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참여정부 당시 국토부 및 국토연은 지방자치활성화를 위해 다핵연계이론을 제시했고, MB,박근혜정부는 이를 플랫폼이론으로 계승했다.

먼저 기존의 단핵이론은 부:울:경의 인구 및 산업 비중이 5:3:2라면 8:1:1, 즉 부산 단 하나의 핵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 경우 울산 및 경남은 온전히 부산에 종속되며, 부도심 및 위성도시화를 가져온다. 즉 지방자치는 불가능해지게 된다.

그렇다면 다핵연계이론은 무엇인가? 이는 부울경 모두 인구가 증가하는걸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5:3:2 의 비중을 7:5:8(창원, 진주, 김해 등 육성)으로 증가시키며, 이들 간의 연계를 통해 부산이 7로 다소 작을지라도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겠다는 것이다.

플랫폼 이론이란 이런 핵의 위치가 교통결절점, 즉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및 항구 위주로 형성되기때문에, 땅값이 비싼 기존도심보단 비교적 저렴한 신규역사 위주로 교통 접근성을 강화하자는 것이다.(기업도시, 혁신도시 등)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부울경이 기대했던대로 7:5:8이 되었나? 아니면 인구와 산업이 다 쇠퇴해 0.5:0.3:0.2가 아닌가? 왜 부울경은 다핵연계가 안되고 오히려 메가시티를 논하지만 여전히 청사 위치로 갈등하는가?


이는 모두 인구전망이 잘못됐기 때문이다. 인구는 더 이상 자연증가하지 않는다. 중간 비율만 바뀌지, 결코 파이가 커지지 않는다. 더 나아가 교통발달로 전국 1일 생활권이 되고 서울과 수도권으로 인구흡입만 늘어날 뿐이다. 그러므로 차라리 단핵으로 가는게 현상유지를 위해 합리적일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또 지방자치의 한계에 직면한다. 대체 그 단핵의 위치를 어디다 두어야 하는가? 권위주의 정부는 80년대 강남을 단핵으로 개발했고 90년대 서울 내 부도심 및 서울 외부 위성도시를 결정했다. 그러나 현재 지방자치 아래 각자 주민의 대표들인 지자체장들은 당연하게도 자신의 지역을 중심으로 해달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우리는 이것을 지역이기주의라 보아야 하는가? 아님 국가적 광역적 결정 권한이 없는 지방자치제의 한계로 보아야 하는가? 

애석한 이야기지만, 수도권과 경쟁하기 위해선, 현재 부울경 인구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인구집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단핵, 집중, 거점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지방자치체제에서는 이 갈등은 봉합되기 어려울 뿐더러, 오히려 기존의 다핵체제의 연장선이 될거라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