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XL을 webui로 돌리면 고사양을 요구한다는 글이 많아. 

그림챈과 다른커뮤에서 webui v1.5 + XL 0.9 튜닝모델로 잠깐씩 돌려봤던 사람들의 정보를 모아보면 

"XL모델 로딩만으로도 16기가 램을 거의 다 먹으며, 그림뽑을때 V램을 11기가 중후반대까지 먹더라." 라고 하는데

webui유저중 가장 많은 분포를 가진 V램 8기가 유저들은 --medvram 이나 --lowvram옵션을 사용해야

SDXL을 돌릴수 있을 가능성이 큼. 오늘 3시에 정식버젼이 나와봐야 정확해 지겠지만

갑자기 최적화가 잘되서 med나 low옵션 빼고도 8G v램 카드에서 잘 돌아갈 확률은 낮다고 본다. 


나같은 경우 집컴은 시스템메모리 넉넉하고 VGA는 3060노멀 12G짜리라서 그럭저럭 돌릴수 있지만

일하는곳의 PC는 시스템메모리 16g에 VGA는 2060S 8G라서 SDXL쓰려면 medvram을 사용해서 돌려야 할거 같아.

webui 1.5에서 기본옵션으로 가동해 봤는데 XL 0.9모델이 로딩조차 안되더라. medvram옵션을 사용하면 되긴 했겠지.

그래서 ComfyUI는 어떨까 하고 방금 2060S 설치된 PC에 설치해서 10분정도 돌려봤는데 엄청 쾌적해. 로딩도 빠르고

6G짜리 체크포인트 장착하는것도 순식간이며, 가로세로 2048픽셀로 뽑아도 V램 피크 8G를 안넘더라.

거의 6G 중후반으로 유지함. 굉장히 가볍고 빠르다는 느낌을 받았다.


설치파일은  https://github.com/comfyanonymous/ComfyUI  이 URL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페이지 중간에 Windows항목이 있고 아래의 Direct link to download 글씨를 클릭해서 받으면 돼.

7z로 압축된 파일인데 압축파일 용량은 1.4 기가, 압축 해제하면 5.2 기가임.


별다른거 만질필요 없이 폴더안의 run_nvidia_gpu.bat 실행하면 바로 아래와 같은 창이 떠. (아래화면이 기본값임)



Clip Text항목 윗쪽에 긍정프롬, 아랫쪽에 부정프롬 넣고 오른쪽의 Queue Prompt 버튼 누르면 그림이 출력된다.

마우스 우클릭해서 여러기능의 노드를 추가하면서 작업하는 방식인데 적응되면 어렵지 않을꺼야.

모델은 civitai의 https://civitai.com/models/112902/dreamshaper-xl-09-alpha 이거 넣고 돌려봤어. 

체크포인트 파일은 ComfyUI - models - checkpoints 폴더에 넣으면 돼.


그리고 comfyUI매니져를 설치해야 webui처럼 쉽게 기능추가를 할수 있으니

https://github.com/ltdrdata/ComfyUI-Manager  이 링크를 클릭해서


저 배치파일을 ComfyUI폴더에 넣은후 실행 - comfyUI 재가동 하면 


이렇게 그림뽑는 버튼 제일 하단에 Manager버튼이 생기고 저걸 클릭하면 왼쪽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저기서 다양한 추가기능과 모델들을 설치할수 있어.


가로세로 1024 픽셀은 금방 금방 뽑히는 느낌이야. 인터페이스가 생소하겠지만 유튜브에서 ComfyUI로 검색하면

외국인들의 강의영상이 많고 한국어 강의영상도 점점 많아 질꺼라고 생각해.

V램 8G 모델 쓰면서 SDXL을 사용할 사람들은 ComfyUI를 설치해서 익숙해지는게 정신건강에 좋을꺼 같으니

한번 comfyUI도 사용해봐.  ComfyUI의 업데이트는 update폴더 내의 update_comfyui.bat파일 실행하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