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경상도


경상도를 남강 및 낙동강 하류권(진주부), 동해안권(동래부), 낙동강 중류권(대구부), 북부 산악지대권(안동부)로 나누었음. 

통일 신라 시대에도 별개행정구역이던 동부경남과 서부경남이 최대한 나누어져 있고, 경북 역시 금호분지권과 안동권이 잘 나누어져 있음.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져 오는 영남지방의 생활권 구분이 잘 반영되었다고 생각함



구 전라도


금강 호남평야권(전주부), 영산강 나주평야권(나주부), 섬진강권(남원부), 제주도(제주부)로 나누었음. 

1년 후 전주부와 나주부의 구분은 전북과 전남을 설치하는 기준이 됨. 실제로 ‘방언과 문화가 갈라진다’는 의미의 전남북 경계인 갈재고개를 기준으로 잘 나눈 편. 

남원부는 좀 애매함. 섬진강 권역으로 잘 나누긴 했으나 진안고원에서 은근히 접근이 힘들고 전남 동부권은 남원권과 문화적 차이가 꽤 존재했기 때문임. 

제주를 분리한 것도 꽤 좋은 선택이었음. 



구 충청도


은근히 잘 나눔. 

차령 이북, 내포평야와 서해를 중심으로 한 홍주부, 금강 중류 지역인 공주부, 과거 서울과 영남의 길목이던 내륙 충주부. 

현대 충청의 구도와 비슷함. 금강유역의 충청 중부권이 지자체를 넘어 충청권 메가시티로 형성되고 있는 곳이 현 공주부 지역과 유사함. 

동부 지역은 충청의 지역성보다는 해당 도시가 속했던 길목과 연계가 강해졌음. 그래서 같은 길목에서 연계가 많았던 원주 등도 충주부가 됨. 단 ‘수계’와 ‘길목’에 너무 매몰되어 한성권이던 용인까지 충주부에 넣는 등 탁상행정이 있었음



강원도


영동과 영서로 깔끔하게 분리됨. 

단, 영서 이남과의 길목이던 강원감영소재지 원주가 충주부가 되었음. 

이게 현대에 미친 영향은, 기존 강원감영 소재지던 원주가 충주부에 들어간 동안 춘천부가 생겼고, 춘천부가 그대로 13도제 강원도가 되면서 강원도청이 지금까지도 춘천에 들어선 계기가 됨. 



경기도


서해 경기와 내륙 경기를 구분한 것은 좋았지만, 너무 귿것뿐이었음. 특히 충주부에 속한 경기도는 23부제 탁상행정의 대표사례가 됨



현 북한지역


이 지역을 퉁쳐서 말하는 이유는, 현대 북한의 행정체계와 놀랍도록 비슷하기 때문임. 

강계부가 자강도, 갑산부가 양강도와 거의 비슷하며 해주부가 황남, 개성부가 황북과 거의 일치함. 

북한은 무작정 도를 늘린 것이 아니라, 실제 행정의 효율화를 위해 도를 늘린 측면도 꽤 강함. 

함경도와 평안도 내륙은 워낙 험준해서 해안가와는 상당한 문화적 차이가 존재했고, 행정력이 닿지 않아 문제되는 곳도 많았음

또 황해도도 멸악산맥과 거의 비슷하게 분리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