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5년 조선어학회 표준어 사정 위원회 위원 출신지

경기 출신 37명 (경성 출신이 26명)

기타 도별 인구수 비례에 따라 배정한 36명

총 73명


경성과 경기 출신이 사실상 과반을 차지함. 


1935년 조선어학회는 자체적인 표준어를 제정했는데, ‘표준어는 대체로 현재 중류사회에서 쓰는 서울말을 기준으로 한다’는 대원칙을 세웠기 때문임. 


어떤 낱말을 표준으로 할 지에 대한 결정권은 경기 출신 위원만 가지고 있었음. 지방 출신 위원이 이의를 제기하면 표결에 붙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정해짐. 


이 표준어는 조선총독부의 조선어 규범보다 더 조선 실생활에서 사실상 표준어가 되었고

해방 이후에도 남북한의 국어정책 담당자 대다수가 조선어학회 출신 혹은 그 정신적 지주인 주시경의 제자들이었기에, 남북한이 거의 비슷한 표준어를 가지게 되는 계기가되었음. 


북한의 표준어인 문화어는 명목상 평양말을 기반으로 했다지만, 실제로는 서울 표준어가 사실상의 기반이며 평양말 상당수를 사투리로 여겨 인정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