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케시스, 멜랑코린, 유도게시아, 멜랑코리느, 에우다이모니아,


유도케시스, 유도케시아

= 헬라어 유도케시스[εὐδόκησις] (기쁨).

즐거워보이는 표정과 분홍색 색감, 입가에 둔 손가락 모양등 에서 기뻐하는, 즐거워하는 기색에서 착안.



멜랑코린, 멜랑코리느

= 영어 멜랑콜리[melancholy] (우울)의 변형.

본래 멜랑-콜리 (흑답즙 과분비증) 라는 병명이 기원.

캐릭터의 흑색 점액이 흘러내리는 모습에서 흑담즙 과분비와 캐릭터성 연관 착안.


외에도 멜랑콜리라는 단어가 사랑 이야기에서 쓰이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캐릭터의 분홍색 색채와 귀여운 몸짓에서 사랑하는 소녀의 모습에서도 착안.


에우다이모니아

= 그리스어 에우다이모니아εὐδαιμονία [eu̯dai̯moníaː] (행복) 유도케시스와 비슷한 이유에서 착안.






라이티티아, 리벤티아,


라이티티아

= 라틴어 라이티티아[Laetitia(레티시아)] (행복)

명령에 복종하는 것을 행복으로 여길 것 같은 직선적 디자인과 기사, 근위대 느낌의 캐릭터 외형에서 착안.


리벤티아

= 라틴어 리벤티아[libéntĭa] (기쁨)

명령 수행을 기쁨으로 여길 것 같은 직선적 디자인과 기사, 근위대 느낌의 캐릭터 외형에서 착안.




엘피스


엘피스

= 그리스어 엘피스[ἐλπίς](희망)을 뜻하는 단어.

우물에서 홀로 나온 연약해보이는 소녀의 모습에서 판도라의 상자에 남아있던 '희망'을 떠올리며 착안.


비쥬얼은 링 같은 느낌이지만 오히려 역으로 희망을 상징하는 느낌으로 발상의 전환을 적용.





브더에 나의 흔적을 남기는 것..


그것은 브더를 한다는 것..


브붕이들이 브더를 욕하지만, 그 중에는 애정이 있지 않겠나 하는 것..



(비너스의 상상도)

일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