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는 예고했듯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받는 드라군 BD145 RDF를 초반에 튕겨나가지 않는다면 확정적으로 OS시킬 수 있는

메베블 좌회전 흡수의 종결지 크라켄 드라군 90 EWD임.


1. 각 파츠 설명 및 수급 방법


MSF2-L - 마찬가지로 메탈스톤페이스 버전2를 주로 사용함. 깥쪽 부분을 금속으로, 코어 부분을 클리어 재질로 커스텀한 MSF2-L를 사용함.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정품 개당 10000원 초반대에 구매할 수 있음. 부담되면 굳이 메탈스톤페이스 안쓰고 기본 스톤페이스 써도 무방할듯.


크라켄 - 드라군과 가장 잘 맞는다고 평가받는 스태미나 싱크롬 파트너. 구매처는 아래 링크. 

Amazon.com: BEYBLADE A230JSB Shogun Steel Beybattle SS-13 Pirate Kraken Tops : Toys & Games

+ 설명 추가 크라켄이 구하기 어렵다면 리바이저로 대체 가능함.


드라군 - 좌회전 싱크롬휠.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미드페이크로 개당 15000원 정도로 저렴하게 구매하거나 크라켄과 마찬가지로 아마존에서 하스브로판으로 2개 50000원 정도에 구할 수 있음. 아마존 구매처는 아래 링크.

Amazon.com: Beyblade Ronin Dragoon Playset : Toys & Games


90 - 저중심 스태미나 조합에 가장 이상적인 높이의 트랙.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스크류 카프리콘 90 MF으로 수급할 수 있음. 스크류 카프리콘의 경우 클리어휠을 제외한 모든 파츠가 널리 쓰이니 하나씩 사두는 거 추천함.


EWD - 저중심 스태미나 타입 기준 가장 높은 고점을 가진 바텀번개장터에서 키라 비폴 배틀용으로 올라온 매물 찾아보면 구할 수 있음. 정 구하기 어렵다면 WD로 대체할 수 있음. 얘도 번개장터에서 바샐트 호로지움이나 플레임 픽시스, 그라비티 페르세우스, 어스 아쿠이라 등 엄청 쉽게 구할 수 있음. WD의 경우 EWD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보여주지만 EWD나 W2D같은 고점 높은 WD 파생형 바텀 상대로는 반바퀴 차이로 질 확률 높아짐. 


얘는 메탈페이스가 꼭 필요하지는 않아서 대략 7~8만원 안팎으로 구할 수 있을듯?


2. 실전 성능 소개

좌회전 + 저중심 + EWD = 지옥의 좀비

예전부터 좌회전 저중심 EWD 조합은 휠과 휠이 닿지 않아 회전력 흡수가 불가능한 고중심을 제외한 모든 우회전 베이를 상대로 OS(Over Spin의 약자 말 그대로 더 돌았다는 뜻. 스태미나 존버 싸움을 의미함.) 싸움으로 승리할 수 있었음. 여전히 리미티드 포맷에서는 굳건한 메이저 조합이기도 한 메테오 엘드라고부터 이어져온 상당한 근본 컨셉이라고 할 수 있음. 이런 컨셉의 가장 강력한 끝판왕이 바로 크라켄 드라군 90 EWD다. 좌회전 흡수 조합의 단점이 체급이 낮다는 것이었는데 크라켄 드라군은 그런 거 없다. 좌회전 베이가 싱크롬으로 우회전 베이와 체급이 같아진 순간 밸런스는 이미 망가진 것이나 다름 없음. 동등해진체급에 동회전 역회전 상대 가리지 않고 뒷심 싸움 하나는 최강인 90 EWD 콤보를 달아버리니 스태미나로는 200 높이 이상의 고중심을 제외한 모든 베이를 상대로 반반 이상으로 가져갈 수 있는 베이가 만들어짐. 물론 공격형 베이한테 맞고 튕겨 나가거나 휠이 맞닿지 않아 흡수가 불가능한 높은 트랙을 채용한 베이들을 상대로는 확 힘이 빠져서 아예 무상성 사기 베이는 아님.


스파링을 해보도록 하자. 상대는 다음과 같음.

1편 드라군 BD145 RDF 스파링 상대들과 이번엔 BD145 RDF도 스파링 상대로 추가됨.


VS Wyvang 드라군 BD145 RDF

스태미나 싸움으로 들어가면 동회전 RDF는 EWD를 절대 이기지 못함.

근데 BD145 RDF가 무상성 콤보라고 불리는 이유는 영상 초반부처럼 날려버릴 각이 나오기 때문. 영상에서는 아쉽게 스타디움 아웃을 못시켰는데 최대한 힘주고 각도 조절해서 쏘면 어려울 것도 없을 것 같음. 


VS 듀오 B:D

가장 많이 쓰이는 최강의 우회전 스태미나 콤보 상대로도 무승부 혹은 반바퀴 승리를 따낼 수 있음. 크라켄 드라군이 더 낮아서 아주 조금이라도 살짝 유리한 감이 있는듯.


VS 겐블 겐블 90 EWD

사실 얘네는 아예 똑같은 컨셉에 우회전 / 좌회전 차이라서 개체 좋은 쪽이 이기는 정도. 그냥 동급이라 봐도 무방함.


VS 팬텀 E230 MB

생각보다 잘 싸워줘서 놀랐음. 베이직한 230 트랙 상대로는 그대로 말라죽는데 아마 E230의 플라스크 디스크가 크라켄 드라군에게 회전력을 흡수할 건덕지를 줘서 악수로 작용한 느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중심 쥐잡듯이 잡는 상성때문에 아쉽게 패배함.


VS 플래시 S130 RF

확실히 BD145 RDF보다 공격에 취약해진 게 체감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싱크롬 무게빨로 초반 공격 러시 버티면 이기는 모습도 나오는데, 요건 운이 따라줘야하고 영상에 나온 세번 모두 드라군이 스타디움 아웃 당했어도 이상하진 않았음. 


VS 디아블로 BD145 RF

오히려 디아블로는 145높이라 공격 포인트가 맞지 않아 날리기 힘들어하는 모습. 결국 높이가 맞아야 스타디움 아웃 확률이 늘어남.


VS 베기라도스^2 100 RF

얘는 열판 가까이 찍었는데 승부가 너무 일찍 끝나서 건진 영상이 별로 없네.. 베기라도스가 제대로 슈팅하면 대부분은 저런 구도 나오면서 스타디움 아웃 시킬 수 있는 것 같음.


총평을 해보자면 깡스태미나는 최강이지만, 공격형에 뚫릴 위험이 있고 고중심이라는 카운터가 있는 바람직한 흡수형 베이.

"결국 끝까지 흡수한다면 내가 이겨." (물론 같은 저중심 EWD이나 W2D 조합 상대로는 엄대엄이지만 그건 뭐 미러전이나 다름 없다고 치자.)


이렇게 내가 소개해줄 제로G 베이는 거의 끝났어. 마지막은 공격형이니까 조금 번외 느낌으로 봐주고, 내가 생각했을 때 현재 구할 수 있는 제로G 싱크롬은 드라군이나 체급으로 밀어붙이는 공격형 말고는 4D보다 성능이 딸린다는 점이야.

마지막으로 내가 추천하는 제로지 조합은 궁극의 공격형이라고 불리는 베기라도스 베기라도스 100 RF. 

다음주 주말쯤에 글 올라갈 것 같으니까 조금만 기다려줘~


아 그리고 마무리하면서 영상 찍을 당시 감기가 심하게 걸려서 골골거리는 소리 조그맣게 들리는데 이점 양해 부탁할게 미안해..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