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은폐성: 여성 범죄는 범죄통계표에 잘 나타나지 않으며 흔히 보고되거나 또는 보도되는 일이 잘 없다 심지어는 남성 또는 피해자에 의해서도 그 범행이 가려지고 있다(좀도둑질, 매춘행위, 낙태, 미성년자에 대한 범죄가 여성 범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 피해자의 면식성과 한정성: 아동, 남편, 친척, 애인 등 평소 자기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사람을 피해자로 삼는 경우가 많다(가정과 친척 등 한정된 범위 내에서의 마찰과 갈등).


3. 배후성: 정보제공, 범죄기지의 제공, 교사, 방조 등의 형식이 많다(범죄 현장에 직접 나서는 경우가 적다).


4. 여성 범죄가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사기성이 높은 점, 성적-사회적 풍습에 대한 범죄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점, 미혼보다는 기혼 여성이, 무직여성보다는 직장여성이 상대적으로 더 많으며, 범죄의 유형에 있어서도  소규모적 범행; 예컨대 사기, 절도 등을 반복해서 범하고 있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출처 : 여성범죄의 특징 폴락의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