://arca.live/b/aiart/72595307


https://arca.live/w/aiart/%ED%94%84%EB%A1%AC%ED%94%84%ED%8A%B8%20%ED%83%9C%EA%B7%B8%20%EC%A0%95%EB%B3%B4


https://arca.live/w/aiart/%EB%AA%A8%EB%8D%B8


ai 
모델 이상형 월드컵 메이저 32개

초보자를 위한 모델 고르기 가이드

체크포인트 카탈로그 0204~0211(24개 모델 비교)

기타 나중에 검색해서 확인할 질문들
(ex: 대충 1 미만 숫자 ) vs []  

(ex: 대충 1 미만 숫자 ) 기본적으로 태그를 작성 시 1 만큼의 강중치를 주는 반면에 (ex: 대충 1 미만 숫자 ) 는 작은 숫자만큼 가중하기 때문에 태그가 아에 없는것보다는 가중해줌 반면 [] 는 아에 태그가 없는 상황보다 약해지나? ( 가중치만큼 덜 뜨나?)
[] 사용시 태그가 아에 없는것보다도 약화되는거라고 이해했는데 그럼 네거티브 말고 [] 를 사용할 이유가 있나? 특별히 []의 사용처나 쓸 이유가 궁금
AND 문법?
언더바 사용시 anime 띄어쓰기 시 사실체 가 트루인가?
inpaint 기능과 i2i 기능에 관해 더 공부 및 설정들 공부 i2i 기능을 통한 업스케일 공부 및 실제로 해보기쉽게 따라하는 고해상도 이미지 만들기 참고



한국살이 8년차인데 아직 맞춤법 좀 어려움 이상한거 있어도 걍 똥글이니까 양해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