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허접한 그림1>

<어느 게이의 의문점>

<허접한 그림2>

<설명충 파트>

<정리>

<마치며>


본문

<허접한 그림1>


이때, 엔진이 소리를 내면서 하는 일을 바퀴를 굴리는 "힘" 을 만드는 작업이라고 본다.

즉, 바퀴가 엔진이 만든 "힘" 을 받아서 땅을 뒤로 밀어내는 "일" 을 하면

차가 앞으로 밀려나간다.


<어느 게이의 의문점>

그럼 이제 어떤 게이가 가진 의문점을.Araboza

여기서 짚어볼 주제는 "물체의 빠르기와 방향에 변화가 없다면 힘이 왜 작용하지 않는다고 보는가?" 이다.


<허접한 그림2>

아래의 그림을 보자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상황을 상상해야된다.

완벽하게 평평한 일반 도로, 엔진이 꺼짐


그림은 차가 언젠가는 멈추는 상황과 이유를 알려준다.

마찰력의 힘의 방향을 표시하지 않은 앙증맞은 찐빠가 있지만 넘어가도록 하자


<설명충 파트>

차가 앞으로 가는 이유는 마찰력보다 바퀴가 땅을 밀어내는 힘이 커서 그렇다.

근데 그 힘이 없댄다.


그리고 차의 수직방향 아래로 항상 중력이 작용하고 있다.

우리가 땅에 붙어서 있을수있는 이유가 중력이다.


엔진이 꺼졌으니 힘이 0인, 즉 앞으로 가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때 차를 멈춰주는 힘으로 마찰력과 중력이 있다.

마찰력과 중력이 있는 한 차는 언젠가는 멈춘다.

마찰력과 중력은 차(물체)의 상태(앞으로 이동) 을 변화시키는 힘이다.


<정리>

그렇다면 본문의 질문에 맞추기 위해 마찰력과 중력을 제거시키고 문장을 완성하면

달리던 차(물체)엔진이 꺼진상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힘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 일때

마찰력과 중력 (물체의 빠르기와 방향의 변화를 주는 힘)없다면(작용하지 않을때)

달리던 차(물체)현재상태를 유지한다(변화가 없다)

를 만들수있다.


이때 굵은 글씨만 뽑아보자

물체 /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힘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 / 물체의 빠르기와 방향의 변화를 주는 힘

작용하지 않을때 / 물체 / 변화가 없다

여섯가지가 나온다.


이제 이 여섯가지를 잘 조합하면

물체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힘이 작용되지 않으며, 물체의 빠르기와 방향의 변화를 주는힘작용하지 않을때, 물체상태는 변화가 없다.

이렇게 조합할수있다.

이걸 좀더 다듬으면 게이의 의문점인

물체의 빠르기와 방향에 변화가 없다면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를 만들수있다.


<마치며>

이때, 물체(자동차)하던(앞으로가던) (힘)을 유지 하는것을 관성 이라고 부른다.

아마도 의문을 가진 게이는 관성에 대한 정의에 의문을 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잘못됐다면 지적 씨게 바람

애초에 교육 관련 자격증도 없고, 머리속에 있는걸 토대로 글쓴 게이의 의문점을 내가 아는선에서 최대한 쉽게 풀어써본거임



ㅂㅇㅇㅇㄱ : 내 부계정이 아코, 히마리, 수시노, 미카, 수로코 가 없는 짐승의 삶을 살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