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개칭 이전 행정구역인 부 부터 시작할건데 서울만 구구절절하게 설명해봄.


서울은 조선시대부터 한성부였으니까 행정구역이 부가 된 거는 1395년. 명칭은 그렇다는 것임.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경성부로 개칭함.

광복 이후 1946년 잠깐 경기도 서울시였다가 얼마 안가 서울특별자유시로 승격, 1949년 서울특별시로 현재에 이름.


나머지 지역들은 1896년 이후 부 또는 시가 된 지역으로 분류함.


1896년

인천부


1899년

옥구부(군산)


1906년 

동래부(부산), 무안부(목포)


1908년

창원부(마산)


1910년 

대구부


1914년

도농분리제 시행, 기존 부들도 시가지를 제외한 농촌지역들을 군으로 환원하거나 신설하여 면적이 크게 좁아짐.

실질적으로 현재의 '시'에 대응하는 행정구역은 1914년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됨.


1935년

(전남)광주부

전주부

대전부


1939년

진주부


1946년

춘천부, 청주부


1947년

이리부(익산)


1949년

수원부, 여수부, 순천부, 포항부, 김천부

부를 시로 개칭


1955년

원주시, 강릉시, 경주시

진해시(2010년 창원, 마산과 통합), 충무시(통영)

제주시


1956년

삼천포시(사천)

충주시


1962년

울산시


1963년

의정부시, 천안시, 안동시, 속초시


1973년

안양시, 성남시, 부천시, 구리시


1978년

구미시


1980년

동해시, 제천시, 영주시, 창원시


1981년

광명시, 송탄시(1995년 평택과 통합), 동두천시, 태백시

정주시(정읍), 남원시, 금성시(나주)

영천시, 김해시, 서귀포시


1986년

안산시, 구리시, 평택시, 과천시, 삼척시

공주시, 대천시, 온양시(아산), 상주시

여천시(1998년 여수와 통합)

송정시(1988년 광주직할시에 편입)

상주시, 점촌시(문경)


1989년

군포시, 의왕시, 시흥시, 하남시, 미금시(남양주), 오산시

서산시, 김제시, 동광양시(광양)

경산시, 밀양시, 장승포시(거제)


1992년

고양시


1995년

도농통합


1996년

파주시, 이천시, 용인시, 논산시, 양산시


1998년

안성시, 김포시


2001년

화성시, (경기)광주시


2003년

계룡시, 양주시, 포천시


2012년

당진시, 세종특별자치시


2013년

여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