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주부 지도]

평안남도의 부

安州府 / Anju City

부청 소재지: 칠성구 안주대로 770 (북문동)

광역자치단체: 평안남도

하위 행정구역: 2구 50법정동 3읍 3면

인구: 643,372명

면적: 692.2km²

인구 밀도: 929.46명/km²

 

1. 개요

평안남도의 부.


2. 역사

1914년: 동면(東面), 운곡면(雲谷面)을 제외한 안주군의 모든 면들이 아래와 같이 통폐합되었다.

 - 읍북면(邑北面)+주북면(州北面) → 주내면(州內面)

 - 문곡면(文谷面)+청산면(靑山面) → 신안주면(新安州面)

 - 대면(代面)+이[니]산면(山面) → 대니면(大尼面)

 - 경면(坰面)+평면(平面) → 연호면(燕湖面)

 - 두면(頭面)+갈면(葛面) → 용화면(龍花面)

 - 누천면(漏泉面)+남송면(南松面)+남면(南面)+서면(西面) → 입석면(立石面)

1917년: 주내면이 안주면으로 개칭되었다.

1931년: 안주면이 안주읍으로 승격되었다.

1948년: 신안주면이 신안주읍으로 승격되었다.

1955년: 신안주읍이 신안주시로 승격되었다.

1963년: 입석면이 신리읍으로 승격되었다.

1972년: 안주군 안주읍이 신안주시로 흡수되었고 신안주시는 안주시로 개칭되었다. 안주군 잔여 지역은 안북군(安北郡)으로 개편되었다.

1975년: 대니면이 협흥읍으로 승격되었다.

1979년: 동면이 용흥읍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 안주시에 일반구(칠성구/청곡구)가 설치되었다.

1995년: 안주시와 안북군이 안주부로 도농통합되었다.


3. 경제

대기업들(굵은 글씨로 처리된 기업은 평양직할시에 본사를 둔 기업이다.)이 세운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경제가 발달하였다. 주요 사업장으로는 삼성SDI 안주사업장, 삼성디스플레이 안주사업장, 유한양행, 남양유업, 풀무원농장 등이 있다. 경의가도에 위치한 문곡구(舊 신안주시)를 중심으로 숙박업과 서비스업이 발달하였으며, 칠성구에 있는 안주 원도심에 있는 문화유산이나 칠성공원을 이용한 관광업도 안주부의 경제를 책임지고 있다. 또한 연호면과 용화면을 중심으로 한우와 돼지를 키우는 축산업이 발달하였다.

신리읍에 있는 안주탄광을 중심으로 광업이 번창하였으나, 석탄의 채산성이 감소하고 석탄사업 합리화 정책으로 인해 쇠퇴하였다.


4. 지리

안주부는 크게 원도심(칠성구 전역)을 중심으로 하는 칠성, 신안주(청곡구 시내동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청곡, 청곡구 협흥읍을 중심으로 하는 협흥, 청곡구 신리읍을 중심으로 하는 신리, 그리고 연호면과 용화면을 중심으로 하는 연호로 나눌 수 있다.

4.1. 칠성

안주의 전통 중심지.

안주의 역사가 시작된 지역이지만, 경의선 개통 이후 신안주가 발전하면서 쇠퇴하였다.

4.2. 청곡

안주의 교통 중심지. 흔히 청곡구 시내동지구의 옛 명칭인 신안주라고 부르고 있다.

경의선 개통 이후 교통의 요지로 발전한 지역으로, 안주읍(1972년 신안주시로 흡수됨.)보다 먼저 1955년에 시로 승격되었다.

4.3. 협흥

경의선과 서호선이 분기하는 협흥역(舊 만성역)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발전한 지역으로, 협흥읍 협흥리와 용화면 운곡리가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다. 

4.4. 신리

신리에 있는 안주탄광을 중심으로 발전한 지역이지만,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으로 인해 쇠퇴하였다.

4.5. 연호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 가운데 축산업, 농업과 같은 1차 산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의 비율이 높다.


5. 교통

대한민국의 주요 교통노선인 경의가도가 지나가고 있어 평양직할시, 의주직할시와 함께 관서에서 중요한 교통의 요지로 알려져 있다.

5.1. 철도

문곡구에 있는 신안주역이 안주부의 중심역 역할을 맡고 있으며, 신안주역을 통해 만포선, 조양선, 박천선 상에서 운행하고 있는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5.1.1. 고속철도

[안주부 고속철도 지도]

 * 경의고속철도: (평양역) - 신안주역 - (정주역)

5.1.2. 일반철도

[안주부 일반철도 지도(광역철도 노선 포함)]

 * 경의선: (숙천역) - 협흥역 - 대교역 - 신안주역 - (맹중역)

 * 개천선: (시종점) - 신안주역 - 안주역 - 북송역 - 용흥역 - 운흥역 - (개천역)

 * 서호선: (시종점) - 협흥역 - 신리역 - 서호역 - (시종점)

5.1.3. 광역철도

 * 관서권 전철 경의선: (시종점) - 안주역 - 신안주역 - 대교역 - 협흥역 - (숙천역)

5.2. 도로

[안주부 도로 지도]

5.2.1. 고속도로

 * 경의고속도로: (숙천 나들목) - 남안주 나들목 - 안주 교차로 - 신안주 나들목 - (맹중 나들목)

 * 안주함흥고속도로: (시종점) - 연호 나들목 - 서안주 나들목 - 안주 교차로 - 안주 나들목 - 용흥 나들목 - (개천 교차로)

5.2.2. 국도

 * 1번 국도


5. 문화유산

 * 백상루(百祥樓): 칠성구 용흥동 소재. 관서팔경에 속하는 유적으로, 안주읍성에 속하였던 성루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있는 누각이다. 창건연대는 고구려 말기나 통일신라 시대로 추정되고, 백상루 밑으로 청천강이 흐르고 있다.

 * 칠성지(七星池): 칠성구 칠성동 소재. 안주성이 세워질 때 만들어진 연못으로, 칠성지 가운데 칠성정(七星亭)이라는 정자가 세워져 있다. 칠성공원으로 조성된 칠성지는 안주부민들의 쉼터로 사랑받고 있고, 여름에는 낚시터,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 오도탄(誤渡灘): 살수대첩 때 7명의 승려가 수나라군을 유인하여 강을 건넌 곳으로 전해진다.


6. 출신인물

 * 이범선(李範宣): 소설가. 김동인, 계용묵, 오상원, 조흔파(조봉순)과 함께 관서를 대표하는 소설가이다. 대표작에는 <암표(1955)>, <오발탄(1959)>, <동트는 하늘 밑에서(1972)>가 있다.

 * 한복남(韓福男): 가수 겸 작곡가. 본명은 한영순(韓榮淳). 1943년 히트곡 ‘빈대떡 신사’로 데뷔한 가수. 금사향(최영필), 현미(김명선), 손인호와 함께 관서를 대표하는 1세대 가수이다.

 * 현신규(玄信圭): 임목육종학자. 산림녹화의 선구자로, 리기테다소나무와 은수원사시나무의 육종을 통해 산림녹화의 초석을 다져 한국 육종학을 세계적 수준으로 향상하였다.

 * 홍용명(洪龍明): 한국 피겨 스케이팅 1세대 선수이다.

 * 휴정(休靜): 조선 중기의 승려로, 서산대사(西山大師)라는 별호로 알려져 있다.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임진왜란 때 묘향산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유정(惟政)이 그의 제자로 알려져 있다.


7. 군사

안주는 청천강 유역의 중심도시로, 고려 태조 때 거란족을 경계하기 위해 안북부(安北府)가 설치된 이래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문곡구 대니읍 운남리에 7군단 휘하의 8사단이 주둔하고 있다.


8. 하위 행정구역

[안주부 행정구역 지도]

8.1. 칠성구(七星區)

 * 관할 법정동: 칠성(七星), 건인(建仁), 고성(古城), 금성(金城), 남천(南川), 도회(都會), 문봉(文峰), 미상(彌上), 봉서(鳳棲), 북문(北門), 북송(北松), 서산(西山), 선흥(船興), 신성(新城), 신의(信義), 용서(龍西), 용연(龍淵), 용현(龍峴), 용흥(龍興), 원풍(元豊), 율산(栗山), 장상(長上), 장천(長川), 장흥(長興), 차장(差壯), 청교(淸橋), 화양(華陽)

인구는 234,584명.

안주부의 원도심이 있는 곳으로, 안주의 역사가 시작된 지역이다.

8.1.1. 용흥읍(龍興邑)

 * 관할 법정리: 용흥(龍興), 금서(錦西), 금천(錦川), 동맹(東孟), 맹주(孟州), 명학(鳴鶴), 봉덕(鳳德), 봉명(鳳鳴), 봉상(鳳上), 상서(祥瑞), 연풍(延豊), 용계(龍溪), 운흥(雲興), 평률(平栗)

인구는 12,614명.

개천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다.

운흥리는 개천현과 가까워 개천현과 생활권을 이루고 있다.

8.1.2. 운곡면(雲谷面)

 * 관할 법정동: 용복(龍伏), 구룡(九龍), 반룡(反龍), 어룡(漁龍), 온상(溫上), 온흥(溫興), 용담(龍潭), 용림(龍林), 용서(龍西), 용전(龍田), 용천(龍川), 용택(龍澤), 용학(龍鶴), 용흥(龍興), 운룡(雲龍), 원룡(元龍), 원흥(元興), 입석(立石), 재전(在田), 중흥(中興)

인구는 4,764명.

안주부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이다.

8.2. 청곡구(靑谷區)

8.2.1. 시내동 지구

 * 관할 법정동: 원흥(元興), 낙만(樂萬), 남칠(南七), 동칠(東七), 명암(明巖), 봉림(鳳林), 상팔(上八), 소학(巢鶴), 송죽(松竹), 송학(松鶴), 신(新), 신성(新成), 신원(新院), 오(五), 용계(龍溪), 용운(龍雲), 운송(雲松), 운학(雲鶴), 운흥(雲興), 원일(元一), 증암(甑巖), 창송(蒼松), 청송(靑松)

인구는 320,371명.

안주부의 교통의 요지로, 옛 명칭인 ‘신안주(新安州)’라는 지명으로 많이 부르고 있다.

8.2.2. 읍

8.2.2.1. 신리읍(新里邑)

 * 관할 법정리: (), 기산(岐山), 남단(南端), 남상(南上), 남조(南造), 내동(內洞), 동호(銅壺), 상공삼(上公三), 서호(西湖), 성법(聖法), 송산(松山), 신명(新明), 연흥(蓮興), 왕산(王山), 용담(龍潭), 용림(龍林), 용북(龍北), 용운(龍雲), 용정(龍井), 용주(龍珠), 용지(龍池), 용흥(龍興), 원북(元北), 인풍(仁豊), 입석(立石), 중흥(中興), 해서(海西), 호남(湖南)

인구는 5,104명.

원래 지명은 입석면(立石面)이었으나, 신리에 있는 안주탄광을 중심으로 번성하며 읍으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지명으로 개칭되었다. 동시에 읍사무소 소재지가 용주리에서 신리로 이전되었다.

한때 인구가 4만 명을 넘는 시절도 있었으나, 석탄산업의 몰락으로 인구가 5천 명대로 추락하였다.

경기도 개성부 토성구 신리읍(新里邑)과 한글과 한자 표기가 같다.

8.2.2.2. 협흥읍(協興邑)

 * 관할 법정리: 협흥(協興), 계림(桂林), 금계(金溪), 남계(南溪), 남상계(南上溪), 만흥(萬興), 문남(文南), 문천(文川), 발남(鉢南), 발북(鉢北), 백학(白鶴), 봉명(鳳鳴), 봉학(鳳鶴), 소니(小尼), 쌍계(雙溪), 어룡(漁龍), 용남(龍南), 용봉(龍峰), 용포(龍浦), 용호(龍湖), 용흥(龍興), 이서(尼西)

인구는 21,765명.

원래 지명은 대니면(大尼面)이었으나, 읍으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지명으로 개칭되었다.

숙천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다.

소니리는 대한민국에서 별난 지명으로 알려져 있다.

8.2.3. 면

8.2.2.1. 용화면(龍花面)

 * 관할 법정리: 용연(龍淵), 마산(馬山), 봉학(鳳鶴), 삼산(三山), 상북동(上北洞), 약천(藥川), 용남(龍南), 용담(龍潭), 용반(龍盤), 용운(龍雲), 용전(龍田), 용중(龍中), 용흥(龍興), 운천(雲川), 응암(鷹巖)

인구는 5,896명.

운천리는 협흥읍 협흥리와 함께 쌍둥이 도시를 이루고 있다.

8.2.3.2. 연호면(燕湖面)

 * 관할 법정리: 용흥(龍興), 남사(南四), 남이(南二), 남일(南一), 남흥(南興), 내삼(內三), 노안(老安), 동림(東林), 동서(東西), 박비(朴飛), 북흥(北興), 상팔(上八), 서흥(西興), 신설(新設), 신양(新陽), 용삼(龍三), 용오(龍五), 인흥(仁興), 중흥(中興)

인구는 5,27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