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속보

이 글과 유사한 내용이긴 하지만 재밌는 논문 같아서 가져왔습니다. (다시 보니 이 논문을 인용해서 작성한 논문이네요.)

https://arca.live/b/irstudies/102935578?target=all&keyword=%EC%9D%B4%EB%AF%BC&p=1


Lim, J. (2023). The electoral consequenc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in sending countries: Evidence from Central and Eastern Europe.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56(1), 36-64. DOI: https://doi.org/10.1177/00104140221089646


본 논문은 이민자의 정치적 속성과 이민자의 출국이 모국의 선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합니다. 

저자는 이민자들은 경제적 속성뿐만 아니라 정치적 선호도에서도 남아있는 사람들과 다르며, 대규모 이민은 송출국의 유권자 분포에 변화를 가져온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이민은 모국에 머무는 개인의 정책 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 수준의 설문조사와 이민과 선거에 관한 지역 수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앙 및 동유럽 7개국에서 이러한 주장을 테스트합니다.

잠재적인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는 도구 변수 분석을 사용하여 EU 확대 이후 영국으로의 폴란드 이민이 급증한 사례를 활용합니다. 

저는 중부 및 동유럽에서 온 이민자들이 더 젊고, 고학력이며, 정치적으로 더 진보적인 경향이 있으며, 이민자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극우 정당의 득표율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대규모 이민에 대한 노출이 남아 있는 개인의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발견했습니다.


위 링크의 논문과 차이점은 도구변수 활용 유무 정도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번 주차 수업 주제가 이민인데 내생성 문제로 도구변수 활용하는 학자분들이 계셨습니다. 한국인 교수님이라 글이 잘 읽혀서 좋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