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국회가 '혁신도시법'을 개정하여 이전기관을 분산 배치할 수 있다는 법적 단서를 주면서, 유치전이 매우 활발해지고 지역 내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음.


각 기초지자체들은 이제 '제2혁신도시' 유치가 아니라, '개별 기관의 유치'에 집중하고 있음. 이는 광역시도와 무관하게 추진중이고, 기존 혁신도시 지자체와의 갈등이 일어나는 단초가 되고 있음.





<광주/전남>


양 시도가 현 나주 빛가람혁신도시로의 유치를 공동 방침으로 했으나, 최근 광주이세어 2차 이전기관을 광주 도심 빈 건물에 유치하는 것을 적극 검토하기로 하면서 갈등이 일어나고 있음. 당연히 전남도 타 지역에서는 개별적으로 기관 이전을 추진함.



<전라북도>


현 도지사의 공약이 '제2혁신도시 익산 유치'였기 때문에 도 차원에서 익산을 공식화했으나, 정부의 정책에 따라 분산 유치도 염두에 두고 있음.

예를 들어 마사회는 새만금이나 김제, 금융 관련 기관은 전주, 판소리 관련 기관은 남원을 생각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 갈등이 일어나려는 불씨가 보임.



<강원도>


혁신도시 보유 지자체인 원주시와 타 지자체간의 경쟁이 다시 표면위로 부상하고 있음. 특히 영동권에서는 도내 균형발전, 춘천시에서는 서울과의 접근성을 무기로 내세우고 있음.



<충청북도>


음성과 진천은 2차 이전도 기존 혁신도시로, 타 지역은 기관의 분산 유치를 주장함.

특히 충북은 최근 도내 지자체들이 개별적으로 공공기관을 유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혁신도시의 공공기관 유치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며 자제를 촉구했는데, 

이에 대해 조길형 충주시장이 '요즘 충북은 죄다 오송 아니면 혁신도시다. 장남 키우자고 식모살이 할 수는 없다, 소도시의 목소리도 들어 달라'며 도와 정면으로 대치하고 있음.



<대전/충남>


기존 혁신도시 지자체에서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의 기존 혁신도시 우선유치를 주장하면서, 대전충남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매우 경계하고 있음. 자칫하면 대전충남에 혁신도시를 유치하지 못하게 될까봐 촉각을 곤두세우는 중.




<경상북도>


김천은 역시 기존 혁신도시 유치, 문경이나 포항 등 타 지역은 기관의 분산 유치를 주장하고 있음.

우선 도 차원에서는 김천혁신도시 기관과 연계된 기관 우선유치가 목표.




<대구>


원도심 이전과 혁신도시 내 배치 두 가지 안을 모두 염두중이며, 원도심 유치시 폐교와 후적지를 활용하고

혁신도시 기존 지역 유치시 그린벨트 해제 등 법적 문제 해결을 준비하고 있음.




<울산>


중구에서 기존 혁신도시에 유치를 주장하고 있음




<부산>


문현금융단지를 고려하고 있으나, 센텀이나 북항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옴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강력하게 기존 혁신도시에 집적 유치를 주장하고 있음. 도에서는 대도시의 원도심 분산 유치를 함께 고려 중.




<제주>


우선 공공기관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고, 상세한 위치 관련 이슈는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