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298,341공산동86,739대명6동38,168구암동139,327감삼동105,144
성내1동19,891안심1동168,031대명9동62,368국우동117,970죽전동54,057
성내2동17,890안심2동43,843대명10동36,235수성구1,662,937용산1동123,166
성내3동18,880안심3동87,418대명11동34,454수성1가동71,528용산2동114,516
대신동31,256안심4동115,558봉덕1동36,495수성2·3가동47,289이곡1동91,802
동인동31,735혁신동74,104봉덕2동49,709수성4가동57,608이곡2동65,658
삼덕동26,160서구653,259봉덕3동66,453범어1동66,123신당동126,136
대봉1동27,366평리1동31,180이천동47,836범어2동61,441장기동68,306
대봉2동7,304평리2동31,883북구1,743,543범어3동66,768본동82,011
남산1동18,980평리3동39,582고성동19,483범어4동79,261본리동48,970
남산2동26,707평리4동71,780칠성동93,571만촌1동90,712송현1동77,331
남산3동26,544평리5동6,857침산1동16,353만촌2동43,703송현2동72,083
남산4동45,628평리6동14,751침산2동74,316만촌3동77,985상인1동143,791
동구1,364,683내당1동33,508침산3동78,940황금1동94,430상인2동78,808
신암1동35,525내당2·3동38,879산격1동36,663황금2동42,549상인3동44,330
신암2동41,215내당4동66,073산격2동42,916상동64,813월성1동148,483
신암3동46,969비산1동38,532산격3동35,680중동47,784월성2동63,346
신암4동45,532비산2·3동36,846산격4동33,484파동50,016유천동132,921
신암5동25,070비산4동38,935대현동70,210두산동56,569진천동205,240
신천1·2동51,402비산5동24,175복현1동30,094지산1동87,006도원동141,259
신천3동46,470비산6동30,333복현2동123,617지산2동74,419달성군1,046,972
신천4동33,057비산7동39,642검단동25,653범물1동45,013화원읍186,380
효목1동54,529원대동30,317노원동46,023범물2동68,318다사읍356,737
효목2동52,652상중이동79,986무태조야동145,189고산1동122,515논공읍71,272
도평동15,985남구569,280관문동145,812고산2동114,872옥포읍100,208
지저동57,867대명1동45,176태전1동87,817고산3동132,215유가읍117,755
동촌동62,336대명2동40,740태전2동97,281달서구2,170,239현풍읍92,277
해안동60,555대명3동43,192관음동65,355두류1·2동57,703구지면76,927
방촌동74,927대명4동43,811읍내동106,969두류3동32,825하빈면14,284
불로·봉무동84,854대명5동24,643동천동110,820성당동92,353가창면31,132



↑↑↑행정동 백지도

↑↑↑행정동명 기입한 지도

↑↑↑법정동 지도

↑↑↑법정동명 기입한 지도

↑↑↑구청소재지 표시 지도(연한건 출장소 소재지)


원본 출처가 아마 제목이 대구,울산,부산 백지도


행정동명은 1995년에 특별직할시가 되며 전부 '제'를 붙였습니다.


법정동은 일부 신설을 했습니다(아니면 숫자 폭발하는 동네가 넘 많...)

대명동은 몬가 숫자뇌절 1개쯤은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예잔 신림동마냥 대명제1동~대명제13동+대명본동으로 했습니다

 

그런데 대구는 저렇게 나누니 대부분 갑/을/병 나눌 각이 보이는 구들이 되는...읍읍읍

 

여튼 저렇게 나눠진 구 명칭은 구 이름(설치연도/근거법령)-구청 소재지 행정동명

 

이런 식으로

 

중구(1963/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동인1·2가동

동구(1963/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신암제5동

서구(1963/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평리제7동

남구(1963/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봉덕제1동

북구(1963/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침산제2동

동촌구(1976/대구시 동촌구 설치에 관한 법률)-봉무동

달서구(1978/경상북도 성서시·월배시의 폐지 및 시·도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성당제1동

수성구(1978/대통령령 제8758호)-범성제1동 

월배구(1979/대구시 월배구 설치에 관한 법률)-송현제3동 

성북구(1980/대통령령 제9630호)-매천동

창성구(1980/대통령령 제9630호)-파제2동

고산구(1981/법률 제3424호)-삼호동

성서구(1983/대통령령 제11248호 대구직할시 성서구 설치 및 구 관할구역 조정에 관한 규정)-율제제3동

함지구(1988/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 송파구 등 15개 구 설치와 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팔거제1동

조암구(1988/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 송파구 등 15개 구 설치와 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월성제2동

 안심구(1989/법률 제4051호 부산직할시 강서구 외 1개구의 설치 및 시·도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동호제2동

 학산구(1995/대구특별직할시 학산구 설치 및 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명정제1동

 다사구(1995/대구특별직할시 다사구·달성구 설치 및 시·도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매곡제2동

다사구 서재출장소(2001/다사구 조례 제91호)-서재제2동

 달성구(1995/대구특별직할시 다사구·달성구 설치 및 시·도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논공제1동

 달성구 현풍출장소(2011/달성구 조례 제158호)-유가동


의 순서입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1963년 구제 실시(중/동/서/남/북구) : 5구

1976년 동촌구 설치(6구) : 舊 대구시 동구의 동촌출장소 일대→대구시 동촌구 승격

1978년 달서구, 수성구 설치(8구) : 대구시 서구 성당동 전역/내당동 일부, 경상북도 성서시, 월배시→달서구로 통합 및 승격, 대구시 동구 대부분 지역→수성구 승격

1979년 월배구 설치(9구) : 달서구 지역 中 舊조암면 일대를 제외한 지역→월배구 승격

1980년 성북구, 창성구 설치(11구) : 대구시 북구 中 금호강 이북지역→성북구 승격, 대구시 수성구 中 舊대구부 수현내면 일부와 수동면 일대 전역+달성군 가창면→창성구 승격

1981년 고산구 설치(12구) : 경상북도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 이와 동시에 경산군 고산면을 편입

경산군 고산면 일대, 수성구 만촌동 지역→고산구 승격

1983년 성서구 설치(13구) : 대구직할시 달서구 지역 中 舊성서시 일대 지역(본리동과 본동 제외)→성서구 승격

1988년 함지구, 조암구 설치(15구) : 대구직할시 성북구 中 태전동과 문주동 이북지역→함지구 승격, 대구직할시 달서구 中 舊조암면 일대, 월배구 진천제1~3동 일대→조암구 승격

1989년 안심구 설치(16구) : 대구직할시 동촌구 中 안심제1~6동 일대→안심구 승격

1995년 대구직할시가 대구특별직할시로 개칭(서울과 동급으로 취급되는 직할시로 보겠다는 의미)

1995년 다사구, 달성구, 학산구 설치(19구) : 경상북도 달성군 폐지 및 각 월경지별로 2개구로 신설(면적의 광활성 때문)/대구특별직할시 고산구와 수성구 일부를 관할로 학산구 신설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하빈면→다사구 승격, 달성군 나머지 지역→달성구 승격, 수성구 범어제1~3동, 황금제1/2동, 소지천동+고산구 만촌제1~3동, 명정동, 각계동 일대→학산구 승격


https://arca.live/b/city/68297760 이 글과는 별개의 세계관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겠죠?


근데 원본출처 뭐였더라...저 글에 있었나?



군위군은 이 세계관에서는 이미 공항을 수십년 전에 받아서 인구는 지금의 포천시보다 살짝 많은 시내 반몰빵형 도농복합시가 되었읍니다(나중에 군위시 지도도 가상으로 만들어 올릴끄)


피드백 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