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집

위디의 몇 가지 설정들과 해룡 - 명일방주 채널 (arca.live) 

시즈의 몇 가지 설정들과 아서 왕 설화 - 명일방주 채널 (arca.live) 

혼의 몇 가지 설정들과 베오울프 설화(+추가수정) - 명일방주 채널 (arca.live) 

칸타빌레의 몇 가지 설정들과 금조 - 명일방주 채널 (arca.live) 

파투스의 모티브가 된 동물 추정 - 명일방주 채널 (arca.live)






이 글은 언더타이즈의 강한 스포일러

그리고 아직 한섭에 출시하지 않은 미즈키 록라의 일부 내용을 담고 있음

스포가 싫은 명붕이는 서론과 제일 밑에 세줄요약만 읽자



 


0. 서론


모비 딕이라는 소설에 대해서 들어본 적 있는가


1851년 출판된 미국인 허먼 멜빌의 작품으로,


서구 현대문학의 시발점에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닌 소설이며,


미국에서는 올타임 넘버원 소설로 꼽히는 유명한 작품이다.


소설의 내용은 잘 모른다 해도,


거대한 고래가 포경선을 들이받아 침몰시킨다는 이야기는 다들 들어봤을 것이다.


이 소설은 1820년 페루 앞바다에서 포경을 하던 에식스 호를 들이받아 침몰시킨 흰색 향유고래 모카 딕의 실화를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로,


지난 시간동안 수많은 해석이 있어 왔지만,


대중들에게는 보통 인간과 자연의 대립이라는 구도로 인식된다.


이렇게 서구권에 널리 알려진 소설인데,


이 모비 딕이 이샤-믈라의 모티브가 아닐까 추정하는 양키 독타들이 많아서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이름의 유래


Call me Ishmael.

나를 이스마엘이라 부르라


이 소설의 시작을 선언하는 첫 문장으로, 이스마엘은 본 작품의 화자이자 모비 딕과의 싸움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생존자다.


이스마엘이라는 이름은 성경과 꾸란에 모두 등장하는 이름으로, 유대인을 상징하는 이삭(이사악)의 이복형제이고, 


꾸란에서는 모든 아랍인들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반면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이스마엘이라는 이름은 추방자의 이미지가 강하여,


유대인과 아랍인들이 근본적으로 친해질 수 없음을 보여준다.


기독교 세계인 미국에서 쓰여진 소설이지만, 아랍을 상징하는 이름을 가진 화자를 내세움으로써 


사건을 중립적으로 전달한다는 작가의 의도가 담겨 있다.


이 유명한 이름과 이샤-믈라의 이름(Ismael : Ishar-mla)의 유사성은 


한섭 명붕이들이 느끼는 것보다 서양 문화권 독타들에게 더 크게 와닿는 것으로 보인다.




2. 하얀 거체를 가진 해양생물


소설에서 등장하는 모비 딕은 거대한 크기를 가진 흰색 향유고래이다.


그리고 미즈키 록라에서 드러난 이샤-믈라의 본모습은



보카디 스킨에 나타난 흰색의 레비아탄(베히모스)이다.


바다 깊은 곳에 존재하는 흰색의 거대한 생물,


이것이 모비 딕과 이샤-믈라의 두번째 유사성이다.




3. 인간이 어찌하지 못하는 거대한 존재


소설 속 모비 딕과 피쿼드 호 선원들의 싸움을 보면,


명빵의 시본&시테러와 테라인의 싸움과도 비슷한 점이 보인다.


모비 딕에 대해 비정상적인 집착을 보이는 선장의 지휘 하에 집요하게 고래를 추적했지만,


말 그대로 압도적인 힘과 존재감으로 선원들의 여러 시도들을 뿌리치며


인간의 얕은 지식과 힘의 한계를 느끼게 해 준다.


사냥당하는 입장의 모비 딕은 그저 생존을 위한 싸움을 할 뿐인데도 말이다.



이건 명빵 스토리 또한 유사하다.


시본 또한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존재이다.


그들이 테라인을 증오하기 때문에 공격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생존과 진화에 대한 의지를 따를 뿐이다.


그러나 그런 시본들의 움직임에 테라인들은 힘없이 쓸려나가게 된다.



인간이 통제할 수도, 이해할 수도 없는 신비한 자연의 존재 모비 딕.


마찬가지로 테라인들이 이해할 수 없는 존재인 시본들의 정점 이샤-믈라.


이 둘의 공통점이 세 번째 의심스택이다.




4. 여담


...그건 정말로 자연재해와도 같았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레비아탄이 모카 딕이 무적이 아니란 것을 증명해냈습니다...

포경선 일등항해사와의 인터뷰 중(1839년 5월 knickerbocker지)


소설의 모티브가 된 실존고래 모카 딕을 끝끝내 추적해 잡아낸 포경선의 이름이 공교롭게도 레비아탄이었다.


미즈키 록라 엔딩 중 하나에서 미즈키가 불러낸 또다른 레비아탄(카에룰라 아버)이 이샤-믈라를 이겨내는 것의 모티브일까?










세줄요약


이샤-믈라의 이름과 모비 딕 화자의 이름이 비슷하다

흰색의 거대한 바다괴수라는 점이 유사하다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정점의 존재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러니 독타들은 믈?라의 혈족이 되어서 모든 고통에서 해방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