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터널 리턴 초보 브루저 유저를 위한 공략을


왠 평딜도 작살난 병신 미빵이 글을 쓰냐고 할수 있지만...





병신이지만 6700점 찍었어...


그리고 시즌2 초반엔 in 1000 찍었어.






그리고 일겜에서 평딜은 높게 나온다고....


그냥 박치기한 내 잘못이지...



1. 브루저의 딜교 원리.



브루저란 무엇인가?


막연하게 브루저가 하는 역활에 대해서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설명해보라고 하면.


설명하기 어려운게 당연하다.


왜냐하면 브루저는 좋게 말하면 다재다능 그 자체라고 말할 수 있다.


1. 무리해서 아군을 무는 적군을 같이 포커싱을 한다거나.


2. 먼저 진입해서 아군이 딜을 편하게 넣게 만든다거나.


3. 적 딜러진을 자른다던가 혹은 적 주요 딜러진들이 딜을 못넣게 방해를 한다, 등등.


이처럼 많은 브루저가 할수 있는 다재다능한 역할로 인해서.


초보유저들에게 전부 설명하고 이해 시키기가 아마 정말 많이 까다로울 것이다.


그리고 이론적인 부분을 전부 설명하기엔 글이 너무나도 길어지기 때문에 필자도 힘들다...


하지만 그렇다고 너무 걱정하지 마라.


이것 화개장터 말린 미역 마냥 줄줄이 늘여서 설명하지 않고 파트를 나누어 차근차근 계단식으로 배워갈 예정이기 때문이다.



2. 브루저 입문을 위한 캐릭터 추천.



1. 레이피어 카밀로



이 친구로 우리는 브루저의 딜교 원리에 대해 배울 것이다.


생각보다 스킬 구조가 단순하다.


대신 그만큼 포지션과 적의 스킬 카운팅에 대한 디테일이 필요한 만큼 브루저에 대해서 쉽고 빠르게 배울수 있을 것이다. 


???: 이 친구 e무빙q , ewq , erq 같은 스킬 디테일이 필요하지 않나요?


그리고



왜 스킬이 더 쉽고 직관적인 케네스가 있잖아요 라고 물어볼수 있다. 


하지만 케네스와 카밀로의 차이점은 카밀로는 먼저 진입을 하기 편하다.


그리고 뒤에 나올 딜교에 원리에 대해 몸으로 직접 빠르게 배울수 있기 때문이다.


후진입을 해야 기본적으로 유리한 케네스 보다 선진입을 하며 교전 구도를 만드는 카밀로가 더 브루저를 배우는데 있어 보다 더 편할 것이다.


덤으로 그렇게까지 스킬 디테일을 배우는데 있어서는 유튜브에 잘 정리가 되어있으니 걱정하지 말자.






1. 브루저 딜교의 원리


딜교란 무엇인가?


물어본다면 서로 치고 박고 싸우면서 딜을 교환 한다는 것을 잘 알거다.


하지만 우리가 쓰는 브루저는 기본적으로 교전이 시작되면서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딜그래프가 올라가는 원리이다.


그럼? 다른 캐릭터를 쓰지 왜 브루저를 쓰냐고 물어볼수 있겠지만.


브루저가 가진 특징인 높은 기동성과 cc기를 활용해 적을 묶어 아군이 보다 더 쉽게 딜을 하게 만들거나 혹은 적 주요딜러를 짜르는데 이용이 되기 때문이다.


cc기와 높은 기동성으로 인해


초보들이 흔히들 하는 실수중에 하나인 


???:  아 3인 cc제대로 박았는데 우리팀 뭐함?


???:  아 나 혼자 들어가서 원딜 잘랐는데 우리팀 뭐함?


같은 전체적인 구도를 못보고 한타를 지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예시를 위해 영상을 하나 소개하겠다.


참고로 영상은 념글간 공략 대회 글보고 당일 급하게 망호타고 찍은 영상이다.


(5/24)



위 영상의 카밀로는 선진입과 동시에 2ㄷ1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작과 헤이즈를 피손실이 거의 없이 둘 다 따냈다.


카밀로 초반 체급이 개사기라서 이겼다라고 말할 수 있지만.


적 할아버지 체급을 생각하면 만만치 않은 조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겼다. 왜 일까?


나는 위 교전에서 2가지 규칙을 잘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1. 딜교시 내가 더 새게 딜을 때려박을 수 있을때 딜타임을 가진다.


2. 맞을때 최대한 덜 아프게 쳐 맞는다.


1번째과 2번을 지키기 위해선 우리는 캐릭터가 가진 특성에 대해 이해를 해야한다.


카밀로는 평타와 q를 이용해 지속 딜교를 하는 캐릭터이다.


이중 평타와 q 하나라도 빠진다면 딜그래프가 급격하게 줄어든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캐릭터가 가진 딜을 넣는 특징에 대해 알아야한다.


평타는 1명에게만 넣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스킬 q는 여러명을 때릴 수 있다.


그러면 딜교를 할때 어떻게 하는게 좋겠는가?


q를 쓸때는 여러명에게 맞아도 딜교환 자체는 엇비슷하게 나온다는 얘기다.


반대로는 평타를 쓸때는 최대한 적 1명에게 맞아야 한다는 소리다.


예시를 들어 보겠다.






나는 이와 같은 2ㄷ1로 맞을만한 상황이 연출이 되었을때.





헤이즈와 아이작 2명에게 동시에 맞을 상황이 되자.


딜 넣는 것을 포기하고, 카밀로의 궁극기를 섞어 적 아이작이 내게 최대한 딜을 못 넣게끔 위치를 이동하며 적이 최대한 날 못 때리게 만들었다. 


그리고 도망에만 치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대로 내가 딜을 넣을 타이밍에선 q2타 cc기와 평타를 섞어 


헤이즈에게 압을 줌으로써 헤이즈에겐 딜교를 당하지 않으며.


아이작에게만 맞는 모습을 보인다.


둘이 동시에 날 때리는 상황은 잘 나오지 않는다.


이처럼 브루저가 혼자 다수 교전에서 이기기 위한 핵심을 한줄 요약하자면.


브루저는 교전중에 어떻게든 1ㄷ1 딜교환을 하는 상황을 연출하는게 중요하다.


위 영상 처럼 원딜에게 딜 압박을 주거나 교전 중 자리를 이동하며. 


1ㄷ1 딜교환을 하기 위해서는.


1. 적군의 주요 스킬 유무.


적이 내게 위협적인 스킬이 있는 경우엔 최대한 딜 교환이 목적이 아니라 브루저만 가지고 있는 화려한 이동기로 이곳저곳 이동하며.


적의 주요 스킬을 피한 뒤 딜을 넣도록 하자.


2. 적의 시선.


수월한 딜 교환을 하기 위해서 적이 누구에게 시선이 있는지 정확하게 알아야한다.


만약 내가 아닌 아군에게 시선이 가 있다면 좀 더 쉽게 진입을 함과 동시에 딜교환을 걸면 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3. 적과 아군의 위치.


내게 너무 어그로가 끌리고 있다면 적과 아군의 위치를 잘 확인해보자.


아마 너무 어그로가 끌려있다면 그것은 아마 적군과 아군 위치를 잘 확인하지 않은 것이다.



위 3가지 규칙을 잘 지킨다면.

 

브루저가 교전중에 불합리한 딜교를 당하지 않을 것이다. 



다음 공략은 


위의 3가지


1. 적군의 스킬유무


2. 적의 시선


3. 적과 아군의 위치 확인


을 심화적으로 배움과 동시에 이것을 활용한 브루저의 교전 메이킹에 대해 배워보도록하자.


열심히 썼다...


추하지만...개추점...


고쳐야할 부분이나 지적할 부분있으면 과감하게 댓글로 머라해조...


초보 유저들이 이상한 기본기 배우면 그게 더 큰일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