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기후 (A)

열대우림기후(Af): 싱가포르 (싱가포르), 마나우스 (브라질), 하갓냐 (괌),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수바 (피지)

열대몬순기후(Am):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다낭 (베트남), 마이애미 (미국), 포트오브스페인 (트리니다드토바고)

사바나기후(Aw, As): 아바나 (쿠바), 가오슝 (대만), 방콕 (태국), 다카 (방글라데시), 뭄바이 (인도), 다윈 (호주), 케언즈 (호주)

건조기후 (B)

사막기후 (BW): 라스베이거스 (미국), 리마 (페루),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도하 (카타르),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누쿠스 (우즈베키스탄), 무스카트 (오만), 바그다드 (이라크), 쿠웨이트 (쿠웨이트)

스텝기후 (BS): 호놀룰루 (미국), 보이시 (미국), 니코시아/레프코시아 (키프로스), 테헤란 (이란), 울란바토르 (몽골)

온대기후 (C)

온난습윤기후 (Cfa): 제주시 (대한민국), 도쿄 (일본), 타이베이 (대만), 시드니 (호주),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애틀랜타 (미국), 워싱턴 DC (미국), 강릉시 (한국), 울릉도 (한국, 한국지리에서는 울릉 특수형 기후로 다룸)

서안해양성기후 (Cfb): 런던 (영국), 파리 (프랑스), 더블린 (아일랜드), 베를린 (독일), 취리히 (스위스), 빈 (오스트리아), 하코다테 (일본), 토르스하운 (페로 제도)

온대하우기후 (Cw): 부산 (한국), 대구 (한국. 한국지리에서는 대구 특수형 기후로 다룸), 과달라하라 (멕시코), 홍콩

지중해성기후 (Cs): 로스앤젤레스 (미국), 산티아고 (칠레), 로마 (이탈리아), 텔아비브 (이스라엘),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시애틀 (미국), 퍼스 (호주)

냉대기후 (D)

냉대습윤기후 (Df): 시카고 (미국), 토론토 (캐나다), 보스턴 (미국), 디트로이트 (미국), 모스크바 (러시아), 태백시 (한국), 삿포로 (일본), 알마티 (카자흐스탄), 야쿠츠크 (러시아), 에드먼턴 (캐나다), 몬트리올 (캐나다)

냉대동계건조기후 (Dw): 베이징 (중국), 인천 (한국, 온대와의 점이지대), 서울 (한국, 온대와의 점이지대), 평창 (한국), 베르호얀스크 (러시아), 평양 (북한)

고지 지중해성 기후 (Ds): 솔트레이크시티 (미국), 오시 (키르기스스탄), 두샨베 (타지키스탄)

한대기후 (E)

툰드라기후 (ET): 이칼루이트 (캐나다), 푼타아레나스 (칠레), 우트키아빅 (미국), 누크 (그린란드)

빙설기후 (EF): 맥머도 기지, 아문센 기지 등 과학기지가 대부분이며 이 기후에서는 도시가 형성되기 매우 곤란하다.

고산기후 (H): 멕시코시티 (멕시코), 보고타 (콜롬비아), 라파스 (볼리비아), 키토 (에콰도르), 나이로비 (케냐), 요하네스버그 (남아공), 본톡 (필리핀), 안타나나리보 (마다가스카르)


이런 기후 관련 문제는 수능, 평가원 단골 소재로 유명하며, 심지어는 둘 이상의 기후 그래프를 주고 특징을 물어보는 문제도 출제된 바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