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자료는 2021년 3월에 발표한 최신 자료를 기초로 하고 있음. 등록외국인만 발표되므로 불법체류자, 협정비자(주한미군)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음. 각 행정구역별로 상위 10개국만 열거, 조선족과 러시아고려인은 따로 분류됨, 대만은 재한화교인 경우가 많음


국장이 만든 https://arca.live/b/city/28411115 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함.


 

시군구중구
총합계3,893
중국916
대만838
조선족822
베트남337
필리핀115
일본110
미국85
타이68
미얀마63
몽골53

공화춘과 차이나타운.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가 제물포 지역이 배경이라는 것을 알 사람은 아마 다 알 것이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짜장면부터가 재한화교가 한국에서 만든 음식이다.(비슷하게 짬뽕은 나가사키의 재일화교가 만든 음식이다.)

 

시군구동구
총합계861
조선족225
중국152
베트남123
대만94
미얀마45
필리핀33
인도네시아30
캄보디아21
네팔19
타이16

별 특이사항은 없다.

 

시군구미추홀구
총합계8,845
조선족2,378
중국2,093
베트남1,289
대만595
우즈베키스탄390
몽골332
필리핀167
타이149
인도네시아122
파키스탄121

이 지역 역시 별 특이사항은 없다. 


 

시군구연수구
총합계12,081
우즈베키스탄1,629
베트남1,612
카자흐스탄1,096
중국987
조선족911
미국719
러시아626
몽골278
키르기즈258
예멘246

연수1동 고려인마을과 송도동의 국제기구가 뭉친 모양새이다. 연수1동은 구소련 국가(우즈벡, 카자흐, 러시아, 키르기즈 등)출신 외국인노동자들이 주로 거주한다. (남동공단이 지척) 송도동의 경우는 되게 다양한 나라의 국적자가 많지만, 상위 10개국만 다루기 때문에 잘려서 안보인다. (11위가 리비아, 12위가 우크라이나, 14위가 이집트, 18위가 인도, 20위가 시리아 같은 식이다)

참고로 이 지역이 특이하게 난민들도 많이 사는 모양인데, 그 제주도로 들어와서 알박기한 예멘 출신자들이 이 쪽으로 몰려왔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 기사의 답을 이 표가 해주는 모양새이다.

 

시군구남동구
총합계11,213
조선족2,540
베트남1,830
중국1,517
필리핀727
인도네시아596
미얀마572
네팔423
타이414
우즈베키스탄403
몽골327

평이한 편이다. 남동공단이 있긴 하지만, 남동공단 인근에 외국인 노동자들이 살만한 주거 시설 같은건 없다. 한화지구 집값 비싸다.


시군구부평구
총합계13,558
조선족7,463
중국2,963
베트남906
미얀마426
몽골285
대만205
타이180
필리핀171
일본153
캄보디아107

대림동의 땅값이 조선족들이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비싸지니까 조선족들이 눈을 돌린 곳 중 하나가 부평구이다.


시군구서구
총합계11,469
조선족2,020
베트남1,553
중국1,230
필리핀828
미얀마745
타이709
네팔469
파키스탄411
캄보디아401
인도네시아381

이 곳 역시 평이한 편이다.

 

시군구강화군
총합계794
베트남156
조선족77
미얀마75
필리핀65
중국48
인도네시아48
네팔40
타이36
캄보디아32
우즈베키스탄30

좀 진행하다 보면 알겠지만, 지방 농촌 지역은 대부분 이러한 분포가 나온다. 

 

시군구옹진군
총합계200
인도네시아64
베트남58
스리랑카25
중국10
조선족9
미국7
동티모르7
필리핀6
남아프리카공화국3
타이2
몽골2
러시아2

보통 낙도로 이루어진 지역은 인도네시아인, 스리랑카인 비중이 높은 편이다. 얘네들이 섬 출신이라 바닷일을 잘한다고 함. 위에 내가 참고를 권장한 국장이 만든 지도에 보면 인도네시아인이 다수인 지역이 죄다 해안가에 몰려있는 지자체임을 알 수 있다. 동티모르인과 남아공인이 눈에 띄고, 미국인이 특이하게 7명이나 된다. 2명은 원어민 강사라고 하는데 나머지 다섯명이 왜 이 낙도까지 와서 사는지는 잘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