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여기다 도로깔고 시설깔고 할 건데 축척을 너무 넓게 잡았다;; 1픽셀 = 72m고 지도 전체 가로 길이가 대략 100km

예전에 올려서 념글갔던 동방시와 같은 세계관인데 1000km 이상 떨어짐. 전국 지도로 보면 거의 동쪽 끝에 위치한 도시


도시 설명을 하자면 일본의 키타큐슈 - 시모노세키 도시권처럼 해협을 사이에 두고 발전한 도시권

해협의 북쪽은 덕산주(德山州) 동운시(東雲市)라고 불림.

구성 구(區)는 (중앙 북쪽부터) 동운북구(東雲北區), 동운남구(東雲南區), 상생구(相生區), (서북쪽) 신동운구(新東雲區), (서남쪽) 명내구(名乃區), (동쪽) 각천구(角川區), (남쪽 앞바다 섬) 안중구(安中區)로 나뉨.

키타큐슈와 마찬가지로 동운시, 상생시, 명내시, 각천시, 안중시의 5개 도시였다가 통합하고 각자 시가 구가 되었고 동운시는 3개구로 나뉘게 됨.


동운시의 특징으로는 동운연구소(東雲硏究所)라는 중공업 회사가 산업에서 거대한 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공업도시라는 것. 일본의 ○○제작소(製作所) 돌림 회사가 중공업 회사인 것처럼 얘도 단순 연구소가 아닌 복합 중공업 회사. 방위산업체이기도 하고 해협에 위치했다는 설정 때문에 군항도 넣을 예정

+ 추가: 삿포로에 실재하는 회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전체적으로 창원+키타큐슈+울산 분위기가 될 예정


각 구의 컨셉은

- 동운남구: 행정, 상업 중심지 (≈울산 삼산동)

- 동운북구: 구도심 (≈울산 중구)

- 신동운구: 개발을 기다리는 지역 (≈부산 강서구)

- 상생구: 가장 특색없는 지역

- 명내구: 동쪽은 시가지, 서쪽은 개발이 덜 됨 (≈키타큐슈 모지구) 그 외에 발전소 소재

- 안중구: 군항 (≈ 창원 진해구) 그 외에 공항 소재

- 각천구: 동쪽은 동운연구소 등 대형 공장이 위치해 있고 시가지랑 가까운 서쪽은 계음미디어그룹(啓音—, 동운 소재 기업 중 동운연구소에 이은 2인자) 사옥 등이 위치한 업무지구


동운시계 북서쪽과 북동쪽은 회명군(繪名郡)에 속하는 읍면으로 구성됨. 행정체계 상 도농분리이고 시승격요건이 30만이나 되기에 위성도시들은 있지만 시 승격을 못 하는 중. 동부와 서부가 월경지가 되어 있는데 어차피 군은 자치권이 없어서 별로 상관은 없음


이제 해협 남부의 소개. 신구주(新臼州) 시정시(時定市)인데 도시 구조가 바둑판에 가까울 예정인 대도시이고, 2차 산업 강세인 동운시와 반대로 3차 산업 강세 지역임. 그래서 해협을 건너는 해저터널과 교량의 교통량이 많음.


시정시 시계를 벗어나면 평탄한 고원지대가 펼쳐짐. 여기도 시가지가 발달되어 있어서 시정이나 동운으로 통근통학율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