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성내라는 이름을 행정구역으로 사용하는 곳은 법정동·리, 행정동·리 구분 없이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동
대구광역시 중구 성내1·2·3동
강원도 강릉시 성내동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성내리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성내리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성내리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성내리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성내리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성내동
경상북도 김천시 성내동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성내리
경상북도 영천시 성내동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내리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내리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성내리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

이렇게 있는데, 고창군 성내면(星內面)을 제외한 나머지 행정구역은 모두 한자로 城內를 씀
행정구역과 실제 성이 얼마나 겹치는지 한 번 비교해 보기로 했음

지도에서 분홍색은 행정구역, 노란색은 성임
성문이나 성내의 시설물 등은 이미 다른 유저가 쓴 글이 있으니 여기선 생략하도록 함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동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동의 유래는 풍납토성

그런데 정작 풍납토성은 풍납동에 있음
조선시대에도 풍납토성이 있는 곳은 광주 구천면 풍납리, 성내동은 구천면 성내리였다고 함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강북 쪽에서 보면 한강 너머 풍납토성 뒤 쪽으로 마을이 있어서 성 안에 있다고 인식한 것이 아닌가 생각함


대구광역시 중구 성내1·2·3동



대구광역시 중구 성내1·2·3동의 유래는 대구읍성

성내1·2동에 걸쳐 대구읍성이 있고 성내3동에는 달성이 있음


강원도 강릉시 성내동



강원도 강릉시 성내동의 유래는 강릉읍성
다른 지역은 보통 성과 행정구역이 거의 일치하거나 행정구역이 훨씬 큰데

강릉의 경우 성내동이 읍성보다 훨씬 작음
성내동 외에는 용강동, 명주동 등이 강릉읍성 영역과 겹침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의 유래는 삼척읍성
서쪽의 일부와 오십천 수변을 제외한 대부분이 읍성의 영역과 일치함
삼척읍성을 재현한 육교가 실제 성곽 위치가 아닌 성내동 경계로 지어진 것이 눈에 띄었음
다만 위치 고증 오류 같은 건 아니고 기존에 존재하던 육교에 성곽 스킨(?)을 씌운 것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성내리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성내리의 유래는 양양읍성

읍성의 동쪽 일부와 겹치고 위쪽으로 긴 영역이 추가로 존재함
오히려 읍성 내부에 들어가는 건 성내리가 아니라 군행리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성내리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성내리의 유래는 고성읍성
행정구역과 거의 일치함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성내리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성내리의 유래는 곤양읍성
곤양천 수변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이 일치함
남문의 옹성 부분이 성내리 행정구역에 충실하게 반영된 게 눈에 띔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성내리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성내리는 성의 위치가 특정이 안 됨
해동지도 단성현 지도에선 성곽이 옛 고을에 있었는데 터가 허물어졌다고 적혀있고
1872년지방지도에 성내촌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성벽을 그려놓은 고지도는 없음
이 지역을 답사한 블로거의 글에는 목화맨션 뒤쪽으로 성벽의 흔적이 있다고는 함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성내리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성내리의 유래는 영산읍성
카카오맵에는 공사 중인 함양울산고속도로 쪽에 영산읍성이 있는 것처럼 표시했지만
실제론 지도에 표시된 위치에 있음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성내동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성내동의 유래는 웅천읍성
성 동쪽으로 큰 영역이 성내동으로 포함되어 있음


경상북도 김천시 성내동



경상북도 김천시 성내동은 성이 존재하지 않음

조선시대 김산의 중심은 대구지방법원 김천지원, 김산향교 위치였는데 원래도 읍성이 존재하지 않았음
성내동의 유래는 조선시대 역참인 김천역이 저 위치에 있었는데

역이 군사적 기능도 하기 때문에 일종의 성 취급을 해서 일대를 성안, 성내라고 불렀다고 함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의 유래는 영해읍성
읍성 밖의 넓은 영역이 성내리에 포함되어 있음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성내리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성내리의 유래는 풍기읍성

읍성의 정확한 규모는 모르겠음

지역신문에 따르면 성벽의 서쪽은 풍기초등학교, 동쪽은 풍기중앙시장 쯤 되는 듯 한데
북쪽은 성벽이 풍기역 광장 앞까지 있었다거나 북문이 오거리에 있었다는 등 조금씩 차이가 있음
다만 조선시대 지도에도 성벽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봐선 이미 많이 허물어졌을 것임


경상북도 영천시 성내동



경상북도 영천시 성내동의 유래는 영천읍성

서울 강동구 성내동을 빼면 얘가 제일 읍성과 영역이 안 겹치지 않나 싶음

교촌동 과전동 창구동 문내동이 영천읍성 영역과 겹침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내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내리의 유래는 흥해읍성

읍성 영역에 해자 영역 반 이상 포함되어 있음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내리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내리의 유래는 무안읍성

성 서쪽의 영역이 성내리로 포함되어 있음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의 유래는 다경포진성, 다경진성
전라우수영 관할의 진성으로 성 면적과 행정구역의 면적 차이가 큰 두 지역 중 하나

카카오맵에는 논 한가운데에 다경진성이 있는 것처럼 표시했지만 실제론 지도에 표시된 위치에 있음
다경포진성 위치에 있는 마을은 따로 원성내마을이라고 부름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성내리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성내리의 유래는 진도읍성
행정구역과 거의 일치함

치성과 옹성의 위치도 잘 나타나 있음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성내리의 유래는 해남읍성
마찬가지로 행정구역과 거의 일치함

치성과 옹성의 위치도 잘 나타나 있음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의 유래는 무장읍성

성 북쪽과 동쪽 영역이 성내리에 포함되어 있음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의 유래는 비인읍성

성 밖의 넓은 영역이 모두 성내리에 포함되어 있음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에는 성이 없음
금성리(金城里)와 내동(內洞)을 합치면서 두 마을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지은 것

금성 역시 성이 유래라기 보단 쇠를 다루는 장인들이 있어서 부르던 마을 이름인 쇠재를 한자로 바꿔서 부른 것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의 유래는 청풍토성

청풍토성은 삼국시대의 토성인데 충주댐을 지으면서 수몰되었음
2015년 항공사진에는 가뭄으로 드러난 청풍토성의 모습이 보임

성 면적과 행정구역의 면적 차이가 큰 두 지역 중 나머지 하나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


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의 유래는 충주읍성
작년에 충주읍성과 성서동, 성내동의 영역이 일치하지 않아서 행정구역을 조정해야한다는 주장이 있었는데
그 후 별 얘기가 없는 것으로 봐선 흐지부지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