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이제보니까 작년 12월 22일에 나온 자료를 오늘 나온 것처럼 포장해가지고 내놓은 거였네?


아무튼 통계청 자료로 살펴보자

2020년 10월 31일까지의 기준이다.

모든 기준은 초혼인 신혼부부(5년차까지)를 기준으로 삼는다.


평균 출생아 수 0.68명으로 전년 대비 0.03명 감소

아이가 있는 신혼부부 수 52만 321쌍

실제 결혼시작일 이전에 출산한 부부 6,899쌍(흔히 말하는 속도위반)

1년 이내 217,487쌍

1년 이상 2년 미만 174,385쌍

2년 이상 3년 미만 78,715쌍

3년 이상 4년 미만 30,746쌍

4년 이상 5년 미만 9,241쌍

5년 이상 2,848쌍


평균적으로 첫째 자녀를 출산하기 까지 걸리는 기간 16.7개월(대략 1년 5개월)로 전년대비 0.6개월 상승

제주도가 14.8개월로 가장 짧고 

서울이 18.2개월로 제일 길었으며 

경기도가 17.1개월,세종이 16.9개월 등으로 뒤를 따름.


맞벌이(17.2개월)가 외벌이(16.3개월) 가정보다 0.9개월정도 초산까지의 기간이 긴 편



둘째를 출산한 부부일 경우 첫째와 둘째 사이의 기간은 23.8개월로 2년이 가장 많았음.

다만 여기서는 제주도가 24.4개월로 가장 길었으며 서울은 23.3개월로 1개월 정도 빠름.

그리고 맞벌이가 외벌이 보다 둘째아이 출산까지의 텀이 1.1개월 짧음. 맞벌이 23.1개월,외벌이 24.2개월 


제주도가 첫째는 빨리 낳고 둘째를 낳기까지 걸리는 기간이 좀 더 길다는 거

서울은 첫째를 늦게 낳는 대신에 둘째는 빠르게 낳는다는 거 그 차이가 있음.

또 외벌이보다는 맞벌이가 수입이 많기 때문에 둘째를 좀 더 빨리 낳는다는 거?


요약 둘 낳는데 평균 40개월 걸린다.


둘째 낳는 텀이 극단적으로 짧아질 가능성은 없다.

2년 정도가 산모 건강에 좋다고 함.

그거 아니라도 부모 입장에서도 2~3년차가 가장 나은 선택임. 안 그러면 개고생.


괜히 어른들이 연년생이면 부모님께 더 잘해드려야한다고 하는 게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