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는 통계청 (원 출처는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인데 데이터가 잘 정리가 안되어있어서 사용하기 편하게 정리해봤음.

이런 raw data 정리한 파일 업로드하는 방법이 있음?


뭐 우선 결과를 정리해보자.


일단 1911 - 1917년 자료는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음.


[표 1] 전국 경지면적(논 + 밭)

한 눈에 봐도 뭔가 많이 이상하다.


1911년 - 1918년까지 총 경지면적이 거의 80% 이상 증가한 반면 그 이후에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는데,

1918년은 총독부의 토지조사사업이 끝나는 해로 해당 기간은 통계의 정확성이 올라가는 시기이다. 즉, 통계가 과소평가되었다.


[표 2] 각 도 별 논 면적

도 별로 분리해서 보면 더욱 명확해지는데,

각 도의 경지면적이 다른 연도(= 해당 도에 토지조사사업이 집중적으로 실행된 연도)에 퀀텀점프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1917년까지의 통계를 제외하면 이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표 3] 각 도 별 논 면적


[표 4] 각 도 별 밭 면적


그래프로는 확인이 어렵겠지만 전국에서 밭 면적은 소폭 감소한 반면 논 면적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산지가 많은 경상도와 환경이 척박한 북부지방에서의 논 면적 증가가 눈에 띄는데, 

이것은 일제시대 들어서 미곡증산계획과 같은 정치적 + 방조제/관개수로 등 근대 토목/농업 기술이 도입된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표 5] 각 도 별 2모작 경지 면적

따뜻한 남부지방에는 경작면적이 크게 늘어나지는 않았지만 1년 2모작이 더 많이 보급되었다.


하지만 다들 알다시피 산미증산계획으로 늘어난 생산량은 대부분 내지로 이출되었는데, 자세한건 아래부분에..


다음으로 자작논/밭 면적을 알아보자. 근대화에서 중요한건 쌀의 이출보다 영농형태이다. 


[표 6] 각 도 별 자작논 면적

[표 7] 각 도 별 자작밭 면적

양쪽 다 대체적으로 계속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논의 경우, 논 면적은 같은 기간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작논 면적은 그대로이거나 감소하는 추세였는데,

이는 일제시대 산미증산계획으로 인한 자작농의 몰락 + 지주계급과 일반 조선 농민의 양극화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1924년 11월 28일자 '동아만화'에 실린 당대 지주의 모습]


일제는 지배 초기부터 의도적으로 지주계급을 피지배민족인 조선인들로부터 '갈라치기'하였다.

일제는 토지조사사업으로 지주계층에게 토지의 소유권을 보장하지만,


조선시대에도 있었던 소작농의 경작권(영구소작권, 소작료 정액제, 소작지 전대권)은 부정하였다.

정작 내지(일본 본토)에서는 지주의 소유권과 소작농의 경작권을 모두 보장하였음을 고려하면 다분히 정치적인 행위였다.


이러한 구조가 식민지 지주제인데,

지주계급이 소작농으로부터 많은 소작미를 거두어서 많은 잉여분이 쉽게 일본으로 이출될 수 있는 구조인데,

그 대가로 당시 조선 농민의 77%를 차지했던 소작농의 삶은 나락으로 떨어졌다.

제국의 쌀 공급기지로 쓰였던 조선의 흔한 모습이다.


뭐 결과적으로 생산량도 이후 산미증산계획으로 늘어났지만 그 부작용(쌀값 폭락, 세 부담 증가)으로 조선 농민의 20%였던 자작농이 몰락하고,

거기에 위생이 좋아지며 인구가 증가하자 유휴노동력(=잉여노동력)이 생긴다.


문제는 조선 경제의 지휘권이 제국 정부에게 있었고, 그들은 30년대 이전까지 조선을 공업화 없이 쌀 생산 창고로만 유지했다. 

그래서 유휴노동력은 도시 노동자가 되지 못하고 식민지 지주제에 순응하거나 화전민이 되거나 내지/만주로 이민 갈 수 밖에 없었다는 슬픈 사실..


이는 식민지근대화론의 주장 중 하나인 '한반도의 자본주의화'를 반박할 때 사용되는 논리이기도 하다.

쓰다보니 통계보다 역사에 대한 글이 되어 버렸네.. 문제가 된다면 역사 부분은 지우도록 하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