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차 일섭: 2021-11-09 ~ 11-24 || 한섭: 2022-06-21 ~07-05 

2회차 일섭: 2022-06-08 ~ 06-22 || 한섭: 2022-12-27 ~ 2023-01-10

3회차 일섭: 2022-07-06 ~ 07-20 || 한섭: 2023-02-14 ~ 2022-02-28

4회차 일섭: 2022-11-16 ~ 11-30 || 한섭 : 2023-05-16 ~ 2023-05-30

5회차 일섭: 2023-12-06 ~ 12-20 || 한섭 : 2023-06-11 ~ 2023-06-25


아오이 강점기가 끝나고 드디어 찾아온 이벤트 시즌.

1년동안 소식도 없다가 아직 살아있다고 생존신고를 올린 데카그라마톤 특수작전이다. 물론 이 뒤로 반년동안 잠수중이긴 하지만.


참고로 5회차 이후 한 2달? 정도 지나면 데카그라마톤이 상설화로 옮겨진다. 그 뒤로는 우측 하단 이벤트 캘린더에서 언제든지 감상 가능


c.f) 데카는 챌린지 특으로 챌린지 보스가 일종의 스포일러다. 스포일러 민감하면 챌린지 파트는 넘기고, 스토리 다 본 다음에 돌아오자


> 회차별 차이점 모음

2회차: 고대 전지, 위니페소키 스톤 || 토템폴, 디스코 콜간테 || 스토리 4까지 확장, 데일리 미션 개선

3회차: 고대 전지, 위니페소키 스톤 || 보이니치 사본, 볼프세크 철 || 스토리 7까지 확장, 챌린지 1 추가

4회차: 고대 전지, 위니페소키 스톤 || 토템폴, 디스코 콜간테 || 스토리 12까지 확장, 챌린지 4까지 확장

5회차: 머리가 자라는 인형, 보이니치 사본 || 아틀란티스 메달, 디스코 콜간테 || 스토리 16까지 확장, 챌린지 6까지 확장



> 진행 방식

1. 매일 AP를 소모해 데일리 미션으로 작전 데이터2를 수급 << 이때, 이벤트 시작 전에 돌린 AP는 당연히 적용 X화요일 오전에 AP 빼는 사람은 참고할 것

2. 수급한 작전 데이터2로 Quest를 돌아 오파츠 획득

3. Quest에서 쓰러트린 적 마리수 업적을 통해 작전 데이터1을 획득

4. 작전 데이터1의 누적 획득 수로 스토리 해금, 진행

이후 매일 1~2 반복


즉, 이벤트 자체에는 AP 소모가 없다. 스토리 첨부된 총결산이라고 이해하면 간단.


> Quest 공략


이번 5회차 오파츠는 머리가 자라는 인형, 보이니치 사본 || 아틀란티스 메달, 디스코 콜간테



지역당 드랍되는 오파츠와 확률은 다음과 같은 위와 같다. 110%의 뜻은 하나는 확정으로 드랍되고, 추가 드랍 확률이 10%라는 뜻


> 10지역 영상

 


전투는 영상과 같이 사방에서 몰려오는 거점방어 느낌


스테이지 난이도가 이벤트 스테이지 치고 어려운 편이고, 과거에는 레벨제한 90 맵에 최대레벨 80 이래서 체리노 없는 선생들 3별을 조금 괴롭혔던 이벤트였으나, 지금의 스펙으로는 범부인 스테이지.
그래도 뉴비 선생을 위해 그시절 영상 하나 남겨두니까, 참고할 선생은 참고하자. 이오리만 쓰는 모범적인 저스펙 플레이라서



> 데일리 미션

미션 내용보상
AP를 50 소비작전 데이터2:TypeD-X×10
AP를 100 소비
AP를 200 소비작전 데이터2:TypeD-X×20
AP를 300 소비
AP를 400 소비
AP를 600 소비
AP를 800 소비
AP를 1000 소비
AP를 1200 소비작전 데이터2:TypeD-X×30
AP를 1400 소비
AP를 1600 소비
AP를 1800 소비


앞서 설명한 스테이지를 도는데 필요한 데이터 2를 수급하는 데일리미션. 총결산과는 다르게 업적 클리어 방식으로 구간별로 데이터를 지급한다.


> 챌린지 공략


일단 챌린지 공통으로 주의점이 하나 있다면, 챌린지를 포기하면 들어간 작전 데이터2 5개 중에서 4개만 돌려준다. 스테이지 소모량이 10의 단위라서 사실상 못쓰는 나머지라서 신경쓰이는 사람은 참고할 것


이번 5차 데카에서는 챌린지 05, 06이 해금. 데카 챌린지 즈언통으로, 챌린지가 스펙 부족할수록 많이 빡빡하다. 특히 챌 4는 그때 기준으로 상당히 고난도의 챌린지였고.


그래도 이젠 미카=관통 깡패가 등장해서 단일 챌린지는 편하다. 미카가 없던 시절의 관통 보스 체력을 감상해보자..


챌2,3,4

데카 챌린지 2,3,4 업적클 모음

이거는 예전 게시글이긴 한데 적당히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고. 그보다 미카 출시 이후의 챌린지 1~4 재공략 버전 영상 찾기가 힘들기도 하고. 


>> Challenge 01 폐허 수몰지구 미확인 구역(廃墟水没地区未確認区域) [85초 이내 클리어]

 


깍두기와 체력 25만/35만/85만의 케테르가 3회에 걸쳐 등장하는 챌린지.


미카+이오리+모모이 3신기로 끝



>> Challenge 02 폐허 수몰지구 폐쇄구역 A(廃墟水没地区閉鎖区域A) [95초 이내 클리어]

 


체력 500만의 케테를 TYPE.V를 격파하는 챌린지

시작하면 탱크가 케테르의 공격을 받아주는데, 2000씩 박히는 데미지를 보면 알겠지만 탱크 말고 학생이 공격에 노출되는 순간 바로 헬기로 사출당한다. 즉, 탱크를 계속 살려야되는 챌린지


돌파법이 2가지 정도로 갈리는데, 하나는 대충 탱크만 살리고 딜은 이쪽이 넣기. 아니면 탱크한테 버프를 몰아줘서 탱크가 잡도록 하기. 예전에는 카즈사를 키워뒀으면 전자 (또는 이오리/마키/체리노 전체 육성, 아니면 후자였는데, 지금은 모두의 미카가 있으니 전자로 가면 된다. 그래도 스펙 딸리면 후자처럼 탱크에 아코+히마리 발라주면 탱크 딜이 든든해서 잘잡으니까, 저스펙 선생은 참고할 것.


여튼 어느쪽이든 코하루같은 힐러 대동은 필수적. 미카가 있다곤 하지만 시가지라서 아코+히마리 미카가 2타컷을 못내기 땜시. 뭐 수우이까지 데려가면 퍼지기 전에 잡는게 가능할수는 있겠는데 그건 안해봤고, 그냥 편하게 코하루나 쓰자.



>> Challenge 03 폐허 수몰지구 폐쇄구역 B(廃墟水没地区閉鎖区域B) [95초 이내 클리어]

 


시작하자마자 캐릭터가 세로로 정렬해서 시작한다.

일단 드론과 자잘한 스위퍼들이 나오는데, 플라즈마장 발생 장치가 깔아주는 받는 데미지 감소 장판 위에 있어 크게 아프진 않다.


적당히 잡다보면 다음 장치로 넘어가고, 그놈의 수복재 보관장치 2개를 대동하고 케테르가 등장. 당연히 저걸 부숴버리면 케테르가 회복해버리므로 여기서는 자동으로 체리노가 봉인된다. 


이전에는 케테르 1타컷이 카즈사 유무에 따라 좀 갈렸는데, 지금은 미카가 확정으로 뚝배기를 깨준다. 따라서, 케테르 담당 일찐은 미카로 2페는 바로 끝내버리고, 1페만 적당히 범위 딜러 데려가서 밀면 끝나는 챌린지



>> Challenge 04 폐허 수몰지구 중심부(廃墟水没地区中心部) [95초 이내 클리어]

 



 


이번 챌린지는 깍뚜기가 메인. 무적판정 케세드가 주기적으로 잡몹에게 명중/이동속도/공격력 증가를 걸어오고, 헤세드와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스위퍼에게 자폭 상태이상을 걸어 자폭시킨다. 이런 스위퍼를 전부 잡아내면 클리어. 


개요 설명은 간단한데, 이 챌린지가 타이밍이 미칠듯이 빡빡했다. 일단 잡몹 챌린지 특유의 거지같은 변수 덩어리에다가, 스테이지 자체도 좀 길어서. 그런주제에 잡몹 대미지가 약하지도 않아서 생존 3별이 날라가는 경우도 허다했고
지금 스펙으로 도전해도 미카 담당일찐 플레이가 아닌 챌린지라서 여전히 빡빡하다.


수나코를 그나마 쓸수는 있지만, 진동인 수나코는 중장 반감이라 검뚜기급은 또 못잡는다. 결국 이전보다 변수만 조금 줄어든 챌린지라, 지금 깨라고 해도 여전히 난이도가 있는 편.



>> Challenge 05 얼어붙은 바다 신호 발신지 A(凍った海の信号発信地A) [150초 이내 클리어]

 


체력 650만의 게부라를 상대하는 챌린지.


크게 2가지 요주의 패턴이 있는데,

1. 게부라가 전방의 캐릭터 한명을 조준하고, 동시에 전체에 방깎 디버프를 걸고, 시간이 지나면 전체에 시밤쾅 미사일이 떨어진다. 87랩이면 전체 즉사할 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후열이면 체력의 75%는 증발 

대처 방법은 조준된 캐릭터의 방깎 디버프를 해제하는 것. 방깎 디버프를 해제하면 공격 패턴 자체가 취소되면서, 게부라에게 50 대미지에 방깎 디버프까지 추가로 걸려 딜타임으로 전환 가능

이쪽분야 즌문가인 나츠/레이사를 쓰면 OK


2. 게부라가 전방위 넉백 공격 >> 이후 빔 발사로 이속깎 > 방깎 > 동결(CC판정) 순서로 걸어온다

대처법은 수복장치의 힐을 채우는 것. 이러면 동결이 걸리는 것을 막아준다. 타이밍은 HEAL!이라고 알람을 띄워주기 때문에 보고 맞출 수 있다.

다만, 딜 자체는 버틸만 하고, 이것보다 그 다음패턴인 전방위 범위공격이 더 아파서 그냥 맞아준다는 느낌으로 넘어가고, 전체 회복을 동결 끝나자마자 걸어주는 방식으로 넘겨도 된다


혹시라도 루미를 뽑은 선생이면, 광역힐+디버프 해제로 이 챌린지의 기믹을 전부 카운터칠 수 있다. 육성해둔 선생이라면 한번 활용해보자



>> Challenge 066 얼어붙은 바다 신호 발신지 B(凍った海の信号発信地B) [215초 이내 클리어]





업적 시간을 보면 알겠지만 상당히 장기전+고난도인 챌린지

잡몹+케테르 2웨이브 이후 케테르+게부라까지 격파하면 클리어


이번 챌린지 기믹으로, 초현상특무부가 잡몹의 데이터를 수집해 지원해준다

이 게이지를 꽉 채워야 게부라의 무적 실드가 풀리고, 동시에 게부라에게 일시 그로기와 파티 전원에게 초대량의 실드를 부여한다. 게이지 자체는 의식할 필요는 없고, 그냥 진행하면서 잡몹 잡으면 쌓인다


1웨이브는 유사 챌린지 4. 케테르에게 대미지가 들어가긴 하지만, 1웨이브 케테르는 챌4처럼 잡몹을 다 잡으면 알아서 격파된다. 따라서 케테르에 힘빼지 말고 착실하게 잡몹을 전부 잡자


2웨이브는 오토마타+골리앗+케테르

골리앗이 꽤 딴딴하고, 골리앗 warning기가 상당히 아파서 warning 기 날리기 전에 격파하는게 좋다

여기서 언제나의 꼼수로, 케테르가 등장 이펙트 전에 EX 조준을 하고 있으면, 등장 warning 중에도 쏠 수 있는 점을 활용해도 좋다


3웨이브는 케테르+게부라

이 케테르는 별거 없고, 게부라가 마지막 보스. 챌 5보다는 약화되긴 했지만, 그래도 게부라 공격은 상당히 아프다

그리고 설계상 초현상특무부 게이지가 게부라의 냉동빔 패턴 직전~직후에 채워지게 되어있는데, 이걸로 냉동빔 패턴을 캔슬하는 것이 이 챌린지의 핵심. 어버버 하다가 냉동되버리면 후속 전방위 공격에 피 그대로 날라간다. 이걸로 냉동을 캔슬하고, 전방위 공격을 실드로 막아낸 다음 게부라를 잡는게 정석 루트


챌린지 전반적으로 적들이 공격이 아픈편이라 힐러는 사실상 필수. 여기에 적 체력도 딴딴하니 미카, 광역 국밥 체리노에 탱커 하나로 구성하는게 일반적. 탱커는 마리나를 키워뒀으면 많이 좋은데, 마리나가 전선을 앞으로 밀어주는게 도움이 많이 된다. 특히나 게부라 냉동빔 광역 넉백 후, 미카가 자리 복귀를 못해서 게부라를 못때리는 상황이 가끔 생겨서


아니면 힐러+탱커를 아츠코 하나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러면 남은 하나에 우이나 모모이를 넣을 수 있다 다만 다 아츠코 전무를 기본으로 써서 3성으로도 안정감있게 잘 돌아가는지는 몰?루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