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구역상 서로 붙어있음


- 생각보다 상호간의 통근통학률 낮음 (서로 1.5% 통근권에 해당 안됨), 구별로 따지면 일부만 상대도시 영향권에 들어감 (부산에서 울산권은 1.5% 기준 기장군 해운대구 금정구, 울산에서 부산권은 울주군, 남구; 대전에서 청주권은 대덕구, 청주에서 대전권은 서원구가 끝)


- 둘 사이 공동 위성도시 역할을 하는 도시가 있는데 한쪽으로의 의존도가 더 큼 (동남권은 양산, 충청권은 세종)

참고로 양산에서 부산 통근통학률 18.1%, 울산 5.2%

세종에서 대전 통근통학률 16.0%, 청주 5.0%

역통근의 경우 부산, 대전은 도시 전체적으로 각각 양산, 세종 1.5% 통근권에 들어가는데 울산, 청주는 안들어감.


- 그 공동 위성도시를 제외한 위성도시들은 1.5%통근권이 서로 안 겹침 (부산- 김해 밀양 창원성산, 울산 - 경주; 대전 - 계룡 공주 옥천 논산 금산, 청주 - 증평 보은 진천 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