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문지리학


위키백과는 인문지리학에 대해서 이렇게 정의한다. 


인문지리학은 지리학의 한 분야로, 자연지리학과 함께 계통지리학을 구성한다. 지표에서의 인간 활동에 의한 모든 현상을 기본적으로 자연 환경과 관련하여 이해하고, 나아가 그 현상의 지역적 특성 및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리고 세부분야로서 경제지리학, 문화지리학, 역사지리학, 인구지리학 등이 있다.


2. 도시계획에서의 인문환경


그러나 도시계획에서는 해당 분야를 좀 더 세분화해서 인구지리학, 경제지리학, 주거 관련 등은 별도 항목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인문환경으로 명명되는 것은 역사지리학의 갈래인 "시군의역사"와 "행정(행정구역 변천 등)", 그리고 문화지리학의 갈래인 "문화재,전통건물 등"과 "기타 문화자원" 등으로 한정된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보다 자연환경보다 내용이 좀 부실한 편이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바로 " 시군의역사 "나 " 행정(행정구역 변천 등) ", 문화재나 전통건물, 문화자원 등은 도시문제와 다소 동떨어지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구역 변천에 따라 갑자기 도시문제가 발생한 경우 중요해지겠지만, 보편적인 경우 가장 무의미한 영역이다.) 


1) 대상지의 범위 결정


▶ 도시계획에서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것은 그 계획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시계획 수립 시 " 행정(행정구역 변천 등) "을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보통 도시기본계획의 경우 도시의 행정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도시관리계획의 경우 한 개의 행정구역 내에서 도로 또는 자연지물을 경계로 대상지의 범위를 한정한다. (도시계획에서는 도로와 자연지물로 생기는 경계도 인문환경에 속한다.) 물론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치는 도시계획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매우 특수한 경우이다.


▶ 물론 행정구역 통폐합이 있었거나, 예상되는 경우 해당 내용은 보다 자세히 다루어야 한다. 그러나 앞서 말한 듯 보편적인 경우에는 그저 대상지 일원을 결정하는 것 외에는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2) 미래상 결정


▶ 도시계획은 첫번째로 현황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 뿐 아니라, 두번째로 보다 나은 이상적인 도시 미래를 제시하고 그를 이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상적인 도시 미래를 우리는 미래상이라고 부르는데, 이런 미래상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 시군의역사"를 분석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재료가 나올만한 지자체는 많지 않다.


3) 경관계획 및 문화재 보존 계획 수립


▶ 도시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 문화재,전통건물 등" 및 " 기타 문화자원"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화재의 경우, 관련법에 의거하여 각종 개발 제한이 존재하며, 또한 문화재를 보존하고 경관을 형성하기 위한 관련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앙각 규정이며, 왕릉뷰 아파트 사건도 이러한 영역이다.) 도시계획은 이러한 관련 계획들을 존중하고 이를 받아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도시의 특색을 마련하기 위해서 보다 발전적인 경관 및 문화재 보존계획을 수립하여야만 한다. 


▶ 또한 이 말은 다시 말해서, 도시계획은 문화재 또는 문화자원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을 그 문화재와 어울러지게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타 법에 따라 "이 것은 문화재이다"라고 인정된 것은 그 것을 존중해준다. 그리고 그 주변이 가장 그 문화재와 잘 어울러지고 그 문화재를 잘 보존할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계획 자의적으로 "이 것은 문화재이다"라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 또한 " 문화재,전통건물 등" 및 " 기타 문화자원"에 따라 당연하게도 명승, 사적, 궁궐 등 주요 문화재의 경우 개발이 원천적으로 불허되며, 별도의 개발사업 시행 시에도 문화재지표조사를 선행해야 하고, 문화재지표조사 결과 문화재가 발굴될 경우 해당 지역은 개발이 원천적으로 불허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