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in-context learning 방법을 응용해서 zero-shot/few-shot learning, COT 등 프롬프트에 지시사항 및 예시 등을 넣어 답변의 품질을 높이는 작업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럼 RAG나 multi-turn 같은 경우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범주에 포함되는 개념이라고 정의해도 괜찮을까요?


요새 LLM 관련 자료를 정리하는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안에 RAG와 multi-turn 을 포함시킬지 따로 정리할지 그냥 괜히 고민되어서 질문합니다..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