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공략을 쓰는 사람은 실력없이 판수만 박은 버러지라 전적이 ㅈ박았음을 감안하고 볼 것을 바라며, 솔직히 공략도 아니고 캐릭터 소개글에 가깝다.


 캐릭터의 능력치 및 스킬 계수는 2023. 04 .13일자 패치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미리 명시함.



1. 버니스는 이런 캐릭터다.



1-1. 버니스의 능력치 


버니스는 저격총을 사용하는 원거리 캐릭터임에도 다른 원거리 캐릭터랑은 이질적인 특성들이 존재한다. 


첫번째로 캐릭터의 능력치 배분이다.



 기본 스텟이 원거리 딜러라기 보다는 근거리 딜러에 더 가까운 스텟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배율 보정은 듀오 피해 보정 98% / 스쿼드 피해 보정 95% 이며, 스쿼드에서 받는 피해는 97%다.


 원거리 딜러 치고 꽤 후한 스텟과 피해 보정을 받은 이유는 바로 버니스라는 캐릭터의 스킬 구성 때문인데, 스킬 구성이 이 캐릭터의 장점과 단점, 운영을 만들다보니 설명이 좀 길다.  


 그러니까 버니스 대충 안다 싶으면 스킬은 건너뛰어도 됨.




 1-2 버니스의 스킬



 버니스의 패시브로, 버니스의 사거리를 4로 고정시키며 평타를 부채꼴 모양으로 산탄을 발사하는 형식으로 바꾸기 때문에 사실상 근거리 딜러처럼 운영할 수 밖에 없게 만든다.


 패시브 레벨당 탄환이 1발씩 증가해서  최대 4발이 발사되고, 공격력 계수는 74% / 87% / 103%  ~  96% / 108% / 121% 다.

 

 은근히 이 패시브의 최대 피해량이 가까이서 쏘면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던데, 사실 스킬 설명에도 나오는 이야기지만 맞은 탄환 1발당 피해로 계산되며, 탄환을 여러명에게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최대 피해라는 것도 사실 피해 상한선이라 최대 피해는 탄환이 2발만 맞으면 된다. 


 패시브 3레벨이라고 0거리 탄환 네발 다 맞추는거나 중간거리에서 두발 맞추는거나 피해량 차이 안나니까 최대딜 뽑겠다고 영거리 사격할 필요까지는 없다.


 그리고 스킬 설명이나 캐릭터 설명에 없는 특성으로 사거리 안에서 공격시 선딜레이 없이 즉발로 사격하며, 탄환의 피격 거리는 사거리보다 더 길고 내가 공격할 대상 앞에 다른 대상이 있으면 탄이 막힌다.

 


(뒤의 더미를 공격해도 앞에 더미가 있어서 막히는 모습)



(전면 더미에 2발 맞춘 최대 피해를 입은 더미와, 후열 대각 거리에 각 1발씩 맞은 더미)




버니스의 유일한 주력 딜링기인 Q 스킬로, 1.5초간 슬로우우 효과와 직선 범위 전체에 피해를 준다. 


패시브 다음으로 선마를 하며, 평타 사이 사이에 계속 섞어써야한다. 



버니스의 W 스킬로, 버니스의 운영에 있어서 핵심 스킬이다.


스킬 설명대로 40초간 유지되는 덫으로, 시전은 선딜없이 즉시 시전되지만 시전 후 발동까지 1초의 지연 시간이 존재하며 자체적으로 시야를 가지고 있고 공격으로 파괴되지 않는다.


 부쉬나 사각지대 시야 체크, 기습을 위한 속박, 후술할 E 스킬의 사냥 표식 발동, 적의 접근 경로 방해 등 버니스의 딜링과 생존, 시야 확보 모두를 책임지는 스킬이다.



 (생각보다 시전 가능 거리도 길다)

 

 


버니스의 E 스킬로, 패시브 효과는 덫을 밟은 대상에게 4초간 사냥 표식 부여, 사용시 시야 증가와 6초마다 사냥 표식을 찍어준다. 


사실상 중요한 효과는 사용시 추노할때의 이동 속도 증강과 사냥 표식인데, 스킬 설명에는 안나오지만 사냥 표식 대상자에게 버니스가 맞춘 탄환 1발당 쿨타임 감소라서 교전중에 쿨타임 감소가 생각보다 더 많이 된다.


 그리고 사냥 표식에 찍힌 대상은 단검 무기 스킬이나 은신 스킬을 써도 징표가 사라지기 전까지는 보인다는 소소한 장점도 있어서 버니스 나름대로의 유틸리티 스킬이라면 유틸리티 스킬이다.




어쩌면 버니스의 평타와 함께 버니스를 대표하는 스킬일 수도 있는 궁극기 스킬이다.


 선딜없이 논타겟 투사체를 날려서 1.25초 속박을 걸 수 있고, 스킬 설명대로 3번까지 전이된다,


 최초의 궁극기 투사체는 속도가 빠른 편이 아니라 대놓고 쏘면 피하기 쉽지만, 일단 맞고 나서 전이 범위 안에서 전이되는 투사체는 100% 명중한다.

 


(챈럼이 찍은 영상을 참조했습니다.)


솔로에서도 덫과 연계해서 2초를 박아놓고 프리딜하는 용도로도 쓰이고, 듀오나 스쿼드에서도 이니시에이팅, 진형 파괴, 상대 진입 받아치기 등 다용도로 쓴다.


 


 2. 특성


 특성은 크게 주특성에 취약을 쓰느냐, 추진력을 쓰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이 두가지 특성을 많이 든다. 




사실상 주특성에 추진력이냐 취약이냐의 차이지만, 그것 빼고는 파괴쪽 부특성과 지원쪽 부특성은 고정이라고 보면 된다.



취약이야 보편적인 딜러용 특성이니 그렇다 치는데, 뜬금없이 왜 버니스가 추진력을 드는가? 하면 추진력은 버니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특성이다.



버니스 자체가 사냥 징표가 찍힌 적을 쫓아간다는 상황에 한정해서만 이동 속도 증가가 있는 극단적인 뚜벅이 캐릭터라, 추노하는 과정에서 야생 동물을 잡으면서 이동 속도 증가를 얻어서 추노가 좀 더 용이해진다라는게 주 목적이고 피해 감소 효과는 솔로보다는 듀오나 스쿼드에서 더 이익을 많이 보는 특성이다.


 파괴 특성의 철갑탄, 갈증은 설명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평타 딜러 필수 부특성 취급이니 넘어가더라도, 지원 특성의 시가전과 가시덤불은 버니스의 W 하나만으로 둘 다 발동이 가능해서 대단히 편리하게 딜량 증가에 기여하기 때문에 버니스의 필수 픽이다.



 3. 루트


 가장 국민적인 루트 2개, 짧은 TTK를 상정하고 맞딜하는 루트, 개인적으로 쓰는 루트 총 네개를 올려보고자 한다.


 3-1. 국민 루트 


루트 ID : 474463


버니스 상위권이 만든 루트 1번이자 버니스 추천 루트에 박혀있다. 버니스에게 필요한 공속, 치명타, 치명타 피해를 모두 챙기면서 후반 빌드업까지 무난하게 가능한 루트.


마패는 배달 시켜서 쓰자.


절이나 모래사장, 골목길로 하이퍼루프 타서 가야하는데 크레딧 조금 아끼겠다고 그짓 하기에는 버니스는 그러다 죽기 딱 좋으니까 그냥 마패는 배달시켜서 쓰자.


상위권에서 마패를 드론 배달에 넣은데는 다 이유가 있다.....



 3-2. 국민 루트 2번


루트 ID : 553016


이것도 버니스 상위권이 만든 루트다. 이 루트는 TAC-50과 집사복, 해적의 증표에서 총 생명력 흡수 33%를 챙기고 카이팅 하면서 유지력을 챙기기엔 괜찮긴 하다.

 

풀템 완성 속도는 제일 빠른데, 버니스의 후반 아이템 빌드업을 따로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고, TAC-50 이 장탄수가 2발로 폴라리스의 절반이라 DPS는 부족한 편이며



3-3. TTK 하나 보고 만든 루트


루트 ID : 701078


루트 자체는 국민 빌드랑 동일하지만, 광학미체 슈트와 궁기병의 화살통 대신 성기사의 갑옷과 오르골을 써서 교전시 세컨드 윈드를 위시한 맞딜을 상정한 장비 세팅이지만, 유통기한이 상당히 빨리 오기 때문에 사람을 잡건 남이 버린것 주워서 쓰건 빌드업을 좀 빨리 해줄 필요가 있다.




3-4. 개인적으로 많이 쓰는 루트


루트 ID : 701087


개인적으로 챈럼이 제시헀던 빌드에서 영감을 받아서 쓰고 있는 루트인데, 최종적으로 모래사장과 숲, 호텔의 야생동물을 챙기면서 벽을 보기 위해 만든 루트다.  



 4. 버니스의 운영


 4-1. 그래서 솔로 버니스는 어떻다는 건데?


 버니스는 높은 성장치와 생각없이 쳐맞으면 황천길 가는 평타 딜링을 대가로 답이 안나오는 사거리 4, 도주 능력 없음이라는 원딜로서는 치명적인 단점을 같이 가지고 있다.


 거기에 더해서 패시브 레벨 3이 찍히는 9레벨은 되어야 그나마 싸울만하다 싶어진다. 


 솔로에서는 1일차 밤에 오브젝트를 먹는것은 운좋게 날먹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만, 반대로 야생동물은 정말 잘잡기 때문에 철저하게 벽을 보는 운영을 해야하고, 절대로 체급이 올라오기 전까지는 주도적으로 뭘 하려고 하지 말고 조용히 성장한다는 마인드로 시야 확보, 도주 경로 확보는 필수로 해야 한다. 


 어디까지나 버니스는 중후반에 높은 성장치와 가챠템 효율을 잘받는다는 특성으로 후반 체급으로 쏴죽이는거지, 초반에는 모두에게 존중을 보여야 할 정도로 약하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버니스 플레이의 기본 원칙이 몇가지 있다.


1. 뭘 하건 의심스러운 지역에는 덫부터 던져봐라. 버니스의 덫은 설치 거리도 길고 벽 너머로도 던져지는데다 덫을 던지는 즉시 시야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풀이나 벽 뒤 같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지역을 체크하는데는 Q보다 낫다. 

(덫 시야가 생각보다 넓다)


2. 덫을 시야 확보에 쓰더라도 최소한 1개는 가지고 있기. 덫은 1레벨만 찍어도 3스택까지 저장되지만, 2개까지 설치하는건 2스킬, 3개까지 설치하는건 4스킬은 찍어야 되기 때문에 이거 숨어있겠다 싶은 지역에 하나씩 던져주되, 교전에서 쓸 덫은 꼭 자기고 있어라.


3. 진짜 대놓고 유리하거나 확실히 잡을 상황이 아니라면 궁극기는 아껴둬라. 버니스 궁이 쿨타임이 짧은 편이고 표식 대상자에게 평타를 칠때마다 쿨타임이 감소된다고는 하지만, 투사체 속도가 빠르지도 않고 판정이 묘하게 좁다. 빗나가면 로비로 사출될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지므로 받아치는 용도로 더 많이 쓰게 될 거다.


(최대 거리에선 웬만하면 다 피한다)


4. 아무리 유리해도 버니스와 적 사이에 다른 무언가가 끼면 안된다. 버니스의 평타는 관통이 안되기 때문에 버니스와 적 사이에 야생 동물이 끼어있는 사격각을 잡으면 높은 확률로 역관광당한다.


5. 모든 실험체에 통용되는 말이지만, 욕심 부리지 말자. 버니스의 추격 능력은 꾸준한 너프를 먹어서 나쁜 편에 속하는데다 도주 능력은 최하위기 때문에 못잡을거 같으면 과감히 포기할 줄도 알아야 한다.


6. 전장은 공격력 전장으로. 애초에 장점이라고 있는게 화력이라 공격력 전장에 가는 쪽이 확률이 높다.




4-2. 그럼 듀오, 스쿼드는?


 듀오 및 스쿼드에서는 솔로보다는 숨통이 많이 트인다. 버니스의 단점을 다른 팀원이 충분히 메꿔줄 수 있고, 버니스의 포지션이 포지션이다보니 가챠템을 몰아받아서 솔로에서보다 빠르게 고점을 찍은 다음 딜찍누를 하는데 한 손 거들 수 있다.


 다만, 듀오 및 스쿼드에서 버니스를 픽한 시점에서 상당히 수동적인 조합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다른 행동을 하겠답시고 팀원들과 거리를 벌리는 일이 생기면 절대 안된다.

 

 버니스의 도주 능력은 최악이기 때문에 당연히 잘못 걸리면 칼같이 상대한테 조공하는 꼴이 되고, 정상적인 교전중에도 웬만하면 우선적으로 점사 대상이 되기 때문에 팀 조합에 따라 많이 갈리지만 대체로 이런 점은 주의해야 한다.


 1. 선진입하지 말것. 버니스 스텟이 근딜에 가깝고 사거리가 짧아도 본질은 원딜이고 딜템으로 도배하기 때문에 선진입은 미친짓이다.


2. 팀 파이트가 일어났을때 너무 후열에 있어도 안된다. 버니스 사거리가 짧아서 아군이 진입하는걸 확인하면 바로 같이 붙어줘야 제대로 딜을 할 수가 있다. 


 3. 아군과 꼭 붙어다녀라. 1낮에 장비 다 맞춘 이후부터 버니스는 팀원과 계속 붙어 있어야 한다. 이동기는 없지만 기본 이동 속도가 근딜하고 차이가 없어서 지역 이동은 은근히 잘 맞춰주고, 팀원 없는 버니스는 그냥 조공이다.





5. 가챠템 빌드업


 버니스의 가챠템 빌드업은 캐릭터가 운석을 최소 2개 이상은 고정으로 쓴다는 점이다.


 현자총통은 쓰려면 쓸 수 있겠지만, 공격력 103, 0.5초 99%에 내부 쿨타임 4초인 것을 빼면 장탄수마저 1발이라 듀오, 스쿼드에서조차 웬만하면 안쓰는 가챠템이 되버려서 사실상 안드로메다를 최종 무기로 쓰다보니 운석 3개는 어떻게든 확보하고 싶은 실험체이기도 하다.


 순서는 샤를마뉴의 방패와 빛의 증표 두개를 최우선으로, 이후 운석을 먹을 수 있으면 안드로메다를 올려주고 이후에 알렉산드로스까지는 고정적으로 올라간다.


 최종적으로 6가챠템이 될 수 있다면, 샤를마뉴의 방패 + 빛의 증표 + 안드로메다 + 알렉산드로스 + (운명의 주사위 or 살라딘의 화살통 or 영웅의 기록) + (버건디47 or 선녀강림 or 고스트) 라는 형태가 되는데, 고스트를 간다면 영기나 살라딘, 버건디나 선녀강림이라면 운명의 주사위 쪽을 가는 편이다.



 

6. 버니스의 딜링


 사실, 버니스라는 실험체가 스킬셋이 심각할 정도로 정직하고 수동적이라 콤보라고 해도 궁으로 시작해서 그때 끝내버리는 거 빼고 답이 없는것도 사실이다. 




(더미 체력 5천, 방어력 100으로 설정해둔 영상)


버니스의 사실상 유일한 콤보라고 봐도 될 R W 평 Q 평.


 출시 초기와는 달리 버니스의 궁극기 속박 시간은 1.25초로 그다지 길지 않고, 덫은 시전 후 1초의 지연 시간이 있기 때문에 궁극기를 최대 사거리로 맞추면 후속 덫은 사실상 못맞춘다고 봐야하기 때문에 듀오나 스쿼드가 아닌 이상 최대 사거리 활용이 힘들다. 


 그래서 매버릭 러너나 헤르메스, 반고부처럼 방해 효과 저항이 있는 장비를 쓰는 캐릭터들에게는 사실상 저 콤보는 못넣는다고 생각하고 해야 하는데다 스킬 설명에 없는 또 하나의 문제가 있다.



(동물 말고 실험체로 해도 덫 반응은 똑같더라.)


 덫을 한번 밟은 대상은 4~5초 가량 다음 덫을 지나가도 밟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덫과 궁극기는 둘 다 속박이기 때문에 이동만 못하는거지 상대도 공격은 한다는 점이 제일 문제다. 


 그래서 버니스의 딜 방식은 선딜이 없는 사거리 4의 즉발 사격 방식을 이용해서 "어떻게든 상대를 내 사거리에 놓고 일방적으로 공격하는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라는 전제를 만들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애초에 화려한거 찾을거면 버니스 말고 다른 캐릭 하는게 맞기도 하고.



  


 7. 마치며


 솔직히 말해서 공략글이 아니라 캐릭터 소개글이 되어버렸는데, 공략도 쓸 줄 아는 사람이 쓰는게 맞는거 같다.


 다른 사람이 더 좋은 공략이나 대답을 해줄거 같은데, 그래도 물어볼 거 있으면 댓글 달아주면 최대한 성의껏 답해주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