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남원경(南原京)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남원읍성 일대

  684년 11월, 보덕국을 멸망시킨 신라는 보덕국에 금마군(金馬郡)을 설치하고 일대에 살던 고구려 유민들을 남원지역으로 강제이주시킨다. 그들의 정착이 끝났(을 것으로 보이는) 다음해 3월에 남원소경(南原小京)을 설치하고 691년 남원성을 쌓았다. 이 때 만들어진 격자형 구조는 이후에도 구획의 부분적 통합 및 세분화가 이뤄졌지만, 전체적인 격자형 가로구조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 덕분에 남원읍성은 한국의 읍성 중 보기 드물게 고대 도시의 흔적이 잘 남아있는 성으로서 이름이 높았다. 

 2018년 12월 ~ 2019년 6월 동안 이뤄진 발굴조사를 통해 남원읍성 북문과 만인공원 일대에서 후백제 시기 기와, 해무리굽 청자(초기 청자) 등 통일신라 ~ 고려시대 유적이 확인되었다. 




5. 무주(武州) - 광주광역시 광주읍성 일대와 누문동 유적

 광주읍성 여러 구역에선

1구역 1호담장 길이 11.2m, 폭 0.7m, '官'명 기와, 연화문 수막새 출토. 

1구역 2호담장 동서방향 약 16m, 어골문 암기와편 확인. 

3구역 1호담장 길이 11.3m, 폭 0.8m, 2호담장 길이 15.5m, 폭 0.9~1.0m, 격자문 평기와, 연화문 수막새, 당초문 암막새 등 확인됨. 

과 같은 담장들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격자문, 어골문평기와편, 청자편등이 확인된 적심시설 24기(제멋대로 배치되어 있고 잔존상태가 메롱.)가 확인되었다. 5구역에선 주거지, 수혈 등이 확인되었는데, 2기 주거지 중 1호 바닥에선 줄무늬 발형토기, 점열문 병편, 종선문 수키와 등이 확인되었다. 충장로와 함께 상무지구 설립이전 광주의 중심노릇을 하던 금남로에서도 통일신라의 흔적이 확인되었다. 도시철도공사 과정에서 우물지와 석축기단이 확인되었는데, 일대에서 통일신라 ~ 조선시대 기와, 토기조각과 자기류 등이 확인되었던 것이다. 이 우물은 통일신라 당대에 사용되었다고 보기엔 거시기하지만, 무진주와 관련된 생활흔적으로서 의미가 있다. 이 두 유적은 통일신라대 무주의 치소가 광주읍성 경내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 누문동 광주 제일고등학교 일대에선 건물지 2동이 확인되었는데, 일대에서 백제 말기의 시점으로 보이는 단경호, 삼족기, 개배, 보주형꼭지, 대옹편 등과 함께 8~9세기 통일신라 당초문 암막새, 선조문/반격문 평기와, 연판문 전돌, 원형의 토제 벼루 2점 등이 발견되었다(이외에도 고려 토기, 기와, 청자,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자도 발견되었다.). 이곳에서 발견된 토기들은 월지, 충효리 고분의 것과 비슷하게 인화문이 시문되어있었으며, 평기와 중에는 '國城' 명문이 새겨져 있었다. 이는 이 두 건물이 무주의 주요 건물 중 하나였음을 보여준다. 




6. 중원경(中原京)-충청북도 충주시 성내동 舊 충주목 관아 일대

 충주읍성의 외성은 현재 '호암동 토성'으로 불리는데 사직산 서쪽 사면, 충일중학교 근방 만리산, 럭키아파트 근방 등에 흔적이 드문드문 남아있었다. 이것을 발굴조사한 결과 통일신라~고려대에 이르는 토성유구가 확인되었다. 또한 2022년 6월부터 실시한 충주읍성 부지 발굴조사에선 통일신라~조선말기에 이르는 건물지 8동과 통일신라~고려시대에 이르는 기와, 토기, 문양전, 청자편 등이 발견되었다. 이 중 '官'자명 통일신라 기와는 청주읍성에서 발견된 그것처럼 충주읍성 일대가 통일신대 중원경의 치소성이었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충주읍성 근처에 위치한 장미산성(둘레 932m, 백제~통일전 신라의 토기/와편들 발견, 일대에 충주 누암리 고분군(6세기 후반, 신라) 소재.)과 남산성(둘레 1,120m. 경내에서 6세기 중엽 이후의 신라 유물 대거 확인됨.)은 이러한 중원경이 만들어진 이후, 충주 방어를 위한 배후성들로서 기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기사

남원소경(小京) 실체 베일 벗나, 새만금일보, 2019년 7월 13일

일본에 의해 무너진 남원읍성 북문 발굴 - 팬저의 국방여행, 2014년 10월 22일

충주시 "통일신라시대 충주는 격이 높은 중요 관청지", 중부매일, 2022년 10월 5일

논문

『고려 시대 전통 대읍 읍치 공간의 실증적 검토와 산성읍치설 비판 - 충청도와 경기도, 강원도 대읍의 분석을 중심으로』, 정요근, 한국중세고고학(2019)

『삼국, 통일신라시기 광주 중심지 연구』, 최영주, 역사학연구(2021)

향토문화전자대전

(남원) 남원읍성, 도로

(충주) 남산성, 장미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광주누문동유적, 충주 장미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