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담회하는 강기정 광주시장
[광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 강기정 광주시장은 대구·경북에서 신호탄을 쏘아 올린 행정통합 논의에 대해 "기능 통합이 우선"이라는 소신을 밝혔다.


강 시장은 21일 기자들과 차담회에서 "행정통합의 큰 방향에는 동의한다"면서도 "다만 행정통합은 마지막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 시장은 "행정통합에는 두 원칙이 있는데 하나는 정부 주도로 돼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행정통합은 마지막이 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논의의 시작은 교통과 경제 통합이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도, 특례시 등 다양화한 자치 단위를 논의해야 하는 만큼 정부 주도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교통망을 연결하고 산업과 경제망의 역할을 분담하면 행정통합은 어렵지 않게 이룰 수 있어 선(先) 기능 통합 후(後) 행정 통합의 원칙이 유효하다고 강 시장은 부연했다.


강 시장은 "시도지사의 추진 방침에 대통령이 호응한 상황에서 (대구·경북을) 시범 지역으로 추진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광주시는 지난해 말 메가시티 정책을 검토하고 국민의힘 '뉴시티 프로젝트 특별위원회'와 서남권 메가시티 구축 토론회를 열기도 했으나 전남도와 논의는 다소 잠잠한 상황이다.


그사이 광역 통합 대상으로 거론되기도 했던 전북은 지난 1월 특별자치도로 출범해 사실상 논의에서 배제됐다.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등 갈등 현안에 광주시와 전남도의 통합 논의가 밀려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광주시와 전남도의 공동 현안을 논의하는 상생발전 위원회는 민선 8기 출범 직후인 2022년 8월 이후 열리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