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로 통계를 한번 올려보겠음. 일단 서울은 동이 워낙 많으니까 TOP 20까지 꼽아봤는데.... 


우선 상위 20동부터


* 세대당 인구수가 같은 경우는 총인구가 많은 동을 상위에 둠


1) 1~10위


순위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세대당 인구

1

강남구 대치1

23,889

7,241

3.3

2

서초구 반포2

15,681

4,995

3.14

3

송파구 위례동

44,338

14,410

3.08

4

양천구 목5

40,687

13,383

3.04

5

송파구 오륜동

17,789

5,894

3.02

6

송파구 잠실2

34,739

11,526

3.01

7

노원구 중계1

26,514

8,935

2.97

8

양천구 신정6

24,164

8,218

2.94

9

강동구 고덕제1

23,769

8,086

2.94

10

양천구 목1

30,463

10,380

2.93


- 대치동에서도 가장 핵심인 대치1동이 서울 1위를 차지(이자 전국 1위). 전국을 통틀어서 세대당 인구가 3.3명 이상인 곳은 저 동네가 유일함. 서울 3대 학원가로 손꼽히는 대치동, 목동, 중계동이 모두 10위권에 들어가 있는게 특징인데, 구별로 따지면 송파구와 양천구가 각각 3곳씩을 차지하면서 공동 1위를 차지. 그리고 위례신도시 송파 지역이 서울 전체에서도 3위를 차지했는데, 여타 위례에 비해서도 세대당 인구가 매우 높은 편임(성남시 수정구 위례동 2.5명, 하남시 위례동 2.85명) 그리고 반포2동, 오륜동, 잠실2동은 사실상 아파트 거주자가 100%인 곳이라는 특징이 있음.


2) 11~20위


순위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세대당 인구

11

송파구 잠실4

21,145

7,206

2.93

12

광진구 광장동

34,270

11,856

2.89

13

서초구 반포3

22,370

7,743

2.89

14

강남구 개포2

28,264

9,817

2.88

15

송파구 잠실3

33,994

11,823

2.88

16

강동구 상일제1

38,967

13,559

2.87

17

강남구 일원본동

22,994

8,028

2.86

18

양천구 신정1

19,861

6,976

2.85

19

강남구 도곡2

32,807

11,516

2.85

20

노원구 중계본동

23,500

8,275

2.84


- 11~20위에서는 강남구가 3곳으로 가장 많고 송파구가 그 뒤를 잇는 모양새. 여기 있는 동네들도 거주지의 대다수가 아파트인데, 잠실3동은 갤러리아팰리스의 일부 오피스텔(사실 평수보면 아파트로 봐도 무방한데) 제외하고는 다 아파트인 동네고 잠실4동 또한 파크리오 아파트가 거의 전부라고 봐도 될 정도. 다만 이 2동이 잠실2동에 비해 세대당 인구가 낮은 것은 학부모 세대에서 자녀 학군상 2동을 더 선호하는 데서 기인하는 점이 크다고 판단됨. 



그렇다면 반대로 가장 세대당 인구가 가장 낮은 20개 동은 어디어디 있을까?


1) 1~10위


순위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세대당 인구

1

관악구 신림동

23,106

18,884

1.22

2

중구 을지로동

1,658

1,294

1.28

3

광진구 화양동

23,620

18,343

1.29

4

종로구 종로1.2.3.4가동

6,738

4,924

1.37

5

서대문구 신촌동

20,328

14,735

1.38

6

금천구 가산동

24,242

17,503

1.39

7

용산구 남영동

7,111

5,029

1.41

8

영등포구 영등포동

29,592

20,973

1.41

9

관악구 대학동

23,852

16,805

1.42

10

강남구 역삼1

34,654

23,862

1.45


- 일단 도심에 속하는 종로1.2.3.4가동과 을지로동은 노년층 거주비율이 높은 곳들인 반면, 나머지 8동들은 업무지구에 가까우면서 비교적 집값이 저렴해서 사회초년생 거주비율이 높거나 대학가를 형성하고 있어 20대 자취인구 비중이 높다는게 특징. 사회 초년생들이 결혼을 통해 처음 신혼생활을 시작하는 곳들이기도 함. 

 참고로 1위를 차지한 관악구 신림동은 행정동 신림동에 한정된 지역인데(구 신림5동), 관악구에서도 북쪽에 위치하고 있어 서울대생 거주 비율은 낮고 강남 또는 여의도로 출퇴근하는 20~30대 미혼 직장인들이 다수 거주하는 곳임.


2) 11~20위


순위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세대당 인구

11

구로구 가리봉동

8,940

6,105

1.46

12

관악구 낙성대동

17,359

11,897

1.46

13

성동구 사근동

12,084

8,219

1.47

14

관악구 청룡동

35,999

24,112

1.49

15

종로구 종로5.6가동

5,240

3,493

1.5

16

종로구 숭인제2

9,846

6,562

1.5

17

관악구 중앙동

15,381

10,183

1.51

18

중구 광희동

5,196

3,404

1.53

19

동작구 노량진제2

10,540

6,875

1.53

20

성북구 안암동

15,041

9,749

1.54


- 여기도 10위 이내 지역들과 마찬가지의 구성인데, 특이한 건 노량진2동. 고시촌이라서 그럴 수 있다고 볼수도 있는데 정작 학원과 고시텔이 밀집한 1동(세대당 인구 1.94명)보다도 꽤 차이나는 수치를 보여줌. 하지만 자세히 보면 왜 그렇게 차이가 나는지 알 수 있는데 1동에는 의외로 500세대 이상 아파트들이 4곳이나 있다보니 연립주택이 절대다수인 2동과는 차이가 꽤 나는 요인으로 작용함. 그리고 가리봉동은 연변거리가 있을 정도로 조선족 거주비율이 상당한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