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섭하곤 비교도 안되는 매콤한 K-서버

신뢰를 잃은 넥슨과 대머리의 괴운영

김용하 머리털처럼 항상 떨어지고 부족한 각종 재화


이 불지옥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체계적인 재화투자가 필요하다.

지금 불타는 상황에도 유입된 뉴비들이 간혹 보여서

황새 따라가는 뱁새처럼 즐겨보기도 전에 다리 찢어지지말고 가급적 이 성장루트를 따라가길 바람.


재화 투자 순위

0. 애정캐

1. 히비키 & 아코

2-1. 스킬 성장에 따라 택틱 자체가 달라지는 학생들 (하루나, 코하루, 슌(1스), 체리노 등)

2-2. 2종류 이상 들어가는 총력전 철밥통들 [시즌마다 스펙업] (이오리, 코타마, 아즈사, 무츠키 등)

3. 1종류 총력전에 들어가는 철밥통들 [시즌마다 스펙업] (마키, 이즈나, 피나, 아리스 등)

4. 대항전 딜러 (수시로, 수히나 등)

5. 대항전 탱커 (호시노, 하루카, 츠바키 등)


===


0. 애정캐


(아루로 유입되서 꾸준히 키워주고 있지만 한번도 실전에서 써본적이 없다)


이부분은 설명이 불필요.

재밌자고 하는 게임에서 애정캐를 포기하는건 말이 안됨.

키우고 싶은 학생이 있으면 주저없이 키우자. 2~3캐릭 쯤 좆대로 키우는걸로 그렇게 큰 손해는 없다.



1. 히비키 & 아코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컨텐츠에 들어가는 히비키는 가장 먼저 성장 시켜줘야하는 학생이다.

퍼펙트를 만들어줄 필요는 없지만 밀레니엄 재화로 가장 먼저 만들어줘야할 건 히비키 ex 5, 3스킬 M 임을 잊지말자.


어느정도 성장이 진행된 선생들은 지금부터 게헨나 스펙업을 멈추고 아코를 위해서 존버해야 할 시간이다.

메타 자체를 뒤집어버리는 성능에 ex 123스 모두 버릴것없이 좋아서 키우지 않을 이유가 없다.




2-1. 스킬 성장에 따라 택틱 자체가 달라지는 학생들 (하루나, 코하루, 슌(1스), 체리노 등)


학생들 중에는 ex 레벨에 따라 코스트가 적어지는 경우도 있고 (하루나 = 1~4렙 4코스트 / 5렙 3코스트, 체리노 = 1,2렙 7코 / 3,4렙 6코 / 5렙 5코)



코스트 펌핑 및 코스트 회복력을 높혀주는 스킬도 있다.


이렇게 스킬 레벨에 따라 코스트 분배. 즉 택틱 자체가 달라지는 학생들이 있는데

중요도가 높은 스킬인 만큼 여유가 있을 때 최우선적으로 스펙업을 해줘야한다.


그리고 히비키의 뒤를 잇는 몰루 최고의 철밥통 코하루. 맵뚫 3성작때도 우수한 힐력으로 인해 존나 편해진다.

회복력에 따라서 버틸 수 있는 수준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성장시켜줘야 하는 학생.

성장이 부족한 학생은 대여시스템으로 챙길 수 있는 지금 환경에서 딜러보다 성장 우선순위가 더 높은 학생이다.

코하루만 성장이 되어있어도 총력전마다 메인딜러를 골라 빌릴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됨.



2-2. 2종류 이상 들어가는 총력전 철밥통들 [시즌마다 스펙업] (이오리, 코타마, 아즈사, 무츠키 등)


(예로니무스, 카이텐저에 개근하는 폭발공무원 아즈사&무츠키)


(관통총력전 정공전 맵뚫 어디에든 빠지지않는 적폐 이오리)


2가지 이상 컨텐츠(정공전 제외) 에 들어가는 학생들이 위 캐릭터들 이후로 성장 순위에 오르는 학생들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시즌마다 스펙업' 인데

예를 들어 지금 폭발총력전 예로니무스 때는 아즈사, 무츠키를 서서히 스펙업 시키면서 때려보는거고

금or토요일쯤

플레를 노린다면 4~6천등에 안착했을 때,

골드를 노린다면 2~3만등에 안착할 때 성장을 멈추는거다.


꼭 어떤 학생을 키울때 한번에 퍼펙트로 만들어 줄 필요가 없다.

내가 재화가 부족한 만큼 다른 선생들도 똑같이 부족해서

자기 순위를 확신할 수 있을만큼만 스펙업하고 다음 총력전을 위해 모아두는걸 반복해야한다.



3. 1종류 총력전에 들어가는 철밥통들 [시즌마다 스펙업] (마키, 이즈나, 피나, 아리스 등)

(관통 총력전 비나 담당일진 마키)


(시로쿠로 담당일진 이즈나)


위와같은 총력전 공무원이지만 범위가 좁은 스페셜리스트들이 3순위다.

위와같이 중간만 갈 정도로 시즌마다 스펙업을 해주는게 중요하며,

여기 라인에 들어가는 학생을 주로 대여하게 될거라 성장 우선순위는 낮다.

나는 이즈나를 빌려주기로 해서 스펙업을 과하게 해준 경우라

본인이 빌려줄 학생만 스펙업 해주고 나머지는 적당히만 키워주자.



4. 대항전 딜러 (수시로, 수히나 등)

(츠바퀴의 악몽 수시로)


최단기 퇴물 수히나 (어제 600엘레그마 써서 5성 만들어줌 병신 ㅋㅋ)



5. 대항전 탱커 (호시노, 하루카, 츠바키 등)


(정공전 국밥탱커 호시노)


(이렇게 일찍 쓰게 될줄 몰랐던 하루카)


(문희준)


드디어 총력전 단계를 넘어 현재 불타는 주범인 정공전이다.

생각과 다르게 스펙업을 빵빵하게 한다 해서 드라마틱한 순위상승을 기대할 수는 없고,

애시당초 스펙업 한다해서 고정으로 1~100위권에 상주할 수 있는 pvp가 아니다. (기본적으로 200~1200등까지 들락날락거리는게 일상)

결국 누가 운좋게 스킬을 박냐의 싸움이라 수시로의 경우 상대 츠바키를 골로 보낼 수 있을만큼 만 키워주는게 베스트고

수히나는 그냥 3-1순위를 적용해서 카이텐저 목표의 중간만 갈 정도로 키워주는게 좋다.

탱커의 경우 스킬작보다 성급과 장비가 더 중요하니 스킬은 4~7 정도로 매너 스펙업 해주고 여유가 될때 키워주자.


(스킬작 만렙이 하나도 없음에도 1찍튀는 기본적으로 가능할 정도로 운빨 좆망겜이다.)


결정적으로 총력전에 비해 정공전 보상은 너무 적다.

(평균 상주하는 2~500등 구간 기준 매일 청휘석 20개, 메달 80개. 대충 30청휘석 1.5충전 정도의 보상)


이것도 쌓이다보면 나름 의미가 있는 수치긴 하지만

뉴비 or 재화가 부족한 입장에서는 무리한 정공전 특화 학생들 스펙업을 멈추고,

적당히 상주할 정도에서 끝내고 하코or익스클을 목적으로 성장 시켜주는게

훨씬 더 재화 수급이 좋다.


==

😔 세줄요약 가능해?


1. 김용하 병신 대머리새끼 

2. 스펙업은 계획적으로

3. 경쟁 컨텐츠는 시즌마다 중간만 갈 정도로 스펙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