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랑스


가장 잘 알려진 사례이기도 하며
앞으로 소개할 것들에 비하면 가장 평범하기도 한 경우



59까지는 10진법 (20 = 2 X 10...) 으로 세다가
80을 갑자기 4 X 20 (Quatre = 4, Vingt = 20)으로 셈.
그래서 90도 Quatre-vingt-dix (4 X 20 + 10)이 됨.

같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벨기에나 스위스에서는
합리적으로 10진법을 사용한 80, 90 에 해당하는 단어를 만듬.
80 = octante (8 X 10), 90 = nonante (9 X 10).


2. 중국
중국에서 숫자를 손가락으로 셀 때,
1부터 5까지는 손가락을 하나씩 펴면서 잘 세는가 싶더니



6부터 10까지는
어느 손가락이 펴지고 접힐지 예측불가.
알고 봤더니 숫자를 나타내는 한자 모양을
손을 이용하여 비슷하게 나타낸 것이라 함.


3. 인도
힌디어의 1부터 100까지의 불규칙성은 유명하니 다 잘 알테고
다음의 그림을 보자.



뭔가 좀 이상하지?
바로 숫자를 끊어주는 , 이 
맨 뒤 세자리를 제외하고는, 두개씩 끊고 있다.

Lakh = 10^5, Crore = 10^7

Lakh Crore 라는 단위도 있는데, 이건 10^12

1,00,000,00,00,000 이렇게 표기함.

인도 뿐만 아니라 파키스탄, 네팔, 스리랑카 등
남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표기.


4. 통가
남태평양의 미스터리한 나라 통가.
일요일이면 공항도 닫아버리고 모두가 쉬는
독실한 기독교 국가로도 알려져 있음.

통가는 텔레폰-스타일 이라는 아주 독특한 수 체계가 있음.
먼저 0 부터 9까지 통가어로는 다음과 같음:

0 - noa, 1 – taha, 2 – ua ,3 – tolu, 4 – fa, 
5 – nima, 6 – ono, 7 – fitu, 8 – valu, 9 – hiva

숫자 1,234,567. 
한국어로는
백 이십 삼만 사천 오백 육십 칠 이라 읽을 것이고,
영어로는
One million, two hundred thirty four thousand, five hundred and sixty seven
이라 읽음.
 
통가어로는 taha ua tolu fa nima ono fitu 읽음.
한국어로 비유하자면, 일 이 삼 사 오 육 칠 이라고 한 것과 같음.
즉 10, 100, 1000 등을 표현하는 단어가 없음.


5. 덴마크
위의 프랑스 예보다는 덜 알려진 거 같음.
20진법을 사용하는데 프랑스보다 훨씬 더 복잡함.
아마도 덴마크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곱하기 실력이 상당할 듯.



97을 덴마크어로 쓰면 syv­og­halvfems 임.
여기서 syv 는 7을 뜻하며, og는 앞과 뒤의 수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
문제는 halvfems인데,
halvfems는  halvfemsindstyve의 줄임이고
이를 풀어보면 halv fem sind s tyve 가 된다.
halv는 1/2, fem은 5, sind 는 곱하기, tyve는 20.
이걸 조합해서 어떻게 90을 만드냐?
바로 (5-1/2) X 20.
90 뿐만 아니라 50, 60, 70, 80 모두 20진법에 기초를 둔 단어들을 쓰며
50, 70의 경우에는 홀수라서
(3-1/2) X 20, (4-1/2) X 20 의 의미를 담은 단어를 사용함.


6. 파푸아 뉴 기니
800여개도 넘는 언어를 가지고 있는 파푸아 뉴 기니.
다양한 언어만큼이나 숫자 체계도 신선한게 많음.

일단 첫번째 사례는 Oksapmin.
이 사람들은 무려 27진법을 사용하고,
손가락을 접거나 펴는 것이 아니라,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27까지 센다.
다음의 그림과 영상을 보자.



바로 이런 식으로...


두번째 사례는 Ndom.
여기는 6진법을 사용한다.
1부터 6까지 (Sas, thef, ithin, Thonith, Meregh, mer) 로 다른 수를 표현함.
7의 경우는 mer abo sas ( 6 + 1)
12의 경우는 mer an thef ( 6 X 2)


세번째 사례는 Huli.
이 사람들은 15진법을 쓴다.
15의 배수인 경우는 매우 쉽게 표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45는,
ngui tebo (한국어로 이야기하자면 십오 삼 이라고 말한 격).
그러나 89같은경우는,
ngui dau, ngui waragane-gonaga deria가 되며
이는 15 X 5 + 6번째 15 그룹의 14번째 라는 뜻임.

네번째는 Bukiyip.
여기는 3진법과 4진법을 같이 쓰는 곳;;
그나마 다행인 것은 3진법을 쓰는 경우와
4진법을 쓰는 경우가 나누어져 있다는 것.
3진법은 날짜를 세거나 코코넛의 갯수를 셀 때 등,
4진법은 견과류나 바나나 갯수를 셀 때 등.
골때리는 건 anauwip이라는 단어가 두 시스템에 모두 등장하며
나타내는 수도 다르다는 것.
3진법에서는 6을 의미, 4진법에서는 24를 의미함.

마지막은 Aiome.
이사람들은 컴퓨터인지, 2진법을 쓴다.
Nogom = 1, omngar = 2
이상 숫자체계 끝.

3은 omgar nogom ( 2 + 1).
5는 omngar omngar nogom  (2 + 2 + 1).


7. 브라질



아마조나스 주에 있는 정글에 사는 Piraha 부족.

아마존 원주민 들의 언어 중
Piraha는 숫자 체계가 아예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ho´ i 는 적은 양, hoı´ 는 중간 사이즈 (둘은 발음이 같지만 톤이 다르다).
ba´agiso 는 많음을 뜻한다.
숫자를 세는 제스쳐는 전혀 없음.
수를 나타내는 단어 없음.