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서해안선은 전라남북도의 서해안 지역을 잇기 위해 1967년 4월 12일 기공한 철도임. 공사가 지지부진하다가 1970년경에 건설이 취소되었음. 완공되었다면 전라 서부 지역 교통에 큰 역할을 했을 것이므로 꽤 아쉬운 점임. 인터넷을 뒤져 봐도 정보가 매우 적고, 신문에 대충 그린 노선도만 남아 있는 비운의 노선. 그래서 뇌피셜로나마 비교적 자세한 노선도를 만들어 보기로 함.


1. 정보

- 김제-학교(본선), 대야-죽산(지선)

- 역은 22개소

- 장항선과 연결

- 변산반도 등의 관광자원 개발에 이바지 (이상 1967년 4월 12일자 경향신문 기사)

- 죽산역의 위치: 이 블로그 글에 따르면, 김제시 죽산면 원평천에 짓다 만 교각이 있음.  이 교각 다섯 개가 서해안선의 유일한 흔적임. 

- 죽산, 줄포, 고창, 영광, 함평, 학교역이 건설됨(동아일보 그림)

- 부안역이 건설됨(매일경제 그림)

- 왼쪽부터 1967년 4월 12일자 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2. 추정

- 김제역, 학교역(학교면), 대야역, 죽산역은 존재와 위치가 확실함.

- 부안역, 줄포역, 고창역, 영광역, 함평역(함평읍)은 존재가 확실함.

----

- 이외 13개 역은 불확실하지만, 읍면 소재지에 계획되었을 것으로 추정함.

- 부안에 소재한 역들은 최대한 변산반도에 가깝게 계획되었을 것으로 추정함.

- 지선은 장항선 방면으로 가기 위해 대야역 동쪽으로 접속했을 것으로 추정함.


3. 역 목록

1.2.를 바탕으로 총 17개 역을 뽑아 봤음. (나머지 5개 역은 잘 모르겠음)

지선본선
대야
청하
만경김제
죽산죽산

부안

상서

줄포

흥덕

신림

고창

대산

영광

불갑

신광

함평

학교


4. 노선도

1. 2. 3.을 바탕으로 한 예상 노선도. 이렇게 그려놓고 보니 '제 2의 호남선'이 된다는 말(1967년 4월 12일자 경향신문)이 확실하게 실감이 됨. 배경 지도는 구글어스 1984년 위성 영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