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직할시 일반철도 지도]

아래에 작성되어 있는 구간은 서울직할시를 지나가는 구간이다.

 * 경의선: 용산-효창-공덕-서강-동교-가좌-수색-화전-(능곡)

 * 경부선: 용산-노량진-영등포-구로-가산-독산-시흥-석수-(관악)

 * 관북선: 용산-이촌-서빙고-한남-옥수-응봉-왕십리-청량리-회기-휘경-이문-석계-광운대-월계-녹천-창동-방학-도봉-도봉산-(망월사)

 * 경인선: 구로-개봉-오류-온수-(역곡)

 * 경춘선: (용산 방면으로 직결)-청량리-회기-중랑-망우-신내-갈매-별내-(퇴계원)

 * 중앙선: (용산 방면으로 직결)-망우-양원-구리-(도농)

 * 도성선: 서울-청파-용산

개명된 역들

 *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역

 * 서강대역→서강역

* 홍대입구역→동교역

 * 오류동역→오류역

* 청파역→남영역

해당 세계관의 서울의 철도 환경

 * 분단이 되지 않아서 용산역이 대한민국의 최대 철도 중심역이 되었고, 서울역은 원 역사보다 규모가 작아져 도성선의 시종점역으로 전락(?)하였다.

 * 도성선(都城線)

 - 한양도성(漢陽都城)에서 이름을 따온 노선으로, 사대문안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다.

 - 서울직할시를 지나가는 일반철도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수도권 전철에 속하지 않는다.


[서울직할시를 지나는 고속철도 노선도]

같이 보기: 대한민국 고속철도(feat. 서울?)

 * 경의고속철도: 서울직할시에서의 정차역은 용산역, 가좌역이다.

 - 가좌역: 서울 성저십리 서부의 중심역이다.

 * 경부고속철도: 서울직할시에서의 정차역은 용산역, 신광명역이다. 서울직할시를 지나는 구간은 지하화되어 있다.

 - 신광명역: 서울직할시의 舊 시흥군 지역에서 유일한 고속철도역이다.

 * 관북고속철도: 서울직할시에서의 정차역은 용산역, 청량리역이다. 서울직할시를 지나는 구간은 경부고속철도와 마찬가지로 지하화되어 있다.

 - 청량리역: 서울 성저십리 동부의 중심역이다.

 * 설정 변경: 경의고속철도 용산-서울-대곡 구간을 용산-가좌-대곡 구간으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