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에는 굉장히 성숙해보이는 외모에 비해 24세로 어리다.



에스텔은 앳된 외모에 비해 나이는 28세로 많은 편이다.


19살이다.

?




아이작은 53세로 나이를 알 수 없는 이렘과 알렉스를 제외하고는 최연장자이다.



야구선수인 윌리엄은 포지션이 투수인데도 타자가 사용하는 팔꿈치 보호대와 손목 보호대를 사용하는 미친새끼다.

실제로 저런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투구를 하면 매우 거슬린다. (작성자는 고등학교 야구선수 출신)


테오도르는 설정상 특수부대에 입대하기 전 야구선수 출신이라고 하며 메이저리거인 윌리엄을 보고 매우 동경하는 듯한 대사가 있다.




천주교 사제인 요한의 이름은 세례명으로, 본명은 한정민이다.



에이든의 이름은 별명으로, 그의 본명은 칼 베켓이다.


베트남인 마이의 본명은 Trần Quỳnh Mai(쩐 꾸인 마이), 한자로 표기하면 陳瓊梅, 한국식으로 읽으면 진경매다.




이안의 이름은 영어식 이름인 Ian이 아닌 Ly Anh이며, 이로 이안은 베트남계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안은 최초로 모든 대사가 재녹음된 실험체이다. 

그 전 대사가 어땠는지는 아래의 영상 참고.





엘레나의 국적 변경 이슈 이후로 이터널리턴은 신규 실험체들의 국적을 따로 표기하지는 않으나, 캐릭들의 풀 네임을 통해 대충 어느 국적인지 유추가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프리야의 풀네임은 프리야 판데이다. 이름과 사용하는 악기가 인도의 전통 악기인 시타르인 것을 보아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스리랑카 국적의 실험체임을 유추할 수 있다.


아디나의 풀네임은 아디나 사비치.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 중 하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 북마케도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에서 온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마커스의 풀네임은 빌 마르쿠스 칼손. 칼손은 북유럽 3국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중 하나에서 온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칼라는 풀네임이 정확하게 공개되지 않아 (풀네임이 공개된 적이 있긴 한데 칼라 출시 이전에 나온 정보라 틀릴 수도 있음) 국적을 유추하기가 까다롭다. 

하지만 대사에서 열대의 폭풍을 언급하는 대사, 선원이라는 직업으로 유추해 보면 카리브 해 연안의 국가들 출신이라는 것을 유추해 볼 수는 있다.



에스텔의 풀네임은 에스텔 마르티네크. 소방기동대 에스텔 스킨의 팔 부분을 보면 "Feuerwehr"라 적혀 있는데, 이것은 독일어로 소방관을 뜻한다. 따라서 에스텔은 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 출신으로 추정된다.


피올로의 풀네임은 피올로 바예스테로스. 스페인쪽 이름이긴 하지만 피부 색으로 미루어 보아 스페인의 영향을 많이 받은 필리핀 출신 실험체로 추정된다.


마르티나의 풀네임은 마르티나 로셀리니로 이탈리아에서 흔히 쓰이는 이름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탈리아 출신 실험체로 추정된다.


헤이즈는 이름이 가명이라 정확한 출신지를 알기는 어렵다.

짜장면을 좋아한다는 대사가 있긴 한데 이건 사실 괴작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의 패러디로 보는게 적당하다.




아이작의 본명은 아이작 코베르. 프랑스풍 이름으로 미루어 보아 프랑스/모나코/스위스 출신 실험체로 추정된다.


타지아의 풀네임은 타지아 칼라브레시. 이탈리아식 이름과 이탈리아어로 된 스킬 이름으로 보아 이탈리아 출신 실험체로 추측된다.


얜 고양이다. 고양이의 출신을 알아서 뭐함?

굳이 따져보자면 이렘이라는 이름은 터키에서 여성의 이름으로 많이 쓰이고 터키는 고양이들이 굉장히 많은 나라 중 하나이다.


테오도르의 풀네임은 테오도르 보네르. 프랑스풍 이름이긴 한데 야구선수였다는 언급으로 보아 프랑스계 미국인(케이준)일 가능성이 제일 크다.


바냐의 풀네임은 바냐 나보코바. 동유럽에서 흔한 성씨로 발칸 국가들 중 하나에서 왔을 것으로 추측된다.

나비와 관련된 스킬, 복장으로 인해 모티브는 러시아의 곤충학자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로 추정된다.

바냐는 설정상 하반신 마비인데 아르카나의 힘으로 걷고 날 수 있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데비&마를렌의 풀네임은 데비 카슨과 마를렌 카슨이다. 미국인으로 추정된다.


아르다는 전작인 블랙서바이벌에서 터키인으로 밝혀져 최근 출시된 실험체 중 유일하게 국적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국적을 명확하게 알 수 없는 실험체들을 제외하면 아시아 출신 실험체는 18명으로 가장 많고, 유럽 출신 실험체는 15명, 북중미 출신 실험체는 10명, 남미 출신 실험체는 3명, 오세아니아 출신 실험체는 2명, 아프리카 출신 실험체는 1명으로 가장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