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르의 역할군은 원거리/스증딜러/서포터/이니시에이터 임.


필드에서 weq로 상대방 딜러를 묶었을 때, 궁극기를 사용해서 한번에 확 한타를 열어서 최소 한명을 자르고 시작할 때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함.



▷ 파밍루트

내가 쓰는 루트는 총 2가지임.

(1) 가장 자주쓰는 루트임.(루트번호 57615)

학교 - 절 - 항구 꽃딸배 3루트


파밍속도도 가장 빠르고, 항구에서 듀라셀(배터리), 피아노선을 3개씩 구해야하는 2번루트랑 다르게 1번루트는 2개씩만 구해도 됨.(파밍지역을 1곳만 챙겨도 된다는 소리)


이 뜻은 위험지역인 항구에서 오래 머무를 필요가 없다는 뜻이며, 초반 교전으로 인한 억까를 줄이고 우리팀의 안정적인 창고합류로인한 교전스노우볼을 굴릴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또한 어사의 채용으로 인해 2번루트에서 챙기지못한 쿨타임감소를 어느정도 챙김으로써 초반 교전안전성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풍화륜 채용으로 스테미너 배분을 잘하면 스테템이 필요없다는 것도 한몫 함.


단점이라면 꽃을 하나 딸배로 시켜야한다는 정도인데, 이정도 단점은 아래서 서술할 2번루트의 장점을 상쇄할정도로 안정성이 높다고 생각함.



(2)학교에 사람이 많이 뭉쳐서 못가게 되면 쓰는 루트임.

숲 - 성당 - 항구 3루트


가장 보편적으로 활성화 되어있는 테오도르 3루트라고 생각함. 여전히 빠르단 면에선 좋음. 항구에 사람이 많이 스폰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를 빼고는 아이템 말릴 일도 적고 깔끔함.


장점은 윗루트랑 다르게 딸배를 시킬 필요도 없다는 것.


단점이라면 듀라셀과 피아노선을 3개씩 구해야해서 템파밍에 차질이 생길 확률이 있다는 점. 쿨감이 없다시피해서 WE한번 삑나면 쉽게 교전패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정도임. 또한 특성에 수확을 들지않으면 스테템을 챙겨야한다는 것도 단점이라면 단점이라 할 수 있음.



▷ 전술스킬


블링크


내가 살고싶을 때 보통 들어야함. 부쉬와 거리가 좀 있는 교전상황에서도 빠르게 부쉬쪽으로 붙을 수 있고 점멸을 안드는 브루저는 블링크 하나만 써도 날 쫒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ABC를 당했을 때도 안정적으로 도주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아티팩트


다니엘 니키 쇼쌤이 많으면 무조건 들어야함.



강한 결속


공격적인 운영을 하면서 킬트럭을 몰 때 사용하면 좋음. 블링크가 안정성에 좀 더 투자를 했다면 결속은 공격력에 좀 더 투자를 한 느낌임. 보통은 궁과 결속을 같이쓰고 브루저 따라서 안쪽까지 밀고 들어가서 생존하는 방식임.



▷ 특성

초재생 / 증폭드론 / 감전


가시덤불 / 집결 / 테이아


열세극복 / 영흡장 / 철갑탄


가시덤불과 열세극복은 고정임.


초재생은 아군의 유지력상승과 테오도르의 패시브 보호막에 도움을 줌. 장점이라면 궁극기를 이미 사용한 시점에서도 굉장한 유지력을 발휘해서 진짜 미친놈마냥 트럭몰이 할 수 있다는 것과, 딸피로 살아남은 아군 브루저를 빠르게 다시 전장에 합류시킬수있다는 점임.


증폭드론은 보편적으로 가장 자주 쓸거임 . 이동속도와 스킬증폭을 증가시켜주는데, 결속과 함께 쓰면 아군 브루저와 같이 돌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증폭드론을 들 경우에는 반드시 집결과 강한결속을 같이 쓰는걸 추천함.


감전은 내가 뭔지랄을 해도 뒤질거같다면 그냥 내가 먼저 죽여버리겠다는 마인드로 든다는 느낌임. 보통 상대조합에 메인탱이 많이 없어보일 때 듦.


가시덤불은 보통 WEQ로 속박을 건 후에 한타가 시작되기때문에 테오도르랑 상성이 좋은 특성임.

열세극복은 패시브로인해서 최대체력이 그 어떤 캐릭터들보다 낮은 테오도르는 꼭 들어야하는 특성임.



▷ 후반 아이템

좌측 순서대로 아이템을 올리면 됨.


상대방이 힐스킬이 많다 싶으면 용비보다 칼날다리를 우선해서 올려도 좋음. 하지만 사사성광 - 진은드레스는 반드시 1, 2순위로 올리는게 좋음.


풍화륜의 스테젠 100%로는 지속싸움 시 스테템이 없다면 스테고갈이 일어나는 경우도 생김. 진짜 드물긴 한데, ABC당하는데 우리가 A인데 B랑C를 다 줘패는 경우가 그럼. 다 줘팼는데 D까지 와서 교전을 봐야한다 > 진짜 스테없어서 못싸움.

그렇다고 평소에 스테미너가 빵빵한데 이런경우 하나 보자고 스테템 챙기기엔 초반 템칸은 너무 모자람..


그렇기때문에 스탯이 좋은 사사성광 이후엔 스테젠과 쿨감도 동시에 올려주는 진은을 사용하는게 보통은 좋음.


이후 용비가 나온다면 진짜 미친놈마냥 weq평q평q만 해도 탱커가 녹아나가는 모습을 볼수있음.(용비는 킹갓템이 맞다)


후반 아이템 쿨감이 만쿨감이 안되고 20%만 챙긴걸 볼 수 있을거임. 그래도 괜찮음. 얘는 증폭스크린(W)를 상시 켜놓을 수 있을정도의 쿨감만 챙겨도 되기 때문임.



▷ 스킬빌드

테오도르 버프로 인해서 TQWE 순으로 마스터하던 스킬빌드를 이젠 좀 다르게 깎았음.


개인적으로 테오도르는 대치상황에선 WEQ평으로 이니시를 걸었을 때 가장 강한 파워를 낸다고 생각함.

한번만 걸려봐라 진짜 뒤진다. 뭐 이런 느낌으로.


이번 버프W쿨타임 2초감소로 인해서 1레벨 W와 E가 쿨타임이 같아졌음. 심지어 2레벨 3레벨을 찍어도 쿨타임 감소율이 똑같음. 그래서 TQ를 마스터 한 이후에는 W와 E를 번갈아가면서 찍어줌.



▷ 초반 운영법


1번 루트는 팀원이 내쪽으로 루프를 탔다면 창고2곰을 가장 우선적으로 스타트함. 이후 고주쪽 2곰과 야생동물을 사냥하고 숲쪽으로 돌아서 야생동물 체크, 후에 모사, 고주, 창고쪽에 운석이 있다면 운석을 가장먼저 챙김.

운석이 없다면 생나를 챙기고 묘지를 한바퀴 돌린다음에 병원쪽으로 올라가서 야생동물 정리하고 시야딴 후에 키오스크를 쓰고 전장을 준비함.


2번루트는 창고에서 곰을 잡았을 때, 고주가에서 야생동물을 잡는 핑이 뜬다면 항구로 돌려서 2곰을 마저잡고 성당-묘지를 따라가면서 닭, 박쥐, 멧돼지를 잡는 루트임. 공장과 병원운석은 사람이 많이 몰리기때문에 조심해야하지만, 만약 오지않았다면 변늑까지 공짜로 먹을수있어서 좋음.

적이 거리가 좀 있지만 빠르게 변늑쪽으로 붙는 무빙이 보인다 해도 문제없음. 테오도르는 유일하게 혼자 변늑을 잡으면서도 체력을 20%도 소모 안할 수 있는 캐릭터임. 빠륵게 변늑 조져버리고 교전을 준비하면 그만임.

변늑을 잡았다면 병원쪽을 한바퀴 돌려주고 시야를 딴 후에 키오스크를 한번 사용한 후 전장을 준비하면 됨.



▷ 교전수칙

테오도르는 기본적으로 우리쪽에서 덮칠 때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함. 무기로 따지면 발리스타같은 느낌임. 쇠꼬챙이를 찔러서 죽여버리겠다는 그런느낌.


발리스타도 당연하지만 안전한 거리에서 쏘잖음? 우리쪽도 교전을 할 때는 당연하지만 안전성을 챙기고 공격을 하는게 맞음. 우리가 안전한 곳에서, 가장 유리한 방식으로 상대방을 찔러죽이는 방식이지. 그리고 테오도르의 안전을 책임져줄 녀석은 바로 '패시브'임.


초반 운영방식이 바로 이 기본적인 교전수칙을 베이스로 깐 루트임. 부쉬가 많은 곳에서, 그게 안된다면 1자라인에서 적에게 박아버린다가 기본수칙임.

루트와 녹색으로 표시되어있는 선을 대조했을 때 고주가, 항구를 제외한 모든 곳에 녹색으로 선이 그어져있는게 보일거임. 저게 다 부쉬임.


항구는 어짜피 곰만먹고 빠질거니까 구석진 곳이라 교전도 잘 일어나지않으니 뺐고, 고주가는 곰이 아랫쪽에 있기때문에 해안가 1자라인에서 교전이 일어나기때문에 부쉬가 없어도 크게 신경을 쓸 필요가 없음. 1자라인 교전에서 테오도르는 무적이고 신이니까.


부쉬가 많으면 은신으로 상대 브루저를 따돌리기 쉽고. 그게 안되더라도 보호막과 이동속도를 이용한 생존력을 챙길 수 있음. 여기에 블링크까지 더하면 와드라도 박히는게 아닌이상 보통은 살아나감.

고아솔의 은신과는 다르게 부쉬에서 빠져나갈 때 모습이 사라지다보니 상대방이 재빠르게 와드박고 대처하는 경우는 생각보다 잘 없음.

미데이까지 가면 모르겠지만 평균매칭 다이아 2까지 겪어봤을 때 글쎄, 난 와드박는놈 한놈도 못본거같음.



▷ 상성, 조합

솔직하게 말해서 테오도르에서 제일 궁금한건 이 부분일거라 생각함..


내가 주관적으로 겪으면서 가장 좋았던 상성캐릭터들 알려주겠음.. 이건 내 주관 200%라서 반박시 니말이 맞음.


1. 가장 잘 맞는 실험체

글레온 / 데비마를렌 / 에스텔 / 카밀로 / 에이든 / 재키


2. 무난하게 괜찮은 실험체

탱매그 / 펠릭스 / 일레븐 / 타지아 / 아이작 / 루크 / 리다이린 / 로지 


3. 안맞는 실험체

마커스/ 에키온 / 이안 / 캐시 / 키아라


4. 표본이 적어 잘 멜?룬다고

마이 / 엘렐레 / 얀 / 알렉스 / 피올로 / 피오라 / 수아 / 쇼우



베스트 조합은 개인적으로 글레온 + 테오인거같음. 글레온 솔직히 개인적으로 좀 좆사기같음. 금 메 달 리 스 트 를 얕 보 지 마


에스텔은 지금 체급이 너무 낮아서 그렇지 조합상으로는 정말 좋은편임. 상대 브루저와 암살자 블로킹해주는데 가장 특화된 실험체다보니까.


데비마를렌은 상대방의 브루저를 끌고 멀리 가줄수있다는 장점과, 뎁마의 유일한 단점인 유지력을 테오도르가 채워줄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정말 좋은 조합이라고 봄.


펠릭스/리다이린/로지 셋의 경우에는 우리팀에서 메인탱커 일레븐/매그를 채용했을 경우에 같이 채용하면 부족한 딜을 채울 수 있음.


재키의 경우 선진입해서 어그로를 끌어주거나 CC로 발을 묶어줄 수 있는 캐릭터, 루크/에이든/일레븐/매그과 함께 조합하면 더 좋음.


톤현도 좀 괜찮긴한데... 흚,,, 합맞추는 연습이 많이 필요해서 굳이 넣지는 않았읆,,, 있다고만 알아두샒,,,





다들 테오도르가 파는 망호 호감고닉마냥 피하지말고 와주샒,,,


호감고닉의 삶은 이제 지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