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백 나무'를 엮어서 만든 관.



[이성의 왕관과 고대의 역사]



서사의 구조 힌트.



*** 위 링크의 본문 일부. ***



제화, 제수, 제뢰, 제풍의 관은 모두 동일한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빙의 관만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제빙의 관'은 다른 관들과 다르게 서사 구조가 '거꾸로' 되어 있음.

이걸 통해서 해석될 수 있는 묘한 부분이 있음.





수많은 예관이 비경 안의 시든 나무 아래 쌓여 있다. 



이부분.

제빙의 관에서는 다른 관의 스토리에서 말하지 않은 정보를 서술하고 있음.

그런데 다른 관에서는 '시작'에 들어가야 할 도입부 내용인 '과거'에 대한 서술이 '끝'에 가있었음.


이상한 점은 하나 더 있음.


"들어보라".


이게 '시작'을 알리는 키워드였음.

그러면 '과거'에 대한 서술 부분에만 '들어보라'라는 말이 들어가야지 맞는 얘기임.


하지만 제빙의 관에서는 그러지 않았음.

'시작'과 '끝'부분 모두 동일하게 '들어보라'를 넣었음.


이말인즉슨, 

제빙의 관에서 얘기하고 싶은 것은 위 아래의 구분은 큰 의미가 없다는 뜻 같음.


수많은 예관이 비경 안의 시든 나무 아래 쌓여 있다. 


아래를 거꾸로 하면?




>>>






비경 벽화의 앞에 있는 저 '예관'.



제사장들이 퇴임할 때마다 흠집 하나 없는 흰색 가지로 만든 예관을 이 세상에 반환했다.




자신들이 쓴 '헌' 왕관은 나무의 아래에 쌓고.

흠집 하나 없는 흰색 가지의 예관을 세계에 반환.


이를 해석하면?


흠집 하나 없는 흰색 가지.

 -> 어린 새 싹, 새로운 나무. 새로운 세계수.


관을 세계에 반환.

 -> 지배자가 될 상징인 왕관을 넘겼다.


그러니까,

 -> 새로운 세상의 지배자 자격을 반환.



이렇게 될 수 있을듯.






1.








제화의 관에는 이런 설명이 있음.



신의 사도가 우매한 사람들 속에서 살아가고 영원한 얼음이 녹기 시작하고 새로운 불이 타오르던 시기였다.



얼음 다음이 불이라는 얘기임.

그리고 형태도 색도 제화의 관이랑 일치율 125%에 달하는 '새로운 가지'가 설산에 자라나고 있는 중임.







'순환'의 반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