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아프간 공산 정권이 무너졌지만 이후 무자헤딘들이 서로 싸우기 시작해면서 아프가니스탄은 바로 무정부 상태가 됨:


자미아트-이 이슬라미 جمعیت اسلامی

이름을 풀이하면 '이슬람 사회'. 아프간 북부 지역을 차지한 무자헤딘 세력으로 주 구성원은 타지크족. 당시 국제적으로 아프간 대통령으로 여겨지던 신학자 부르하누딘 라바니와 판지시르의 아흐마드 샤 마수드, 헤라트의 이스마일 칸 등이 여기 속했음. 북부동맹의 주축.


준비시-이 밀리 جنبش ملی

이름을 풀이하면 '민족 운동'. 공산 정권에서 돌아선 압둘 라시드 도스툼이 이끌던 군벌로 북부 지방에서 세력을 떨쳤으며 여기는 우즈벡족이 주축. 나중에 북부동맹에 참여함.


이티하드-이 이슬라미 اتحاد اسلامی

이름을 풀이하면 '이슬람 연합'. 지도를 보면 장악 영역이 넓진 않았는데.. 압둘 라술 사야프가 이끌던 무자헤딘 세력으로 주로 파슈툰족으로 구성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음. 나중에 북부동맹에 참여함.


히즈브-이 와흐다트 حزب وحدت

이름을 풀이하면 '통일당'. 아프간 중부 산악지대의 하자라족 위주의 무자헤딘 단체로 압둘 알리 마자리가 이끌었으며, 주로 파키스탄을 통해 지원을 받는 다른 정파들과 달리 이란의 지원을 받았다고. 마자리는 95년 탈레반이 협상으로 속여서 불러내 암살했고, 남은 세력은 북부동맹에 참여.


하라카트-이 인킬랍 حرکت انقلاب

이름을 풀이하면 '혁명 운동'. 파슈툰 출신 모하마드 나비 모하마디가 이끎. 모하마디는 아프가니스탄 부통령이었는데 무자헤딘 간 내전에서 중립을 지키다 탈레반이 등장하자 친탈레반으로 돌아섰다고.. 사실 탈레반의 초대 지도자 오마르가 여기서 무자헤딘으로 싸운 전력이 있었음.


히즈브-이 이슬라미 حزب اسلامی

이름을 풀이하면 '이슬람당'. 굴부딘 헤크마티아르가 이끌던 무자헤딘 세력으로 남동부 지력에서 세력을 떨쳤으며 주로 파슈툰족으로 구성, 탈레반이 뜨기 전까지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음. 여기는 2000년대 이후까지 탈레반과 정부 사이에서 편을 이리저리 바꿈. 

※ 헤크마티아르와 별개로 모하마드 유누스 할리스가 이끌던 계파도 있었는데 (압둘 하크가 여기 출신) 맨 위 지도에서 줄무늬로 표시.




변변한 세력 없이 무정부 상태였던 남부 지역에선 90년대 중반부터 헤크마티아르 대신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게 된 탈레반이 등장했고, 탈레반은 카불에 입성해 서로의 점령지에 로켓포 쏘고 있던 무자헤딘들을 몰아내고 전쟁을 끝내 사람들의 환영을 받음. 물론 그 다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