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서양 지중해 세계를 양분한 언어. 특히 서양 세계에서도 서부를 상징하는 언어임. 

현대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족 및 그 인근 언어에 영향을 주었으며, 로망스어군(불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어어 등)의 직계 조상임. 

라틴어 중에서도 고대에 키케로가 정립한 고대 라틴어를 표준으로 삼음. 




고대 그리스어 + 코이네 그리스어


라틴어와 함께 서양 세계를 양분한 언어. 특히 서양 세계 동부의 국제어였음. 


고대 그리스어는 과거 그리스 도시국가 시대의 플라톤 등 수많은 학문가들이 사용하였기에 현대에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고

코이네 그리스어는 그리스어의 전성시 시절, 헬레니즘 문화를 기반으로 탄생한 국제어이며 신약성경의 언어이기도 함. 




표준 아랍어


아랍 세계의 표준어. 

현대에도 표준으로 사용되는 아랍어인데, 이는 여전히 아랍 세계에서 아랍어의 표준을 6세기 쿠란 시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임. 

그래서 실제로 각 국가의 아랍어와 표준 아랍어는 차이가 매우 큰 다른 언어 수준임. 





한문


동아시아 세계의 국제어. 

주로 한나라 시대의 상고한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문어이며, 현대 중국어족 언어들의 조상임. 

또한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언어임. 




이들은 수백년 간 변화하는 언어의 성격에 굴하지 않고, 

특정 시대에 정립된 기준을 꾸준히 이어 온 언어라는 특이점이 있음. 


예를 들어 현대 그리스어와 별도로 고대 그리스어와 코이네 그리스어는 아예 별도로 학습하고

한문과 현대의 표준중국어도 전혀 다른 언어이기 때문에 따로 학습하지. 


아랍어는 특이하게도 1500년 전 쿠란의 기준을 여전히 표준으로 삼아서 실제 입말과 차이가 매우매우 큰 편임. 


라틴어는 로마제국의 탄탄한 교육시스템으로 민중언어도 비교적 표준에서 멀어지지 않았지만

서로마가 멸망하고 제국의 통합된 교육체계가 붕괴되며 각 지역 라틴어의 방언화가 가속화되었는데, 그것이 현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등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