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이 활성화되고 레딧에 대해 몇 번 정보글을 올렸더니 

알아서 뉴비들끼리 자발적으로 레딧에 탐방 들어가서 이것저것 물고 오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편안해진다. 


그런데 레딧이 아무래도 영어다보니까 기본적으로 이용 방법에 대해 어려워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서 


지난 번엔 렙에 관한 레딧의 서브레딧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번엔 레딧의 이용법에 대해 본격적으로 설명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다. 



우선 가장 기본적인 검색창이다. 

우린 레플리카에 대해 찾을거니까, 여기 rep 이라고 가볍게 검색 해보도록 하자.



그럼 검색 결과가 이렇게 세 가지로 세분화 되어 있을텐데, 

1. Posts는 해당 이름을 가진 글을 검색 

2. Communities는 해당 이름을 가진 서브레딧을 검색

3. People은 해당 이름을 가진 유저를 검색하는 것이다. 


커뮤니티 탭으로 넘어가서 우리가 원하는 렙 게시판을 찾아 들어가도록 하자. 



서브레딧의 기본적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다. 

필요한 버튼을 눌러서 정렬하여 보도록 하자. 


그리고 가장 중요하고 유용한 기능이, 우측 하단 메뉴에 나와있는데

바로 Flair 기능이다. 



해당 버튼은 이쪽 채널로 따지자면, 말머리 기능으로서 

버튼을 누르면 원하는 글만 정렬해서 볼 수 있게 된다


여기 모든 태그가 표시된건 아니니 적절히 검색해서 원하는 태그를 찾아서 적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보자. 


+검색창 앞에 저런 식으로 회색 테두리 안에 서브레딧 이름이 붙어있다면, 그건 해당 게시판 안의 내용만 검색한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서양 렙붕이들의 '착샷'이나 '코디'를 검색해볼까 한다.
(이쪽 채널에선 '셀렉' 말머리) 



Outfit 이라고 검색 해봤다. 

BUDGET 이라는 말머리가 나온다. 


이 태그는 '가성비', '개후레' 저렴이 제품들을 의미한다. 

레딧은 유저 수가 70만명 이상인 만큼, 한국의 '익숙하고 검증된' 셀러만 사는 대부분의 유저들과 달리 

선발대가 너무나 많고, 타오에서 보이는건 닥치는대로 주워담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후기들도 많고, 개후레 제품들에 대한 정보도 많다. 


8만원에 옷 한벌 쫙 빼입는 코디도 있으니, 본인이 가성비 제품이 필요하다면 해당 Flair(태그)를 적극 애용하면 된다. 



아래쪽으로 조금 더 스크롤을 내려보니, 

STYLEBOARD 라는 플레어가 나왔다. 


딱 봐도 감 잡히지? 이게 코디(우리 챈에선 셀렉)라고 보면 된다.

해당 태그는 자신이 사려는, 또는 산 아이템들의 코디를 구매 링크와 함께 추천해주는 성격의 게시글들을 한데 모아둔 곳이다. 



이외에도, FIND나 REVIEW 등, 다양한 플레어들이 있다.


해당 서브레딧의 주요 태그들은 다음과 같다. 

검색해서 잘 써먹도록 하자. 


+wEaR wItH c0nFiDeNcE 는 " 자신감을 가지고 입어라 아무도 모른다 " 라는 느낌의 말로서, 개후레 제품의 사진들을 올리는 일종의 밈 태그이다.


이외의 도움 될만한 용어 모음집: 


줄임말
풀어쓴 말
의미
예시
QC
Quality Check
주로 레플이 정품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는 의미로 '이거 사도되냐?'는 의미
Hey guys can you QC this? (얘들아 이거 사도 되는지 한번 봐줄래?)
LC
Legit Check
정가품 판별
I wanna get a LC for this shirt (이 셔츠 정가품 판별 좀 해줘)
W2C
Where to Cop
어디서 사냐?
W2C? (그거 어디서 사냐 링크 좀 줘)
OOS
Out of Stock
재고가 없다
That color is oos. (그 색은 품절이야)
GL
Green Light
사도 좋다. 보통 QC 올린 제품에 댓글이 "GL" 이렇게만 달리는 경우도 상당함
Looks good! GL (퀄 괜찮네! 질러!)
RL
Red Light
제품에 문제가 있다. 그거 사지 마
RL. There are some flaws. (문제가 몇 개 보인다. 사지마)
TTS
True to Size
평소 사이즈와 맞다: 사이즈업이나 다운을 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
Does this run tts? (이거 정사이즈야?)
1:1
1:1
정품과 1:1로 놓고 봐도 똑같다. 0.7:1 이런 경우에는 레플 제품이 한 70% 정도로 정품과 비슷하다는 말
This product is 1:1 (이 제품은 정품과 1:1로 놓고 봐도 문제가 없다)
GP
Guinea Pig
리뷰가 없는 제품을 총대 메고 사는 것 
I will GP this (내가 총대 메고 이거 사본다)
B&S(B/S)
Bait & Switch
QC사진은 정품이나 상태 좋은 제품 보여주고 실제로는 쓰레기 품질 보내주는 행위 
The pic seems too good. Looks like B/S (사진 보니까 물건이 너무 좋아 보인다. 사기치는듯)
Batch
-
(줄임말 아님) ~공장
The OG batch was terrible (OG 공장은 최악이었어)
BOGO
Box Logo
보통 슈프림 박스 로고를 의미
I need a QC for this BOGO (이 슈프림 박스 로고에 대한 QC가 필요해)
UB
Ultra Boost
아디다스 울트라 부스트를 의미
예시 생략
BRED
Black & Red
검은색과 빨강의 조합이면 보통 BRED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도 그냥 브레드라고 얘기함
예시 생략
Call out
-
(줄임말 아님) 레플 입다가 걸린다는 의미로 씀 
If you wear this someone will definitely call you out (너 이거 입으면 무조건 걸려)
No ones gonna call you out with this one (이거 입어도 아무도 못알아볼 걸?)
rep
replica
레플리카
예시 생략
OW
Off-white
오프화이트
예시 생략
TBH
To be Honest
솔직히 말해서
예시 생략
GRAIL
-
(줄임말 아님) 원래 뜻은 '성배'인데, 레플 쪽에서는 인생템, 내 로망 아이템이라는 뜻으로 씀
That is grail (이거 인생템임)
IDK
I Don't Know
몰라
idk if its tts (이거 정 사이즈인지는 잘 모르겠어)
GOAT
Greatest Of All Time
가장 뛰어난, 최고인, 쩌는
That seller is goat for nikes (그 셀러가 나이키 쪽은 최고야)


이거 굿럭 아닌거 이제 알겠지?


우리 채널 게이들의 많은 레딧 탐방과 탐사대 조직을 응원한다!


+전부 워터마크를 박으려다 글이 너무 길어 이미지만 박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