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구독자 9명 알림수신 0명
불평등, 수저계급론, 저출산과 고령화, 자살과 고독사, 노인빈곤, 취업빙하기 그리고 기본소득이 가져올 새로운 세상
전체글 개념글
최근 최근 방문 채널
    최근 방문 채널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
      공지 아카라이브 모바일 앱 이용 안내(iOS/Android)
      30795717  
      공지 기본소득 요점 정리
      615  
      공지 민원 창구
      50  
      공지 기본소득 재원 마련 방안
      116  
      공지 기본소득 채널 공지
      114  
      숨겨진 공지 펼치기(2개) 
      151 언론 소득세·종부세 13조 더 걷는다…부자증세 본격화
      45 0
      150 언론 '코로나 재정 위기' 미국 주정부들 부자 증세 본격화
      32 0
      149 언론 '개발독재 시절 마인드' 홍남기와 기재부 작심비판 [이철희의 공덕포차 ep18 엑기스]
      30 0
      148 언론 정부 지원 K뉴딜 일자리인데…단순반복 작업에 무늬만 디지털도
      43 0
      147 언론 코로나 이후 2030 일자리 줄고, 중장년층은 공공 일자리로 버텨
      26 0
      146 언론 “이재명은 맞을수록 큰다?” 친문계 공세에도 지지율↑
      30 0
      145 언론 홍준표, 기본소득 주장 이재명에 “양아치 같은 행동으로 주목 끌어”
      31 0
      144 언론 김태기 교수 “이재명 기본소득은 궤변… 현 정부의 뇌관은 세금”
      37 0
      143 언론 "기본소득은 중산층과 취약계층을 한 배에 태우는 아이디어"
      26 0
      142 언론 세계 꼴찌 출산율…저출산 예산 225조 어디에 썼기에? [MBN 종합뉴스]
      26 0
      141 언론 "의사 대물림 40%" 日서 '스카이 캐슬'은 현실...한국은?
      90 0
      140 언론 [금경의 경제서가(書架)] 엘리트 세습
      36 0
      139 언론 [단독] 국민 절반 “신분 상승·법 집행, 공정하지 않다”
      28 0
      138 언론 "모든 소득원천에 5% 과세" 기본소득 증세안 나왔다
      15 0
      137 언론 이재명 “기본소득이 우파 정책? 신자유주의 극복하는 수정주의!”
      20 0
      136 언론 [단독] "무주택자면 무조건 살 집을"...이재명 '기본시리즈' 1호 법안 나왔다
      35 0
      135 언론 이재명 “눈 크게 뜨면 보이는···선별복지 홀릭에서 벗어나야”
      21 0
      134 언론 범여권 토론회서 기본소득 증세안…"소득의 5% 일률과세"
      21 0
      133 언론 [집중취재M] 잘살아도 못살아도…기본소득 공정한가?
      34 0
      132 언론 조정훈 지지율 0.3%인데···서울시장 후보들 러브콜 쏟아진다
      18 0
      131 언론 이재명 '기본소득제' 논의할 전국 협의체 4월에 뜬다
      33 0
      130 언론 이재명 "재난기본소득, 돈 아닌 '의지' 문제"…경북지사 주장 반박
      29 0
      129 언론 이재명의 '기본소득', 소득격차 개선 효과 통계로 입증돼
      29 0
      128 언론 기본소득 논쟁, 이 답변이 있어야 한다
      18 0
      127 언론 정세균-김경수 동시 ‘기본소득’ 비판… 이재명 “논쟁 뿌듯”
      14 0
      126 언론 조정훈 “1년 2개월 안에 당신을 위한 서울 만들겠다”
      19 0
      125 언론 김경수 “포퓰리즘 공약으론 대선 어려워”…‘이재명 기본소득’ 직격
      25 0
      124 언론 “코로나 2028년에나 종식된다”…블룸버그의 우울한 전망
      59 0
      123 언론 OECD 사무총장 “재난지원금, 가장 필요한 계층에게”
      18 0
      122 언론 [뉴스터치] 골프장 신용카드 사용액 2030 세대서 증가
      58 0
      전체글 개념글
      Keyword search form input

      사용하고 계신 브라우저가 시간대 설정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GMT 시간대가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