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의 어촌 마을평양 외곽의 ‘하모니카 주택’

삼지연의 신축 ‘문화주택’
평양 통일거리의 아파트


시도별 거주형태
행정구역세대수단독주택%다세대주택%아파트%
량강도183,20041,77522.8119,48365.220,70611.3
함경북도587,844146,82825.0342,17058.295,26316.2
함경남도777,207275,92235.5354,75645.6139,56418.0
강원도367,938104,84428.5186,55350.770,00019.0
자강도327,412130,69539.9127,51638.967,36620.6
평안북도688,583294,65542.8283,42341.2103,87315.1
평안남도1,027,727266,16625.9554,62654.0201,74219.6
황해북도535,511384,39271.898,67918.448,1959.0
황해남도578,280247,33442.8251,03543.470,23812.1
평양시813,76995,80411.8266,19432.7444,67254.6
합계5,887,4711,988,41533.82,584,43543.91,261,61921.4


도시/농촌별 거주형태
지역
세대수
단독주택
%
다세대주택
%
아파트
%
평양시813,76995,80411.8266,19432.7444,67254.6
지방도시2,875,716571,68819.91,555,23454.1730,53725.4
지방농촌2,197,9861,320,92360.1763,00734.786,5003.9
합계5,887,4711,988,41533.82,584,43543.91,261,61921.4


 • 북한에서 쓰는 용어는 ‘1동 1세대’, ‘1동 다세대’, ‘아빠트’가 되겠음.

 • 참고로 남쪽은 아파트 51.9%, 단독/다가구주택 29.6%, 다세대주택 9.3% 순(2021 인구총조사, 가구수).


아파트 거주 비율이 높은 동구권 국가들과 달리 북한의 경우 주로 평양과 대도시 지역에 아파트가 분포해 있고, 가장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주거 유형은 다세대 주택(‘문화주택’, ‘하모니카주택’ 등)임. 농촌 지역은 ‘땅집’ 혹은 ‘독집’이라 불리는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