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연희 글 모음

과고/영재고 지도 : https://arca.live/b/city/43511750


이번에는 지도러님 백지도 (https://arca.live/b/city/32018720) 위에 전국 외국어고등학교와 국제고등학교의 위치를 나타내어 보았습니다.

빨간색은 외국어고등학교 (30개교), 초록은 국제고등학교 (7개교), 은 과거에 외국어고등학교였던 학교 (4개교)입니다.

외국어고등학교와 국제고등학교는 각 시/도에 거주하는 중학생만이 입학 가능합니다.

예외적으로 광주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에는 외고가 없기 때문에 광주의 학생들은 인근 지방의 외고에 원서를 넣을 수 있습니다.

국제고가 없는 지역의 학생들도 마찬가지인데, 국제고는 없는 지역이 많으므로 준-전국단위 모집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외국어고등학교 (30개교, 5791명)

학교명지번 주소선발 인원 (개교 연도)학교 특성
대원외국어고등학교서울특별시 광진구
중곡동 176-124
250명 선발 (1984 개교)[사립] [등하교] [공학]
대일외국어고등학교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산16-36
250명 선발 (1984 개교)[사립] [기숙사] [공학]
경민외국어고등학교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562-1
(1984 개교, 1994 전환)現 경민IT고
부산외국어고등학교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110-2
250명 선발 (1985 개교)[사립] [등하교] [공학]
인천외국어고등학교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 180-142
225명 선발 (1985 개교)[사립] [등하교] [공학]
전남외국어학교광주광역시 북구
삼각동 479-1
(1986 개교, 1990 전환)現 국제고 (일반고)
경남외국어고등학교경상남도 양산시
어곡동 1427-1
200명 선발 (1987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한영외국어고등학교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166
250명 선발 (1990 개교)[사립] [등하교] [공학]
과천외국어고등학교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11
250명 선발 (1990 개교)[사립] [등하교] [공학]
청주외국어고등학교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2444
154명 선발 (1991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중산외국어고등학교충청북도 충주시
호암동 33
(1992 개교, 2011 전환)現 충주중산고
명덕외국어고등학교서울특별시 강서구
내발산동 169-1
250명 선발 (1992 개교)[사립] [기숙사] [공학]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서울특별시 중구
순화동 1-1
150명 선발 (1992 개교)[사립] [등하교] [여고]
서울외국어고등학교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35
250명 선발 (1994 개교)[사립] [등하교] [공학]
전남외국어고등학교전라남도 나주시
용산동 51-1
100명 선발 (1994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부일외국어고등학교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 634-61
200명 선발 (1995 개교)[사립] [기숙사] [공학]
대전외국어고등학교대전광역시 서구
내동 220-13
250명 선발 (1995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경북외국어고등학교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110
125명 선발 (1996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대구외국어고등학교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1675
120명 선발 (1997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안양외국어고등학교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산41-1
250명 선발 (1997 개교)[사립] [등하교] [공학]
고양외국어고등학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335
250명 선발 (2002 개교)[사립] [기숙사] [공학]
부산국제외국어고등학교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025-127
(2004 개교, 2019 전환)現 부산센텀여고
경기외국어고등학교경기도 의왕시
고천동 438-1
200명 선발 (2004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제주외국어고등학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94
100명 선발 (2004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
외국어고등학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 232
(2005 개교, 2011 전환)現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
(전국단위 자사고)
동두천외국어고등학교경기도 동두천시
지행동 310-1
200명 선발 (2005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전북외국어고등학교전라북도 군산시
소룡동 1044-2
160명 선발 (2005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김포외국어고등학교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갈산리 465-33
200명 선발 (2006 개교)[사립] [기숙사] [공학]
성남외국어고등학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376-1
200명 선발 (2006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수원외국어고등학교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1088-23
200명 선발 (2006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김해외국어고등학교경상남도 김해시
율하동 262
125명 선발 (2006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충남외국어고등학교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명암리 851
140명 선발 (2008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767-2
192명 선발 (2010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울산외국어고등학교울산광역시 북구
중산동 203-5
175명 선발 (2010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강원외국어고등학교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하리 500
125명 선발 (2010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외고는 외국어에 능통한 선도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특목고입니다. 28개 과고·영재고가 전부 공립에 기숙사 생활을 하며 성비가 어떻든 간에 남녀공학인 것을 감안하면 외고는 사립인 학교가 많으며, 대부분의 일반고처럼 기숙사가 없는 학교도 있으며, 1개교는 단성 학교입니다. 나무위키에 의하면 경민외고 (← 경민외국어학교; 특목고 인정 전에 전환)는 1994년 경에, 전남외국어학교는 1990년 경에 스스로 특성화고/일반고로 전환을 했습니다. 또한 이를 뒤이어 중산외고, 부산국제외고 (여고), 용인외고가 일반고/자사고로 전환되면서 현재는 총 30개 학교에서 5837명을 선발합니다. 1638명을 뽑는 과고에 비해서 학교 수는 1.5배, 선발 인원은 3.56배 더 많습니다. 또한 외고에서 조기졸업을 하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국제고등학교 (8개교, 1168명)

학교명지번 주소선발 인원 (개교 연도)학교 특성
부산국제고등학교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 897
160명 선발 (1998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청심국제고등학교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 산102
100명 선발 (2006 개교)[사립] [기숙사] [공학]
서울국제고등학교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1가 1-27
150명 선발 (2008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인천국제고등학교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3077-4
138명 선발 (2008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동탄국제고등학교경기도 화성시
반송동 203
200명 선발 (2011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고양국제고등학교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1483
200명 선발 (2011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세종국제고등학교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359
100명 선발 (2013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대구국제고등학교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77-1
120명 선발 (2021 개교)[공립] [기숙사] [공학]


국제고는 국제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특목고로, 국제중과 함께 1998년에 등장했습니다. 절반 가까이가 사립인 외고와는 다르게 가평의 청심국제고만이 사립이며,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하는 남녀공학 고등학교입니다. 최근까지 7개교로 운영되다가 작년 대구에 대구국제고가 개교했습니다.


선발 인원수별로 학교를 정렬하면 이렇게 됩니다.

선발 인원학교
250 대원외고 (서울), 대일외고 (서울), 명덕외고 (서울), 서울외고 (서울), 한영외고 (서울),
 부산외고 (부산), 대전외고 (대전), 고양외고 (경기), 과천외고 (경기), 안양외고 (경기)
225 인천외고 (인천)
200 부일외고 (부산), 경기외고 (경기), 김포외고 (경기), 동두천외고 (경기), 성남외고 (경기),
 수원외고 (경기), 경남외고 (경남), 고양국제고 (경기), 동탄국제고 (경기)
192 미추홀외고 (인천)
175 울산외고 (인천)
160 전북외고 (전북), 부산국제고 (부산)
154 청주외고 (충북)
150 이화외고 (서울), 서울국제고 (서울) 
140 충남외고 (충남)
138 인천국제고 (인천)
125 강원외고 (강원), 경북외고 (경북), 김해외고 (경남)
120 대구외고 (대구), 대구국제고 (대구)
100 전남외고 (전남), 제주외고 (제주), 청심국제고 (경기), 세종국제고 (세종)



지자체별로 선발 인원을 정리해보면 이렇게 됩니다.

지자체외고 입학 정원국제고 입학 정원
서울특별시1400 (6개교)150 (1개교)
부산광역시450 (2개교)160 (1개교)
대구광역시120 (1개교)120 (1개교)
인천광역시417 (2개교)138 (1개교)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250 (1개교)-
울산광역시175 (1개교)-
세종특별자치시-100 (1개교)
경기도1750 (8개교)500 (3개교)
강원도100 (1개교)-
충청북도154 (1개교)-
충청남도140 (1개교)-
전라북도160 (1개교)-
전라남도100 (1개교)-
경상북도125 (1개교)-
경상남도325 (2개교)-
제주특별자치도100 (1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