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방식대로 파밍했을 경우 성공률은 다음과 같다.

한정조건을 걸고 파밍했기 때문에 불안정한건 사실임. 이 점은 염두해둘것.



- 한정조건

5성은 오로지 히알린만이 사용 가능

배포 및 한정 캐릭 완전배제

장비는 쌍둥이를 잡아서 얻을 수 있는 장비 사용금지




1. 쌍둥이년이 어떻길레 일케 빡심?

스펙이 동일한줄 알았더니 살레나쪽 체력이 더 작다. 그래서인지 따로 조작 안해도 살레나만 패더라.

보스 스펙은 서로 다르니 주의.



- 셀리나 (흰머리년) - HP 324622 / 저항 80


평타

공격시 다른 보스(살레나)가 원호공격 하게 만듬

-> 공격을 1+1으로 함. 평타딜이 재법 쌘 편이라 탱커들은 좀 낫지만 딜러들이 죽어나가게 되는 원인


스킬

광역딜 3턴쿨 + 적 버프 2개 삭제 + 피대미지 기반 추뎀? + 적 회복불가 2턴 +이걸로 반격+추가공격시 대미지 30% 증가

-> 공격


페시브

디버프가 걸린 상태에서 피격시 공격대상을 반격+자신이 받은 데미지가 24000 이상이면 스킬로 추가 반격

-> 마도카 같은 애가 광역기 쓰면 광역 반격 날아옴.



살레나 (진회색년) - HP 140246 / 저항 80


평타

행밀 20%+도발

-> 별거 아닌거 같은데 예내 공격받으면 앵간해선 반격날린다. 이게 엄청난 시너지를 냄.


스킬

광역딜 3턴쿨 + 첫턴 즉시발동 가능 + 다른 보스 회복 + 공깎 + 이걸로 반격이나 추격시 위력 30퍼 증가

-> 공깎이 있어서 장기전을 가야 한다면 반드시 클린징이 필요. 또한 큰 의미는 없지만 안그래도 피통 많은 셀리나년이 좀처럼 죽질 않는 원인.


필살

5턴쿨 + 전체 디버프 2개 해제 + 다른 보스 행증 40% + 전체 공증 2턴

-> 어차피 보스딜이 워낙 쌔서 이거 볼 상황이면 겜 터진거나 다름없음.


페시브

방증 30% + 방깎 걸리면 적 전체에게 방깎 30% + 최대체력 12% 이하의 대미지를 입으면 반격

-> 이것이 지옥같은 파밍난이도의 원인이다. 후술함.





간단 요약

보스를 팬다 -> 반격을 치고 광역반격이 날아옴

보스가 팬다 -> 추격이 또 날아옴.

회복불가에 도발이 있어서 파티의 유지력을 크게 떨궈버림.

방깎을 걸었더니 우리도 방깎이 걸려서 딜러들이 죽어나가네.



파훼법


0. 딜찍누

존나 샌 죽창을 박아넣어 원턴킬 한다. 참 쉽죠? 그 소리 하려고 내가 이 글 쓰는게 아니다.



1. 파티의 생존력을 올린다.


보스에게 공+명깎을 걸어 파티의 생존력을 높게 만든다. 특히 명깎이 중요함.

보스 잡기 ㅈ같은 이유가 바로 디버프빨인데 편향뜨면 디버프를 걸지 못하기 때문에 한결 쉬워진다

-> 광역 명중깎 캐릭은 여럿 있는데 특히 로벨리아의 공명속깎은 적 회피 유무의 영향을 받지 않아 매우 유용하다.


보스 공격이 꽤 아프고 특히 도발때문에 힐러들이 재때 힐을 못준다.

-> 쿄코 페페 제시 같은 애들로 어그로를 예내들이 부분적으로 받게 해준다

-> 크림 같이 턴 단위 면역을 부여하는 캐릭도 나쁘지 않음. 하도 ㅈ같이 많이 공격이 날아와서 힘듬.



2. 방어 디버프를 걸지 않고 잡는다

-> 레일라나 칼미아 같은 방관 딜러나 위의 영상처럼 부식을 쌓아 잡는 방식 둘 중 하나를 사용해보자. 대부분 고인물들은 레일라를 쓴다.



3. 피격 트리거 캐릭터를 활용하고 흡혈 셋팅으로 보스에게 까인 체력을 다시 회복한다

-> 라이자 같이 피격시 반격하는 딜러를 쓰는것도 예전 짱섭 할배의 추천픽 중 하나였고, 카구라 흡혈버프까지 받으면 무한하게 서로 반격을 주고 받는 광경도 볼 수 있다.




추천 스펙은 보스 행동 전에 처치하는거 아니면 앵간해선 체력은 만은 넘기고 힐러나 탱커는 2.5만 이상을 맞추는걸 권장함.


기본적으로 온몸비틀기 조건은 저런데, 앵간해선 저렇게 굴리지 말고 추천픽 애들을 기용하자.


의외로 로코가 쌍둥이 보스 상대로 잘 싸운다.

다만 앵간한 딜러가 다 그렇지만 생존기가 없기 때문에 로코가 죽지 않도록 보조만 잘 해줘도 전복날 위험이 크게 내려간다.


별 영양가 없는 글이고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