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팔 연구는 나중에 하려 했지만 팔이 밋밋한게 너무 아쉬워서 그냥 당일에 해버렸다.


작성자는 팔의 bmp를 깠을 때 살짝 당황했는데

'ㅅㅂ 이게뭐지 CT촬영사진인가..?'

어디가 어딘지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수십장의 파일 뒤져본 결과 팔bmp의 형태를 한번에 이해시킬 사진을 찾았는데

홀리 지져스 

팔 bmp 구조는 이렇게 생겨먹었었다. 또한 여러번의 실험 끝에 저 범위를 벗어나면 그림이 짤린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대충 픽시브에서 줏어온 자료들을 조합해서 bmp만들고 넣어서 실전적용을 해보자




QoS주의

퍄 생각보다 너무 이쁘게 뽑혔다


뒷모습)



이로써 내 마음대로 QoS를 만들 조건은 갖추어 졌다.. 작성자는 얼굴을 건드리는 것은 별로 좋아하지 않기에 얼굴쪽은 다른 누군가가 연구를 해주었으면 한다.


참고로 png를 bmp로 바꿀땐 단순히 .png를 .bmp로 바꾼다고 적용이 되진 않으므로 확장자 변경 사이트를 쓰자. 


또한 bmp의 이름은 부위에 따라 정해져 있는데 '00.bmp'는 몸통, '01.bmp'가 팔이다.(다른 부위는 다른 글 참조)


그리고 QoS 타투에 관한 자료는 픽시브에 'スキン配布(コイカツ)'  태그를 입력하면 상당히 많은 자료를 쉽게 구할 수 있다.

(작성자가 5분도 안되어서 캐낸 자료)


이제 더이상 코이카츠 QoS는 그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QoS를 돚거 해오기 위한 준비는 갖추어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