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진통일 세계관과 같은 설정 공유.

통합전주시 설정은 나중에 짤 예정.

설정 자체가 현실적이지 못한 것은 감안 바랍니다. 이 세계관은 현실보다 지방에 인구와 경제력이 더 많은 상태.(이미 평양 2편에서 언급)


전라북도의 자치군

고산군

高山郡/Gosan county

군청위치:전북 고산군 고산읍 고산천로 723(고산읍 삼기리 985 일대)

행정구역:1읍 5면

고산읍(군청), 비봉면, 화산면, 경천면, 운주면, 동상면


슬로건은 가자, Go Go, 고산!


도로명 변경

완주로>고산로

순천완주고속도로>순천전주고속도로

교차로명 변경

완주JC>용진JC

완주IC>북전주IC

지명 변경

완주공단>전주3공단


1985년 고산면이 고산읍으로 승격.


1996년 전주와 완주의 통합 투표가 실시되자, 구 고산군 주민들이 완주지키기운동 등을 하면서 반발. 결국 전주 통합을 댁한 구 전주군 지역은 전주에 통합되고, 완주 잔류를 택한 구 고산군 지역은 고산군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확정.


법률 제 OOOO호

전라북도전주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및전라북도고산군의설치에관한법률

제1조 (목적) 이 법은 지방자치법 제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전라북도 전주시ㆍ완주군을 통합하여 전라북도 전주시를 도농복합형태의 시로 설치함과동시에 전라북도 고산군을 설치함으로써 당해 지역에 있어서 주민생활의 편의를 증진하고 지역의 균형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전라북도 고산군의 설치등)

전라북도에 고산군을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

| 군의 명 칭 | 관 할 구 역 |

+---------------+-----------------------------------------------------------+

| 고 산 군 | 전라북도 완주군의 고산읍, 비봉면, 화산면, 경천면, 운주면, 동상면 일원 |

+---------------+-----------------------------------------------------------+


②전라북도 완주군의 관할구역중에서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전라북도 고산군의 관할구역에 속하는 지역을 제외한다.


제3조 (전라북도 전주시의 설치등) ①전라북도의 전주시 및 완주군을 각각 폐지한다.


②전라북도에 전주시를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

| 시의 명 칭 | 관 할 구 역 |

+---------------+-----------------------------------------------------------+

| 전 주 시 |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폐지되는 전라북도 전주시 일원, 완주군 일원 |

+---------------+-----------------------------------------------------------+


1998년 7월 1일 통합전주시의 출범과 동시에 1914년 부군면통폐합 이후 84년만에 고산군이 복군.

임시 군청은 현 고산읍 행정복지센터에 건설. 기존 완주군청은 일찍이 팔려 1999년 전주 대표 주상복합 중 하나인 인후타워 아파트가 건설.(커튼월, 35층)

설정상 부군면통폐합 이전 군이 복군된 사례는 다음이 존재.

1953-배천, 거제

1967-비안

1969-신안(1995년 목포와 도농통합, 이미 장흥시 편에서 언급)

1971-순안(평양 2편에서 언급)

1981-안산(1989년 통짜 시승격), 평원이 영유, 숙천으로 분할

1989-태안

1998-고산


사실상 부활된 사례:

낙안시(1971년 벌교시 승격되고 1995년 낙안군 잔여지역을 흡수해서 낙안시로 개칭)

증평시(1986년 시 승격, 이후 청안면을 주민투표로 1995년 흡수)

과천시:읍치가 1986년 과천시로 승격

기장시+정관시 등 기장권-1963년 잔여 동래군이 기장군으로 개칭. 이후 1979년 기장읍이 시로 승격되고 나머지도 이후 시로 승격되어 1995년 기장군 공중분해.

(설정상 찐시흥시는 그대로 계승된 것이므로 제외)


개칭:

홍성군>홍주군(1963, 1989 시 승격 이후 잔여지역 홍결군으로 개칭했다 95년 통합)


<자연지리>

고산은 오지 취급. 무진장과 묶여 불리는 동네인데 아직 명칭은 미정. 그나마 고속도로라도 들어온 무진장과 달리 고속도로는 없는 동네.


<인구>

고산읍 인구는 2만 5천 여명. 군 전체 인구는 3만 8천 여명으로 대다수의 인구가 고산읍에 집중. 고산읍을 제외하면 그냥 시골 마을이라 할 수 있을 정도. 고산 토박이들은 고산군이라는 우리 고을에 자부심을 갖는 경우가 많은 편.

한편 젊은 층들은 전주에서 귀농하러 오거나, 아니면 전주 베드타운 용도(전주시청과 고산 거리도 20km가 안 넘습니다, 거기에 17번 국도 확장도 되었으므로)로 오는 사람이 많은 편. 

고산군의 토박이 비율은 자그마치 85%로 많은 편.


<정치>

그 유명한 무진장과 단일선거구. 선거구도 고산군/무주군/진안군/장수군/임실군. 농촌 지역 위주라는 특성상 투표율이 높은 동네.


<행정>

고산군청이 저 외딴 곳에 있는데 2016년 이전했기 때문.(즉 장장 18년 동안 임시 군청에 청사가 존재!(이유는 예산크리))군청 앞에 신도시가 계획되어 있으나 예산 부족으로 착공 못하고 있는 상태. 이외에도 군 경제 발전을 명분으로 공장 설립을 무허가로 내주는 중이라 난개발이 우려.


<전주와의 관계>

전주와 가까운 편이지만 아주 큰 일이 아닌 이상 고산읍내에서 해걀하는 분위기. 전주 시민들도 딱히 고산에 대해 관심 없는 분위기가 강한 편.


<특산물>

경천면 곶감 등이 존재. 고산군의 특산물 브랜드는 먹Go산.


<교통>

고산군에는 그 어떤 철도도, 고속도로도 지나지 않습니다. 대신 전주까지 가는 17번 국도가 4차로(그마저도 2000년대 초에야 확장). 고산군민들이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는 대부분 익산IC를 이용.(해단 세계관에서 호남고속도로 전 구간이 8차로 이상으로 확장된 지는 20년이 넘은 상태) 한편 군산포항고속도로(군산IC-익산JC 고속도로 계획이 실현된 설정)도 군산 갈 때 자주 이용.

옆동네 전주에는 호남고속선 서전주역(이 세계관은 대전분기 베이스)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