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거현황


내가 알기로 주거현황에 관해 다루는 지리학은 없다. (혹시 배움이 부족하다면 댓글로 알려주길 바란다.) 물론 앞서 다룬 경제지리학이나 인구지리학, 혹은 인문지리학에서 다룰 수는 있겠지만, 인간의 축조물 그 자체인 주거에 대해서 연구하는 지리학은 없을 것이라고 본다.


2. 도시계획에서의 주거


그러나 도시계획에서 주거는 가히 절대적이다. 왜 그럴까? 결국 도시계획은 사람이 도시에서 잘 살기 위해서 하는 것이고, 사람이 도시에 살기 위해서는 주거, 즉 집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는 "주택수"와 "주택보급률" 그리고 "주거수준"과 "임대주택", 마지막으로 "주택공급"을 분석한다. 


1) 주택공급계획 수립


▶ 기본적으로 "주택수"는 물론 매우 기본적이고, 실제적으로 첫번째로 이용되는 지표는 "주택보급률"이다. (이상적인 주택보급률은 110% 이상 정도인데 그 이유는 https://blog.naver.com/onlyoneyu/222689446668을 참조하라) 그러나 단순히 "주택보급률"이 100%를 상회한다고 하더라도 문제가 끝난 것은 아니다. "주거수준"을 통해 시민들의 수요를 판단하고 그 수요에 맞는 주택들이 공급되었는지 매우 심도있게 분석해야만 한다.


▶ 그리고 무주택자들을 기준으로 "임대주택"의 현황과 부족한 물량을 산출해내고, 이를 "주택공급"현황이 얼마나 감당한지, 언제나 이루어질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공공임대주택 건설 등을 결정해야 한다. 


▶ 사실 도시계획에서 어떤 용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그에 합당한 논리, 즉 필요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논리 없이 항상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것이 바로 주거이다. (대구는 예외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므로 이런 주거현황이야 말로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가장 현실적인 이유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