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황무지 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57411D7Zk

27점(최고점), 클리어 : 프로젝트 아크 공략팀


변위 오퍼를 사용하여 적 진로를 변경 후 무한 스톨링 하는 것이 택틱의 기본


무한제어를 이루어 내기 위해 에단과 맨티코어, 에프이터 및 클리프하트를 사용


폭발 거미는 스펙터의 무적기와 백파이프를 통해 제거, 캐스터의 경우 당시 자힐이 가능하며 딜까지 가능했던 헬라그가 담당


클리어 타임 최적화에 은재가 들어가게 됨


이때는 딜뻥이 가능한 버퍼/디버퍼 서폿도 얼마 없었고, 동시에 딜러 또한 상당히 부족했기 때문에


각 적들의 집단을 묶어서 그 집단들을 2~3명의 오퍼레이터로 가장 효율적이게 막는 것이 중요했던 시기임


플레이 자체에 특별할 것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무한제어라는 개념은 지금까지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을 정도로 고난이도 작전에 중요한 키 포인트라는 하나의 선택지가 열리게 됨





#1. 파이라이트 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eZ4y1H7L4

27점(최고점), 클리어 : MAJIHORSE(개인)


이론상 최고점은 30점이지만 클리어 유저 없음


기본적으로 젤리를 이용한 광역 제어 및 서브딜링에 위디와 시라유키로 젤리를 보조하고


크붕이를 혈천사로 녹이는 택틱


드론을 이용한 기절시켜용의 어그로와 강한 범위제어를 할 수 있는 마젤란 1스킬 또한 사용됨


재밌는 점은 요스타섭의 경우 위디가 본 협약보다 늦게 출시되면서 이 택틱을 못 쓰게 됐는데


위디 대신에 중섭에서는 없었던 스즈란이 투입되면서 일섭에서 27점 클리어가 나오게 되었다




#2. 칼날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sK411n7Ek


31점(최고점), 클리어 : 프로젝트 아크 공략팀


파이라이트 작전에서 위디가 예상치 못한 고성능캐로 떠오르게 되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결국 리스캄의 sp 회복 재능을 이용한 배터리 택틱이 개발 됨


일반맵에서는 리스캄이 잡몹을 다 때려잡았지만, 협약에서는 얘기가 달라서 무한대로 sp를 뽑아내는게 가능했음


기본적으로 저지가 아예 불가능한 불겐지를 이 위디+리스캄+맨티코어를 활용한 무한제어를 통해 천천히 녹이면서


그라벨을 굴려 파우스트의 강화탄을 견디고,


젤리와 팬텀을 사용해서 별개의 루트로 이동하는 캐스터를 처리하는 택틱


위디 이외에 중요한 것은 결국에는 저지 자체가 불가능한 파우스트를 잡아내는 것이었기에,


후반부에 케짱과 젤리를 중심으로 해서 최대한의 딜량을 뽑아내게 된다


그리고 이후 케짱은 위기협약에 돌아오지 못했다


#3. 잿불 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py4y1z7bT


33점(최고점), 클리어 : deathscythe(개인)


이전 협약들과 다르게 전체적인 템포가 느린편이며 적들을 하나하나 컨트롤 하는게 가능했기 때문에

그만큼 다양한 택틱이 연구된 협약


사실 이 협약은 프로젝트 아크 공략팀에서 7인클로 미친 최적화를 진행한 결과가 있는데, 영상에서는 딜찍누 택틱을 보여줌


맵의 루트 2개 중 왼쪽을 젤리 +@로 막으면서 오른쪽을 에이야 + 수르트 + 사리아 + 팅게 + 이프리트라는 개쩌는 라인업으로 적들을 녹여버리는 택틱


스톨링에 비해 난이도 자체는 낮지만, 팅게 회피 운이 따라주어야 가능함


젤리의 스킬 타이밍으로 찔러용 딜을 거의 없애버리는게 예술적


#4. 리드씰 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Ki4y1F7Md


32점(최고점), 클리어 : 프로젝트 아크 공략팀


스톨링 택틱의 정점이라고 볼 수 있는 협약.


젤리는 여전히 그 빠른 스킬쿨을 장점으로 내밀며 다시금 얼굴을 내밀었고,


이제는 위디가 아니라 바이비크를 통해 무한 제어를 이루어냈던 택틱


골렘 2마리와 빅밥, 머드락 모두 기절 면역이 없고, 공격 속도 또한 느렸기에 바이비크는 리드씰에서 단번에 주목을 받게 됨


나머지 잡몹들은 젤리와 위디, 그리고 생각지도 못하게 오리지늄 활성 발판이 도움을 주게 되었고,


젤리로 커버가 어려운 엘리트 몹의 경우 수르트가 해결


후반부 기가막힌 타이밍에 골렘과 머드락 빅밥을 동시에 기절 시키는 모습에 감탄사가 절로 나옴



#5. 스펙트럼 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v44y1z7gv


31점(실질적 최고점), 클리어 : 프로젝트 아크 공략팀


이쯤 되면 다른 공략팀에서 억울함을 표시할 거 같은데, 벌써 3번째다.


아무튼 위기협약 최초로 맵이 2개로 갈라져버린 협약이며 젤리의 마지막 위기협약 최고점이다.


빠른 템포로 좌 우 번갈아가며 적들이 끊임 없이 밀려오기 때문에, 다양한 딜러를 배치하기 보다는 중심적인 몇 명의 딜러에 서포터를 몰아주는 방식


ash의 높은 저점과 보카디의 높은 버프 효율/편의성으로 단기간에 협약에 투입되었고,

협약 여신 위디또한 2스킬을 통해 공깎기사의 스킬 캔슬에 사용됨


마지막에는 엑시아에 버프를 몰아주며 보스를 순삭시켜 보는 맛이 있는 택틱


이론상 최고점은 32점인데, 여기에는 6인 편성 제한이 있기에


공략팀 쪽에서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무에나와 수첸이 출시한 지금이라면? 


#6. 와일드 스케일 https://www.bilibili.com/video/BV1dq4y1U7V1


33점(최고점), 클리어 : 블랙섀도우가드 공략팀


이게 그 전설의 2정 1렙 풀잠 팅게 협약이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팅게의 소환물인 새장에는 체력이 일정 비율로 낮아지는 핸드캡이 있는데


이 새장은 팅게 레벨에 따라서 체력이 올라감


따라서 레벨이 높아서 떨어지는 체력의 절대값 또한 높았기에, 스즈란 3스킬의 힐량으로 새장 유지가 불가능해 벌어진 해프닝


이후 공략팀에서는 최적화를 진행해 와파린을 보카디로 교체, 다시 만렙 팅게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택틱 얘기를 하자면 초반 잡몹을 백파로 밀어내면서 방깎 악어를 글래디아로 낙사시켜 시간을 벌고


이후 적들이 몰려오는 구간에서 수첸으로 전부 익사 시키는게 전반부의 핵심


중반부에서는 카프카와 텍사스를 이용해 캐스터를 저지하고, 은재와 아를 사용해 캐스터를 처리


최후반부에서는 머드락이 마지막 막고라 악어와 진짜 막고라를 뜬다.


이 최후반부가 정말 골 때리는 택틱인데, 조금이라도 무언가 어긋나게 되면 막고라 악어가 점점 내려가면서 결국 스톨링이 실패함


그 외에도 수첸 탄창 재능과 영문도 모를 컨트롤 요소 + 스톨링이 겹쳐 클리어 시간과 난이도 모두 압도적이어서


이 공략팀 외에 그 어디서도 본섭 최고점 영상을 찍지 못한 협약



#7. 파인숫 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G341147pS


이게 협약임? 이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쉽다는 평가가 압도적이었던 협약


얼마나 쉬웠으면 6인클까지 최고점이 나오고 5인클도 각 보이는데? 했다가 말았겠음


다만 영상에 있는 저 택틱만큼은 다르다.


왜냐하면 저건 경천위지라는, 십자모양으로 미친 딜을 뿜어내는 제약을 건 최고점임


그렇기에 더욱 의미가 있다.


초반부 진행은 크게 다를 것 없이 수첸과 창니어, 수르트 등등으로 넘어가고, 마지막 지나가용 2마리까지 처리하면 그 때 부터가 본방


핵심은 보카디 1스킬과 스즈란 3스킬을 사용한 즈자이 전용 무한 제어 택틱


보카디 1스킬은 2스킬이랑 3스킬에 묻혀서 보통 유저들은 잘 모를텐데, 보카디 1스킬이 제공하는 데미지 감소와 힐량이 그야말로 압도적임


그렇기 때문에 새장과 보카디 1스킬을 결합해 무한 새장을 유지하는 택틱이 개발됐다.


그러는 동시에 팬텀과 창니어, 수르트 수첸으로 지속적인 스톨링과 딜링을 이어나가는 것


이 때 즈자이 딜량이 그야말로 상상 이상이었기에 샤마르까지 넣어 32점을 달성


보카디랑 첫 새장 둘 때까지 생 몸으로 경천위지를 맞아주는데 그럴 때마다 딸피로 아슬아슬하게 살아남는게 감상 포인트


#8. 던시커 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jr4y167Nw


33점(최고점), 클리어 : 바벨 공략팀


최초 클리어는 블랙 섀도우 공략팀이지만, 결국 최적화에 성공해 블레미샤인 10인클을 내놓은 바벨 공략팀이었다.


원조 배터리인 리스캄을 그대로 가져오면서 블랙나이트로 무한제어를 이끌어내는 택틱


언뜻 들으면 간단해보이지만, 한섭 유저들도 많이 알다시피 이 협약이 어지간히 머리 아픈게 아닌데


2군데에서 수시로 날아오는 침식 화살을 2명의 디펜더와 수르트로만 견뎌내야 하는 동시에 타겟팅 판정도 일반 원거리 오퍼와 달라 애를 먹음


블랙나이트 운용 또한 충전 스킬과 sp 회복에 대한 이론적 지식이 없으면 애초에 유지조차 불가능


그 외에도 파울비스트 강제 수면이나 촛불 기사 타이밍 등 일반 유저들은 손도 대지 못할 컨트롤을 요구했기 때문에


공략팀들만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는 협약이 되어버렸다



#9. 딥니스 https://www.bilibili.com/video/BV1434y1L7rb


38점(현 최고점), 클리어 : 프로젝트 아크 공략팀


던시커부터 조금씩 디펜더가 협약에서 다시 쓰이기 시작하더니 딥니스에서는 메인이 되어버린 건에 대하여


이 영상에 나온 택틱은 나 또한 굉장히 좋아하는 택틱임. 


초반부의 지랄꽃을 고의로 깨워 혼의 재능을 강제로 트리거 시켜 스킬 딜뻥을 유도하고, 그 뒤에는 위디로 완벽한 킬을 따낸다거나


그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마젤란의 1스킬을 다시 사용하여 수르트와 혼을 보조하고


블레미샤인 2스킬의 수면을 사용할 때 수면 매커니즘을 완벽하게 활용해서 지랄꽃을 스톨링 한 것 등.


무엇보다, 다른 택틱들의 경우 평범하게 사리아를 통해 지랄꽃의 스톨링을 한 후 위디로 밀어내는 방식이라


2저지인 은재로 3저지인 사리아가 해냈던 지랄꽃 2마리 스톨링을 해야하는데


이를 완벽한 컨트롤로 이루어낸 것.


한 번씩은 영상으로 보는 걸 추천


39점의 경우 이론상 택틱이 완성 되었으나 시간 부족으로 본섭에서 요스타섭으로


그러나 여기서도 변수가 발생해 요스타섭에서 정지컨이 막혀있어 다시 대만섭으로 2번이나 미뤄졌기에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만서버 딥니스 협약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일~3일 내로 2주차 진입 예정


#10. 애쉬링 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gd4y1X7sz


36점(최고점), 클리어 : 별바다 공략팀. 이름이 귀엽다.


영상에 나온건 7인클인데, 사실 애쉬링은 6인클까지 최적화가 되어있음.


파인숫이 딜이 차고 넘쳐서 쉬웠다면, 애쉬링은 딜을 수성포가 전부 해주기 때문에 쉬웠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창니어와 켈시를 중심으로 한 트루데미지에, 


블랙나이트를 활용해서 수성포의 어그로를 빼는 동시에 좌측 라인을 정리하는 택틱


또한 그저 잡몹이었던 촉수들이 협약에서는 한 대만 맞아도 골로 갈 정도의 미친놈들로 변모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cc 요원 노시스가 출격


광범위 빙결 cc 서포터는 현재까지 노시스가 유일하며 취약또한 얻을 수 있어 저인원 클리어에는 필수적이었고


여담으로 애쉬링 작전에서마저 6인클 클리어라는 엄청난 치욕을 당한 만붕이는 제붕이 다음으로 불쌍한 적이 되어버렸다.


#11. 페이크 웨이브 작전 https://www.bilibili.com/video/BV1ER4y1y7H4


36점(최고점), 클리어 : SWEEP 공략팀


위기협약 최초로 저지 수 감소 기믹이 나온 협약.


다만 이것이 과연 제약인지 버프인지는 애매한 구석이 있다.


최고점의 경우 애초에 적을 저지하는 경우가 드물고, 저지수가 줄어들면 오히려 원거리 오퍼를 근거리 적이 지나가는 곳에 둘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기기 때문.


위 택틱의 특별한 점이라면 최고점 택틱 중 스톨링을 하지 않은 택틱이라는 것. 모든 부분이 딜찍누로 진행된다.


특별히 설명할 택틱은 없는데, 그냥 타이밍 맞게 스킬 키면 된다. 그리고 기도하는거다.


다만 제약으로 인해 높을대로 높아져버린 적들의 체력으로 인해 딜이 한 타라도 덜 들어가면 실패해버리기 때문에


고난이도의 컨트롤을 요구함. 다만 이건 스톨링도 마찬가지이며 더군다나 운빨요소 또한 들어있다.



여기까지 14차 협약 pv에 나온 역대 위기협약 택틱에 대해 알아보았다. <- 매번 14차가 아니고 12차 아님? 하는데 베타랑 #0 합쳐서 차수는 14가 마즘. 틀 아니다


다만


페이크 웨이브의 경우 이미 라인랩 공략팀에서 더 빨리, 심지어 인원도 더 적은 12인클 딜찍누 36점을 두고 왜 이 공략팀의 택틱을 선택했는지가


남아있는 한 가지의 의문이라면 의문이고


심지어 라인랩 공략팀은 게임 출시 2달 이후부터 설립 돼서 역사가 깊은 공략팀인데 이번 pv에 단 하나도 등장하지 못한걸 보면


몬가몬가임


만약 시간이 된다면 webm써서 원래 넣으려고 했던 영상을 넣어볼 생각인데 아마 안 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