富平郡 夲髙句麗夫如郡 景徳王改名 今金化縣 領縣一

부평군(富平郡)은 본디 고구려의 부여군(夫如郡)이니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금화현으로 영현이 하나이다.


여기서 말하는 부평은 경기도 부평과 한자는 같지만, 이곳이 아니라 지금의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을 말함

부여(夫如)가 부평(富平)과 서로 맞물리는데 고대인들이 부(夫, *por-)는 현대 한국어 벌판의 '벌' 소리를 빌려 적었고 평(平)도 벌판의 뜻으로 사용하였기에 여(如) 부(富)이 서로 대립하므로 여(如, *na-)와 부(富)가 서로 대립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경덕왕이 한화할 때 도림현(道臨縣)을 임도현(臨道縣)으로 한 것처럼 한문의 어순을 따라한 건지 도치시키는 작명법이 자주 등장함


부여(夫如)는 그렇다면 *porena[보레나]가 되겠으나 뜻은 여전히 미상임. 허나 후삼국시대의 기록을 보면 이 지역은 한화시킨 지명 부평(富平)이 아닌 다시 한국어 발음으로 나오는데, 바로 부약(夫若)임. 이는 후기 고대 한국어로 *pornaki[볼나기]로 읽으므로 고구려가 부여(夫如)라 불렀을 때는 *porenake[보레나게]로 읽었다고 추측이 가능함


이 *nake[나게]는 동사 '나다(出, 生)'로 뒤의 *-ke[게]는 현대 한국어에도 있는 명사를 만드는 접사인 -기(글쓰기, 달리기)임. 이 '나다'를 부유하다, 풍부하다, 풍성하다를 뜻하는 부(富)로 한화하였는데, 이 김화읍은 철원평야에 해당하는 곳으로, 아마 고구려인들이 북쪽에서 살다가 남하하여 이곳에 다다르니 그리 산이 높은 지역도 아니고 평야까지 있어 이곳을 본인들이 살던 곳보다 곡식이 풍성히 잘 자라는 지역으로 여겨 이러한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이 높음


현대 한국어로는 벌나기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