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민영제

말 그대로 운수수입에 버스회사 수입을 의존하는 방식...이긴 한데 대중교통이 저운임인데다가 환승할인까지 있는 한국에서는 운수수입만 갖고는 버스회사가 장사가 안되기 때문에 대다수의 노선들이 지자체에서 보조금을 받고 굴러감.


장점 - 지자체 입장에서 가장 신경을 덜써도 되고, 나가는 돈이 제일 적음.

단점 - 버스회사가 경영위기에 빠질수 있으며, 이로 인해 버스 배차간격이 크게 길어지거나(실제로 민영제를 실시하는 경기도 시내버스 상당수가 이러한 이유로 이전 대비 배차간격이 길어진 상태) 운영이 중단될수 있음. 여기에 최근에는 버스기사 부족이라는 문제도 겹친 상태. 또한 이 경우 아래 설명할 버스회사의 노선소유권으로 인해 버스회사가 시가 요청한 노선 변경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을수 있음(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보조금을 더 주는 선에서 해결하는 경우가 많은듯.)


2. 공영제


말 그대로 지자체가 직접 버스를 운영하는 것. 말 그대로 지자체에서 직접 운영하는 경우도 있고(정선, 신안 등), 시 산하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경우도 있음(세종시, 화성, 고양, 아산, 원주 등)


장점 - 지자체에서 모든걸 통제할수 있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인 운송서비스가 보장됨

단점 - 지자체가 지불해야 할 금액이 가장 크며, 전문적인 조직이 아닌 공무원 집단이 버스를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비효율성도 존재. 또한 의외의 복병으로 버스회사의 노선 소유권 반납 거부라는 복병도 존재하는데 한국에서는 대법원 판례로 노선 소유권이 회사 소유이기에 아무리 돈을 준다고 해도 회사가 노선 소유권 반납을 거부시 공영제로의 전환이 불가함. 일례로 당진시가 해당 이유로 버스 공영화가 무산된 상태.

또한 의외로 국내에서는 버스기사의 선호도가 준공영제보다 낮은데, 고용이 보장되면서도 일단은 민간기업 소속으로 호봉제 등이 있는 준공영제 시내버스에 비해 공영제 시내버스는 기본적으로 해당 지자체 공무직에 준하여 임금이 책정되며 호봉제 등도 없기 때문에(즉 몇년을 근속하든 임금상승이 없단 이야기) 준공영제 시내버스보다 처우가 떨어지기 때문(이러한 이유로 세종도시교통공사는 공기업임에도 인력유출 문제를 겪는 중)


+) 추가로 몇몇 민영제 버스에 '공영'이라는 표시가 붙어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시골 버스회사들이 한눈에 봐도 민영제로는 장사가 안될것 같기 때문에 버스 구입비용을 전부 지원해주되, 차량 소속을 지자체로 하거나 운수회사에 버스를 저당잡는 경우 소유권 표시를 위해 '공영'이라는 표시를 해둔다고 함.


3. 준공영제


민영업체가 버스를 운영하되, 이에 발생하는 적자를 지자체에서 지원해주는 형태. 매년 전문가들을 모아 '버스 1대당 표준운송원가'를 정하고 버스회사는 운송수입을 공개하며 지자체는 표준운송원가에 따라 적자액만큼 보조해줌.


장점 - 민영제보단 돈이 더 나가지만 공영제보단 돈이 덜드면서도 안정적인 운행이 보장, 공무원 집단이 버스를 운영함으로써 나타나는 비효율 문제가 없음, 노선변경 등으로 회사와 실랑이를 겪을 필요 없음(일단 노선소유권은 회사에 있어 동의 절차가 필요하지만, 돈주인 지자체를 거스를 이유가 없으며 수익성에 영향도 없으니 웬만해선 찬성함.)

단점 - 버스회사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 문제가 발생, 버스회사 채용과정에서의 비리 발생 우려가 있음.(물론 지자체도 바보는 아니기 때문에 견제수단을 마련하지만, 잊을만 하면 문제가 터지는 중) 또한 버스 1대당 지원금액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를 시행하는 지자체 대다수가 버스총량제를 같이 시행하여 증차 금지, 때에 따라선 자발적 감차 유도(서울시의 경우 잉여예비차량이란 개념을 도입해 해당 차량에 대해서는 준공영제 지원을 하지 않으며, 대차시에는 100% 자비부담을 요구해 거의 반강제 수준의 감차 유도를 하기도 함)까지도 하기 때문에 재정 부담으로 인한 어느 정도의 이용 불편은 생기기도 함.


3-1. 노선입찰형 준공영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보겠다며 경기도에서 시행하는 제도. 면허를 지자체에서 모두 회수해 노선 운영사를 선정하며(단 현실적인 문제로 기존 노선 운영사한테 상당한 수준의 가산점을 줘 어지간히 막장이 아니면 웬만해선 기존 회사가 낙찰되는 모양), 정기적으로 노선 운영사를 선정하는 형태임. 초기에는 반발이 강했는데, 코로나 때문에 결국 회사들이 받아들였다는 모양.


3-2. 유사 준공영제?(일명 준준공영제)


준공영제를 위해선 일단 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과 함께 시 조례 등이 필요한데 이게 귀찮은 지자체에서 형식적으로는 민영제지만 실제로는 표준운송원가를 정해 그에 준하는 지원을 하는 체제임. 지자체가 버스회사에 일정 금액을 먼저 보전하되, 대신 매년 회계감사를 할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이렇게 밝혀낸 운송원가에서 수익금을 제외한 금액이 보전금액을 넘으면 추가지원을, 밑돌면 환수하는 체제임. 임금협상에 시가 개입하는 준공영제와는 다르게 임금협상에는 시가 개입하지 않아 순수히 노조-회사 양자만으로 임금협상이 진행됨.


현재 국내에서는 포항시, 경주시, 진주시가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춘천시가 준공영제 도입 이전 과도기적인 체제로 준준공영제를 시행했던 적이 있음.


장점 - 별도의 용역이나 시 조례가 필요없어 정치적 비용소모(용역을 하는 것도 돈)나 싸움이 없어짐

단점 - 버스기사 입장에서는 임금협상에 시가 개입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임금 면에 있어서 불리해질수 있으며, 운영비용은 운영비용대로 지불하며 버스회사에 대한 시의 영향력 행사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이도저도 아닌 체제라는 비판이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